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Impact Analysis on the Regeneration of Idle Space Affecting the Quality of Resident's Life and Local Economy Revitalization from Urban Regeneration Perspective

유휴공간의 재생이 주민 삶의 질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구조 분석

  • 최진욱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개발경영.교통학과) ;
  • 이주형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개발경영.교통학과)
  • Received : 2015.11.17
  • Accepted : 2015.12.22
  • Published : 2016.02.28

Abstract

This study evaluates the sectoral effects of the regeneration of the idle space and aims to analyze the impact relationship and structure with the quality of residents's life and local economy revitalization. this study verifies the 8 hypotheses from total 11 ones through the PL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suitability test for setting the hypothesis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test.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into 3 parts. First, If physical, social and cultural aspects should be considered, Regeneration of idle space could meet the 2 pasts such as quality of residents life and local economy revitalization at the same time. Secondly, the regeneration of idle space from environmental aspect should be led by the local government and let it's effect leaded to local economy revitalization through the collaboration of private and public sector. Finally, it should promote the quality of resident's life and let the satisfaction linked to cyclical effects with local economy revitalization. This study has an significance that it provides the theoretical basis for regeneration of idle space and it is an empirical study for impact structure model.

본 연구는 유휴공간의 재생에 대한 부문별 효과를 평가하여 주민 삶의 질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어떠한 영향 관계 및 구조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가설 설정에 대한 적합성과 통계적 유의성 분석을 통해 전체 총 11개의 가설 중 8개의 가설을 PLS 구조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를 크게 3가지로 요약할 수 있는데 첫째, 유휴공간의 재생을 통해 거주민의 삶의 질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동시에 만족하려면 물리적, 사회적, 문화적 차원에 대한 부문을 기본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둘째, 유휴공간 환경적 차원의 재생은 지자체 차원에서 주도해야 하며, 관 민 협업을 통해 유휴공간의 재생에 대한 효과가 지역경제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유휴공간의 재생을 통해 주민 삶의 질의 향상을 도모하고 이러한 만족이 다시 지역경제 활성화로 이어지는 순환적 효과로 이어지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유휴공간의 재생의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고 이에 대한 영향구조모형에 대한 실증연구로 의의가 존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교선, 친환경 인증 계획요소가 공동주택 거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2. 하미경, 김아현, 이효창,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도심 지하공간의 커뮤니티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2권, 제3호, pp.205-216, 2013. https://doi.org/10.14774/JKIID.2013.22.3.205
  3. 최성환,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철도폐선부지의 활용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4. 김연진, "유휴공간의 문화적 활용의 의의와 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정책논총, 제21권, pp.185-207, 2009.
  5. 박선미, 유휴공간의 역사, 문화성을 활용한 콘텐츠와 방안_신안 증도 폐염전 및 소금창고 활용사례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6. 김현주, 도시재생 맥락에서의 유휴산업시설 재활용 계획 방법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7. 김해천, "한국적 도시재생의 개념과 유형, 정책방향에 관한연구," 한국도시행정학회, 도시행정학보, 제26권, 제3호, pp.1-22, 2013.
  8. 도시재생사업단, "한국 도시쇠퇴의 실태와 특성," 토론회 자료, 2010.
  9. 이왕건, 박태선, 박정은, 류태희, 이유리, 지역자산 활용형 도시재생 전략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2011.
  10. 김현주, "유휴공간 재활용 계획에 나타나는 도시 재생개념의 영향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7권, 제6호, pp.103-112, 2011.
  11. 김기홍, "지방도시 도심 분석과 도시재생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기학술대회논문집, 2007.
  12. 강동진 "산업유산 재활용을 통한 지역재생 방법론 연구-산업유형별 비교를 중심으로," 도시설계학회, 도시설계학회지, 제11권, 제1호, pp.157-178, 2010.
  13. 서기영, 이상욱, "폐교시설활용의 실태 및 장애요인에 관한 연구-청소년수련원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지, 제27권, 제2호, pp.11-21, 2011.
  14. 임유경, 근린재생을 위한 도시 내 유휴공간 활용 정책방안 연구, 건축도시공간 연구소, 2012.
  15. 김세영, 이재규,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유휴공간의 재생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9권, 제3호, pp.17-29, 2014.
  16. 정민채, 역사문화유적지의 교육성.브랜드가치.선택속성이 관광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17. 이금실, 이형룡, "하드 래더링 기법을 이용한 축제참가객의 가치체계에 관한 연구-충남보령 머드축제 참가객을 대상으로," 대한관광경영학회, 관광연구, 제25권, 제6호, pp.237-253, 2011.
  18. 신은주, 이영선, "문화예술상품 소비자의 가치인식이 추구혜택과 상품속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마케팅학회, 아시아마케팅저널, 제14권, 제2호, pp.177-207, 2012.
  19. 현진, 강신겸, "문화소비성향과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문화시설의 관객 세분화," 한국문화경제학회, 문화경제연구, 제16권, 제1호, pp.79-101, 2013.
  20. 장혜원, 문화관광자의 가치체계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21. 차민경, 권상희, "공연예술 소비자의 소셜미디어 가치사슬과 문화자본 형성 구조 연구-수단-목적 사슬 이론을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30권, 제4호, pp.219-261, 2013.
  22. 김지영, 유진형, 김철중, "도시재생 관점에서 바라보는 유휴공간 활성화 방향 연구-고가하부공간을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8권, 제1호, pp.75-83, 2013.
  23. 박은영, "뇌성마비 아동의 일상생활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10호, pp.206-217,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10.206
  24. 유일, 김소라,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대학졸업예정자들의 구직의도 영향요인 및 인과구조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198-212, 2013.
  25. W. W. Chin, "The Partial Least Squares Approach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odern methods for business research, Vol.295, No.2, 1998.
  26. A. Rai, R. Patnayakuni, and N. Seth, "Firm Performance Impacts of Digitally Enabled Supply Chain Integration Capabilities," MIS Quarterly, Vol.30, No.2, 2006.
  27. 황중만, 이주형, "친환경 계획요소가 초고층 복합주거 거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3호, pp.438-450,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3.438
  28. 유재갑, 대학의 온라인과 오프라인 강의 서비스 품질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29. C. R. Fornell and D. F. Larcker, "Stur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No.3, 1981.
  30. 송호창, 테크노파크 기업지원성과 관리를 위한 평가지표 개발 및 성과영향요인 분석,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31. D. Barclay, R. Thompson, and C. Higgins, "The partial least squares(PLS) approach to causal modeling," personal computer adoption and useasan illustration. Technology Studies, Vol.2, No.2, 1981.
  32. R. Patnayakuni, A. Rai, and N. Seth, "Relational Antecedents of Information Flow Integration for Supply Chain Coordination,"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Vol.23, No.1,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