• 제목/요약/키워드: 융모

검색결과 248건 처리시간 0.02초

융모막 융모생검 511례에 대한 임상적 연구: 10년(2000-2010년)간의 경험 (Ten-year Clinical Study of Chorionic Villus Sampling)

  • 김수현;심성한;백종우;차동현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8권1호
    • /
    • pp.35-43
    • /
    • 2011
  • 목적: 본원에서 최근 10년간 시행한 융모막 융모생검의 적응증에 따른 결과 및 합병증을 조사하고 현재 사용하고 있는 융모막 융모생검의 효용성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4월부터 2010년 4월까지 최근 10년간 분당차병원 및 강남차병원에서 융모막 융모생검을 시행한 511례의 진료기록 및 검사 결과를 검토하였다. 각각의 환자에 해당되는 모든 적응증을 조사하고 중복을 허용하여 분석하였다. 태아 염색체 검사는 직접법과 배양법을 통하여 시행하였다. 결과: 각각의 적응증을 살펴보면 태아의 비후된 목덜미 두께를 포함한 비정상 초음파 소견이 294례(294/635, 46.3%)로 가장 높았다. 각각의 적응증에 따른 태아 염색체 이상의 양성예측도는 부모 중에 염색체 이상이 있는 경우가 66.7%(14/21)로 가장 높았다. 융모막 융모생검 상 모자이시즘은 3.1% (16/509)였고, 그 중에서 양수검사로 확인된 진모자이시즘은 2례, 태반에 국한된 모자이시즘은 11례였다. 융모막 융모생검 이후 4주 이내에 임신 종결된 경우는 6례로 태아손실률은 1.2% (6/511)였다. 결론: 융모막 융모생검은 산전 유전진단을 하는데 있어서 적합하고 신뢰할 수 있는 시술이다. 융모막 융모생검 결과 모자이시즘을 보이는 경우 반드시 양수검사를 통하여 진모자이시즘인지 태반에 국한된 모자이시즘인지 확인이 필요하다.

쌍생아 임신의 융모막과 주산기 결과 (Perinatal outcomes according To chorionicity in Twin Gestations)

  • 최은진;윤현진;허재원;홍수영
    • Neonatal Medicine
    • /
    • 제15권1호
    • /
    • pp.67-74
    • /
    • 2008
  • 목 적 : 융모막의 종류에 따른 주산기에 미치는 영향과 쌍태아간 수혈 증후군이나 선택적 태아 발육부전이 있는 단일 융모막의 주산기 영향을 평가하였다. 방 법 : 2002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일신기독병원에서 재태 연령 12주에서부터 분만과정까지 산전 진찰을 받고 분만을 한 단일 융모막 산모 99명, 이 융모막 산모 206명, 그리고 이들에게서 태어난 188명의 단일 융모막 쌍생아와 411명의 이 융모막 쌍생아를 대상으로 외래 및 입원 병력 기록지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쌍태아간 수혈 증후군과 선택적 태아 발육부전의 빈도 및 융모막 종류에 따른 주산기 영향 및 신생아 이환을 평가하였다. 결 과 : 단일 융모막군은 이 융모막군보다 재태 연령이 작고(35.7 vs 36.6, P=0.03) 태아 사망이 많았다(10% vs 1.5%, P<0.001). 그리고 단일 융모막군의 선택적 발육부전이 이 융모막의 선택적 발육부전보다 태아 사망이 높았다(19% vs 2.5%, P=0.025).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 입원한 쌍생아는 단일 융모막 쌍생아가 이 융모막 쌍생아보다(31% vs 16%, P=0.042) 빈도가 높았다. 그리고 단일 융모막 쌍생아가 뇌실 주변 백색 연화증(7% vs 0%; P=0.031), Surfactant를 투여한 신생아호흡곤란 증후군(27% vs 11%; P=0.049)의 빈도가 높았다. 단일 융모막군에서 선택적 자궁 내 발육지연의 빈도는 21%였고 태아 간 수혈 증후군의 빈도는 9%이었다. 일측성 태아 사망은 쌍태아간 수혈 증후군에서는 9명중 6명(67%)이고 선택적 태아 발육부전군에서는 21명중에 4명(19%)으로 단순 단일 융모막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신생아실에 입원한 빈도는 쌍태아 간 수혈증후군에서 92%, 선택적 태 아발육부전에서 42%로 단순 단일 융모막군의 22%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1) 입원기간 또한 유의하게 길었다(P=0.033). 그리고 뇌실 주변 백색 연화증 및 뇌실 내 출혈빈도인 경우에도 쌍태아간 수혈 증후군과 선택적 태아 발육부전군이 단순 단일 융모막군보다 유의하게 많았다(각각 P=0.011, P=0.007). 결 론 : 쌍태아 간 수혈 증후군이나 선택적 태아 발육부전이 있는 단일 융모막 쌍생아에서 신생아의 합병증이 높다.

