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휴공간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9초

국도 유휴공간의 개발 계획을 위한 공간정보오픈플랫폼의 활용 (Using Geospatial Information Open Platform for Design and Planning of Route Unused Land)

  • 이동국;고제웅;이현직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95-106
    • /
    • 2015
  • 유휴공간은 기존 도로의 선형개량 및 신규노선 건설, 도로 확장공사 등으로 도로 본래 기능을 상실하여 방치된 도로 부지로 추가적인 활용이 가능한 공간이다. 그러나 현재 일부 유휴공간은 과적 검문소, 자재 적치장, 차량 대기소 등의 소극적인 유지관리와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대부분의 유휴공간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방안과 활용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정보 오픈 플랫폼(브이월드)를 이용하여 유휴공간의 입지조건, 지형특성, 지역 및 문화 특성을 분석하고 유휴공간의 유형을 분류하기 위한 기준을 정립하였다. 유휴공간의 유형에 따라 공간정보 오픈 플랫폼을 이용해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하고 주변 환경과 경관을 고려한 활용 및 개발 모델을 제시하였다. 향후 강원권 국도 유휴공간의 개발계획 및 설계방안을 도출하여 유휴공간의 활용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유휴공간을 활용한 지방소도시 지역재생 방안: 홍천군 사례를 중심으로 (Methods for Regional Regeneration of Local Small City by Utilizing Idle Spaces: Focusing on the Case of Hongcheon-gun)

  • 이나영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43-457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홍천군을 사례로 하여 유휴공간의 활용을 통해 지방소도시의 지역재생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 및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홍천군은 강원국제예술제 대상지로 선정되면서 그 용도가 문화예술공간으로 변화하였고 지역이 가지고 있는 장소성과 특성을 바탕으로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지역을 활성화 시킨 사례지역이다. 그러나 향후 유휴공간의 효과적 활용과 지역재생을 위해서는 첫째, 유휴공간의 체계적 관리와 활용을 위한 지역자원 조사가 필요하다. 둘째, 유휴공간의 관리 및 운영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셋째, 유휴공간의 특성과 지역여건을 고려한 활용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넷째, 유휴공간의 재생 및 활용 가능성을 고려한 연계사업을 활성화해야 한다.

유휴공간의 공간정체성 보존의 중요성 (The importance of space identity preservation of idle space)

  • 우성하;권기창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97-298
    • /
    • 2016
  • 급격하게 변화를 거듭하고 있는 현재의 사회에는 사용하지 않거나 잊혀져가는 유휴공간이 많이 늘어나고 있다. 이런 공간을 기획하여 재탄생한 문화공간은 지역사회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휴공간의 성공적인 문화공간기획이 이루어지기 위한 방법으로써 공간정체성의 보존이 중요함을 말하고자 한다.

  • PDF

유휴공간 활용을 통한 관광산업 발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tourism industry through the use of idle space)

  • 김효경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2호
    • /
    • pp.425-426
    • /
    • 2021
  • 문화콘텐츠는 지역 관광산업을 발전시키는데 핵심적인 요인으로 인식이 되어 전 세계 많은 국가들이 자신들만의 문화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하여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도시재생을 통한 문화콘텐츠 개발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데 그 이유로 도시에서 상대적으로 경제적·문화적으로 낙후되거나 사용하지 않는 유휴공간을 새로이 리모델링함으로써 도시 내 유휴공간을 지역의 특화된 문화예술 공간으로 구축함으로써 하나의 지역 특화 관광산업으로 발전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SERVQUAL을 통해 유휴공간을 통해 제공되는 문화콘텐츠가 관광산업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 보고자 한다.

  • PDF

유휴공간 분석을 위한 오픈소스 GIS 기반의 계획지원체계 (An Open Source GIS Based Planning Support System for Abandoned, Vacant, and Underutilized Land)

  • 김동한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16
    • /
    • 2016
  • 우리나라는 2000년대 이후 급속한 경제성장 시대를 지나 보다 안정된 경제성장 시대에 접어들면서 국토와 도시의 발전형태도 변화하고 있다. 대규모 신개발의 필요성은 점차 감소하는 가운데 도시 외곽에서 파편화된 소규모 개발이 진행되는 한편, 기존 도시 내에서 유휴화 되는 공간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 도시의 압축적 이용을 위해 이러한 유휴공간에 대한 효율적 이용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도시내부에 존재하는 다양한 유휴공간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는 과학적 방법과 수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배경 하에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수행하였다. 첫째, 유휴공간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분석모형을 실험개발하고 부산시를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둘째, 오픈소스 GIS 소프트웨어인 uDig을 활용하여 유휴공간 분석시스템을 실험 구축하고자 한다. 공간적 문제의 파악과 해결을 지원하기 위해 GIS기반의 공간의사결정지원체계나 계획지원체계를 구축하여 활용하는 것은 새로운 시도는 아니다. 그러나 최근 발전하고 있는 오픈소스 GIS를 활용할 경우 기존의 독점적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것과는 차별화된 장점이 있다. 본 연구는 상기와 같은 내용을 기반으로 향후 국토도시에 존재하는 유휴공간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활용하기 위한 오픈소스 기반의 계획지원체계를 구축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유휴공간을 활용한 마을문화공간의 효율적 운영방안 (A Study on the Efficient Use of Village Culture Space based on the utilization of unused spaces - Focused on Gimcheon -)

