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효인산

검색결과 664건 처리시간 0.02초

논토양에서 유효인산 함량과 인산 흡수능에 따른 0.01 M CaCl2 가용 인산 농도 변화 (Dependence of 0.01 M CaCl2 Soluble Phosphorus upon Extractable P and P Sorptivity in Paddy Soil)

  • 정병간;윤정희;김유학;김석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384-390
    • /
    • 2003
  • 논토양의 환경기준 인산지표 예측기술개발을 위하여 논토양 35점을 $25{\pm}1^{\circ}C$ 에서 1, 2, 4주간 담수 항온한 결과 담수 항온 전 풍건 토양의 $0.01M\;CaCl_2$ 가용인산 함량과 유효인산 함량 및 인산흡수능의 관계는 습토로 분석할 경우 상관계수의 크기는 유효인산/인산흡수량>유효인산>유효인산/인산흡수계수>인산흡수량>총인산>인산흡수계수 순이었고, 항온기간별 상관계수 크기는 습토로 분석할 경우 항온이 길어질수록 상관계수는 점점 낮아 졌으나, 건토로 분석할 경우는 이와 반대 경향이었다. 토양의 유효인산 함량과 인산흡수량을 활용하여 $0.01M\;CaCl_2$ 가용인산 농도를 추정할 수 있는 관계식 $0.01M\;CaCl_2-P=0.0828$ (유효인산/인산흡수량) + 0.0374을 얻었으며, 이러한 관계식은 토양의 인산 함량과 인산흡수 특성을 고려하여 작물재배에 필요한 적정 유효인산 함량의 추정과 토양 인산의 유실 가능성 등을 예측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낙동(洛東)벼의 토양중(土壤中) 유효인산(有效燐酸) 이용(利用)과 그 정량방법(定量方法) (Utiliz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Method of Available Phosphorus in Soils for Nak-Dong Rice)

  • 김용주;김진호;박우철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5권
    • /
    • pp.59-67
    • /
    • 1987
  • 토양중(土壤中) 유효인산(有效燐酸) 함량(含量)을 기준(基準)으로 하여 낙동(洛東)벼 재배(栽培)에 인산(燐酸) 시비량(施肥量)을 결정(決定)하고 낙동(洛東)벼 재배(栽培)에 이용(利用)할 수 있는 유효인산(有效燐酸) 정량방법(定量方法)을 알아보고자 상관계수(相關係數)를 조사(調査)하였다. 또 낙동(洛東)벼의 유효인산(有效燐酸) 이용(利用)과 인산시용(燐酸施用) 효과(效果)를 조사(調査)하기 위(爲)하여 토양중(土壤中) 유효인산(有效燐酸) 함량(含量)과 토양(土壤)의 물리화학적(物理化學的) 성질(性質)이 상이(相異)한 토양(土壤)을 공시(供試)하여 pot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낙동(洛東)벼의 이앙(移秧) 후(後) 생육(生育)은 무인산구(無燐酸區)에 비(比)해 인산시용품(燐酸施用區)의 초기(初期) 생육(生育)이 촉진(促進)되었고, 분벽(分檗)이 증가(增加)했으며, 위 실험(實險)에 사용(使用)된 4지역(地域)의 토양(土壤)에서 토양(土壤)A는 인산시용량(燐酸施用量)이 $5kgP_2O_6$/10a까지 분벽수(分檗數), 초장(草長), 그리고 수량(收量)에 큰 영향(影響)을 미치는 유효경수(有效莖數), 입수(粒數)가 증가(增加)했고 그 이상(以上) 시용(施用)에서는 별다른 차이(差異)가 없었다. 토양(土壤)B와 C, D에서는 인산(燐酸) 시용량(施用量)이 $10kgP_2O_6$/10a까지 유효경수(有效莖數), 수량(收量)이 증가(增加)했고 그 이상(以上) 시용(施用)에서는 차이(差異)가 크지 않았다. 유효인산(有效燐酸) 정량방법별(定量方法別) 유효인산(有效燐酸) 함량(含量)은 Bray No.2법(法)이 가장 높았고, Lancaster법(法)과 Bray No.1, North Carolina, Olsen 법(法)의 순(順)으로 감소(減少)하였다. Pot시험(試驗) 결과(結果) 정량(定量) 방법별(方法別) 유효인산(有效燐酸) 함량(含量)과 상대수량(相對數量)과의 상관계수(相關係數)는 North Carolina법(法)이 0.952로 가장 높았다.