폐에 발생한 원발성 융모막암종 - 1예 보고 - (Primary Pulmonary Choriocarcinoma in the Lung - A case report -)

  • 장희진;김주현;김영태;강창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1호
    • /
    • pp.119-122
    • /
    • 2009
  • 융모막암종은 생식 세포 종양의 일종으로 베타 인간 융모막 생식샘 자극 호르몬을 분비하는 합포체성 융모영양막세포에서 발생하는 종양이다. 주로 생식기에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폐장에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원에서는 28세 여자환자에서 발생한 원발성 폐 융모막암종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수술적 절제술을 시행하여 원발성 폐 융모막암종임을 확인하였고, 수술 후 추가적인 치료 없이 2년간 재발의 증거 없이 생존하고 있어 이를 보고한다.

생쥐 공장 융모의 감마선 전신조사에 의한 형태학적 변화 (Morphological changes by whole-body r -irradiation in mouse jejunal villi)

  • 천기정;김진규;송치원;김무강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5권4호
    • /
    • pp.217-221
    • /
    • 2000
  • 소화기계 암의 효과적인 치료중의 하나로 방사선 치료법을 들 수 있으나 이 방법은 장 점막과 같이 빠르게 증식하는 조직에는 특히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생쥐의 공장 융모가 감마선 전신 조사에 의해 형태학적으로 변화하는 정도를 관찰하였다. 생후 4주된 ICR계 생쥐를 6.5Gy와 12Gy를 전신 조사 3일 후에 공장을 채취하여 탈수 과정을 거쳐 파라핀을 입힌 조직을 절편기로 잘라 슬라이드에 부착시키고 일반적인 hematoxylin & Eosin 염색과정을 거쳐 염색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6.5Gy와 12Gy를 조사 받은 생쥐의 융모는 대체로 정상생쥐와 비교 할 때 융모의 길이가 짧아졌으며 융모의 두께가 비후되었고 내강은 넓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융모가 소화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방사선에 비교적 민감함을 나타내므로 방사선에 의한 생체영향 평가 뿐만아니라 방사선 방어제를 검색하는데 하나의 실험 파라메타가 충분히 될 수 있음을 인지하였다.

  • PDF

Fibricola seoulensis에 감염된 흰쥐 소장 병변의 프라지콴텔 치료 후 변화 (Observation of mucosal pathology after praaiquantel treatment in experimental Fibricola seoulensis infection in rats)

  • 이순형;김병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7권1호
    • /
    • pp.35-40
    • /
    • 1989
  • Fibricela seoulensis에 감염된 마우스나 흰쥐 소장에는 점막 융모(villi)의 단축, 융합, 둔 화 등 퇴행성 변화와 상피층 결손, 위축 등이 초래되며, 선와(crypts)는 증식되는 소견을 보인다. 이러한 병변이 충체를 구충한 후에는 어떻게 치유되는가를 관찰하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즉 흰쥐에 1,000개 씩의 피낭유충을 감염시키고 15일 후에 프라지콴텐을 10 mg/kg씩 투여하여 구충한 다 음 투약 후 1, 3, 5, 7, 15, 21및 28일에 각각 도살하고 조직절편을 만들어 병변을 관찰하였다. 정상 대조군의 소장에는 손가락 모양의 가늘고 긴 융모가 일정하게 배열되어 있었고, 기질에는 병변이 없었다. 융모/선와(V/C) 높이의 비율은 2 : 1∼3 : 1이었다. 감염 대조군은 심한 융모의 융합, 둔단화, 상피층의 결손, 위축, 기질층의 염증, 부종 등 융모 위축과 선와 증식 소견을 보였다. 프라지관텔 투여 후 1일과 3일에는 감염 대조군과 비슷한 정도로 융모의 병변이 보였으나 5일에는 기질층의 변화가 없었고 일부 융모가 회복되기 시작하였고 7일w15일 사이에는 대부분의 점막에서 융모가 정상화되어 가는 소견을 보였다. 구충 3주 후에는 완전히 회복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계. seoulensis 감염에 의해 형성된 소장 점막의 병변이 구충제로 성충을 제거한 후 약 3주 이내에 완전히 정상적인 융모의 모습으로 치유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 PDF