  • 박경식;문재영;이은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2호
    • /
    • pp.207-209
    • /
    • 2020
  • 최근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특히 지역의 발전과 수익, 지자체의 활성화를 위해 "마을문화공간 활용"에 대한 이슈가 집중되고 있으며, 특히 유휴공간을 활용한 활동들이 많이 이뤄지고 있다. 이 논문을 통해서 지자체와 지역민들이 활용할 수 있는 전략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유휴공간의 재생이 주민 삶의 질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구조 분석 (An Impact Analysis on the Regeneration of Idle Space Affecting the Quality of Resident's Life and Local Economy Revitalization from Urban Regeneration Perspective)

  • 최진욱;이주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29-142
    • /
    • 2016
  • 본 연구는 유휴공간의 재생에 대한 부문별 효과를 평가하여 주민 삶의 질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어떠한 영향 관계 및 구조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가설 설정에 대한 적합성과 통계적 유의성 분석을 통해 전체 총 11개의 가설 중 8개의 가설을 PLS 구조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를 크게 3가지로 요약할 수 있는데 첫째, 유휴공간의 재생을 통해 거주민의 삶의 질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동시에 만족하려면 물리적, 사회적, 문화적 차원에 대한 부문을 기본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둘째, 유휴공간 환경적 차원의 재생은 지자체 차원에서 주도해야 하며, 관 민 협업을 통해 유휴공간의 재생에 대한 효과가 지역경제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유휴공간의 재생을 통해 주민 삶의 질의 향상을 도모하고 이러한 만족이 다시 지역경제 활성화로 이어지는 순환적 효과로 이어지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유휴공간의 재생의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고 이에 대한 영향구조모형에 대한 실증연구로 의의가 존재한다.

군 유휴공간 태양광발전 경제성 연구

  • 장태문;김경남
    • 한국태양광발전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62-70
    • /
    • 2018
  • 대한민국 정부는 '재생에너지 3020 계획'에 따라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0%까지 확대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목표 달성을 위한 태양광발전은 30.8GW을 신규설비로 확보해야 하지만 신재생에너지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은 한정되어 있어 추가적인 공간이 문제가 된다. $297km^2$의 건물 부지를 소관하고 있는 군(軍)은 공공기관 중 가장 넓은 부지를 보유한 단일 기관이다. 이러한 군 유휴공간을 활용한 민간투자방식의 태양광 발전사업 경제적 타당성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제적 효과를 RETScreen을 통해 분석하였고, 그 결과 내부수익률(IRR) 10.7%로 경제적 타당성이 입증되어 민간투자의 사업성을 확인하였다. SWOT분석 결과에 따르면 군 태양광 BOT사업은 전력 모니터링 및 유지보수 등 사업 전 과정에서 보안 요소가 발생하지만, 강한 규제의 산지 및 임야의 대안으로 표준화된 군사시설이, 한 번의 설계로, 유휴공간에 대량 설치가 가능한, 모듈화의 이점을 가지고 있었다.

  • PDF

주민참여가 유휴공간 장소성 형성요인과 관광객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cal Participation on Spatiality-Forming Factors of Idle Space and Intentions of Tourists)

  • 홍순옥;정헌규;최용복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4-5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유휴공간이 가지는 장소성 형성요인이 관광객의 행위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지역 주민의 참여가 장소성 형성요인과 행위의도 사이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관광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모형을 검정하였다. 연구결과 장소성 형성요인 중 물리적 요인과 행태적 요인, 심리적 요인이 부분적으로 관광객의 행위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주민참여는 장소성 형성요인과 행위의도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매개역할을 하고 있는 점이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라 유휴공간 활용시 주민참여의 필요성과 그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으며, 다양한 유휴공간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유휴공간 관점의 디트로이트 빈집정비 방식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etroit's Improving Empty Homes Method from the perspective on abandoned space)

  • 오준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475-480
    • /
    • 2016
  • 도심의 활력이 떨어짐에 따라 주거지역에서는 빈집이 발생하고 부동산의 개발이 빠르게 이루어지지 못해 버려진 빈집이 유휴공간으로 방치되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휴공간의 관점에서 빈집의 정의를 바탕으로 디트로이트시의 빈집정비 제도와 방식의 특성을 도출한다. 빈집정비는 근본적으로 도시쇠퇴의 문제해결과 방지를 위함이고, 디트로이트 도시쇠퇴 지역의 빈집정비 특성을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빈집정비 현실과 상황에 적용하는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분석에 따른 디트로이트시의 빈집정비 특성으로는 1. 유휴부지의 조사와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작업에 주민 참여와 그 데이터를 개방하는 것이 특성으로 나타났다. 2. 유휴부지의 잠재적인 가능성에 따른 재생전략의 다양화를 통한 개발이 특성으로 분석된다. 3. 재생과정의 다원성 확보로 특히 공공과 민간의 역할이 분명하다. 따라서 우리나라에 빈집정비에 적용해야 할 결론으로는 유휴공간의 관점에서 빈집을 주거에 국한시키지 말고 유휴부지도 적극적인 활용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또 주민의 참여에 하향식이 아닌 수평적 관계나 오히려 상향식의 참여가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내용을 포함하는 가이드라인의 작성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