급격히 진행한 원발성 폐 융모막 암종 (Rapidly Progressed Primary Choriocarcinoma of the Lung)

  • 장성욱;박정옥;이계영;이원애;류재욱;박성식;김삼현;서필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9호
    • /
    • pp.805-808
    • /
    • 2004
  • 피가래를 주소로 69세 남자 환자가 내원하였다. 환자는 술 전 검사상 좌상엽에 5${\times}$2.8 cm의 종괴를 가지고 있었다. 좌상엽 절제술 및 림프 곽청술을 시행하였고 종괴는 원발성 폐 융모막 암종으로 진단되었다. 적절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술 후 환자는 폐렴의 악화로 인해 항암 화학요법이 지연되었으며 암종은 급격한 진행을 보였다. 환자는 58병일째 폐렴으로 사망하였다. 원발성 폐 융모막 암종은 매우 드문 질환이며 치료 원칙도 정립되지 않았다. 이에 저자들은 수술 후에 진단된 원발성 폐 융모막 암종 1예를 치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견관절 색소 융모 결절성 활막염의 관절경적 치료 - 증례 보고 - (Arthroscopic Treatment of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of the Shoulder - A Case Report -)

  • 이승준;유재철;임경섭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0권1호
    • /
    • pp.140-145
    • /
    • 2007
  • 색소 융모 결절성 활막염은 양성 증식성 활막의 병변으로 관절이나 건초, 점액낭 등을 침범한다. 이는 주로 한 관절에 발생하며, 다 관절 침범은 1% 미만에서 보고되고 있다. 또 슬관절 및 수부에 주로 발생하며, 견관절에서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다. 색소 융모 결절성 활막염의 치료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논란이 많은 상태이나 일반적으로 활액막 전 절제술이 표준치료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양측 견관절에 동시에 발생한 색소 융모 결절성 활막염으로 내원한 환자에 대해서 관절경적 활액막 절제술을 시행하여 수술소견과 임상 경과에 대해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FSH 활성 특정부위 분석을 위한 eCG 돌연변이체의 기능 분석

  • 박종주;정윤희;김민수;이유연;;윤종택;민관식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08-208
    • /
    • 2004
  • 임신초기 말의 태반으로부터 분비되는 융모성 성선자극 호르몬(eCG)은 황체형성(LH), 난포자극(FSH) 및 갑상선자극(TSH)호르몬과 같이 알파 및 베타 단체의 비공유결합으로 구성되어져 있는 당단백질 호르몬이다. 말의 융모성 성선자극 호르몬은 모체의 자궁내막에 침입한 태아 유래의 융모조직(자궁내막배)에서 합성ㆍ분비되어진다. 알파단체의 아미노산 배열은 동물종내에서 동일하지만, 베타단체는 호르몬에 따라 작용의 특이성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중략)

  • PDF

응급 페동맥 색전 제거술로 진단 및 치유된 폐동맥내 융모막 암종 (Choriocarcinorma in the Pulmonary Artery Diagnosed and Treated by Emergency Pulmonary Embolectomy)

  • 조봉균;김종인;이해영;박성달;김송명;김영옥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7호
    • /
    • pp.531-534
    • /
    • 2003
  • 5년 전 침윤기태(invasive mole)로 진단받았던 43세 여자가 심폐 바이패스 하에 응급 폐색전 제거술을 시행 받았다. 우측 주폐동맥뿐 아니라 좌하엽 폐동맥에도 종양이 침범되어 완전절제는 얻을 수 없었다. 종양 조직검사에서 융모막 암종으로 확진된 후 환자는 6개월 동안 항암치료를 받았고 완전관해 되었다. 드물지만 가임기 여성에서 폐색전이 있을 때 감별진단으로 융모막 암종을 고려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