  • PDF

밭토양(土壤)에서 유효린산함량(有效燐酸含量)과 인산흡수능(燐酸吸收能)에 따른 0.01M CaCl2 가용(可溶) 인산농도(燐酸濃度) 변화(變化) (Dependence of 0.01M CaCl2 Soluble Phosphorus on Extractable P and P Sorptivity in Upland Soil)

  • 윤정희;정병간;김유학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66-270
    • /
    • 1998
  • 밭토양의 수용성 인산농도의 예측방법을 개발 할 목적으로 토양특성이 다양한 40개 토양에 대하여 0.01 M $CaC1_2-P$와 유효인산 및 인산흡수능 등과의 관계를 검토한 결과, 직선회귀관계에서 0.01 M $CaC1_2-P$와의 결정계수는 유효인산이 $0.479^{**}$, 부영양화인산이 $0.281^{**}$이었으며 토양의 인산흡수능중에는 인산흡수량이 $-0.465^{**}$, 인산흡수계수가 -$-0.056^{NS}$이었다. 0.01 M $CaC1_2-P$와 독립 변수인 유효인산과 인산흡수능을 함께 고려한 2차 다항 회귀관계로 보면 결정계수가 $0.745^{**}$로 향상되었고 독립변수로 유효인산과 인산흡수계수를 함께 고려하면 결정계수가 $0.566^{**}$ 이었으며 유효인산/인산흡수량의비를 독립변수로 하여 만든 지수함수식(指數函數式)에서는 결정계수가 0.818로 크게 향상되었다.

  • PDF

경작지(耕作地) 전토양(田土壤)의 인산특성(燐酸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I. 축적인산(蓄積燐酸)의 형태별(形態別) 조성(造成)과 유효인산(有效燐酸) 함량(含量)과의 관계(關係)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Phosphorus in the Upland Soil I. Composition of Accumulated Phosphorus Forms and Available Phosphorus)

  • 신철우;김정제;윤정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1-29
    • /
    • 1988
  • 인산(燐酸) 축적지(畜積地) 토양(土壤) 149점(點)(시건설원예지(施設園藝地) 60점(點), 마늘, 양파, 고추 재배지(栽培地) 89점) 에 대한 무기태인산(無機態燐酸)의 형태별(形態別) 조성(造成)과 유효인산(有效燐酸) 함량(含量)과의 관계(關係)를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총(總) 인산(燐酸)에 대한 무기태인산(無機態燐酸)의 분포비(分布比)는 68.9%(Sa-p 2.7, Al-p 26.4, Fe-p 27.6, Ca-p 12.2), 유기태인산(有機態燐酸)은 6.7%, 유효인산(有效燐酸)은 26.0%이었따. 2. 유효인산함량(有效燐酸含量)과 무기태인산(無機態燐酸) 함량(含量)과의 상관관계(相關關係)에서 Al-p와는 0.1%에서 유의성(有意性)있는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내었으며, Sa-p, Ca-p 순으로 유의성(有意性)을 보였고 Fe-p와는 일정한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내지 않았다. 3. 유효인산함량(有效燐酸含量)과 무기태인산(無機態燐酸) 함량(含量)과의 다중회귀분석(多重回歸分析) 결과(結果) $Av.P=81.694+0.858Sa-p^{***}+0.648Al-p^{***}+0.091Ca-p^{**}(R=0.826^{***})$의 관계식(關係式)을 얻었으며, 각 성분(成分)의 기여도(奇與度)는 Sa-p 26.1, Al-p 65.2, Ca-p 8.7%이었다. 4. 유효인산함량(有效燐酸含量)과 수용성인산(水溶性燐酸), 수용성인산(水溶性燐酸)과 $0.01M-CaCl_2-p$와는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 있는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내었고, $0.01M-CaCl_2$ 용액(溶液)에 의한 30분(分) 추출법(抽出法)은 토양용액(土壤溶液) 인산(燐酸)을 신속(迅速) 간편(簡便)하게 추정(推定)할 수 있는 방법(方法)으로 생각되었다.

  • PDF

인산축적 뽕밭의 인산 감량시비에 관한 연구 (Reduction of Phosphorus Fertilizer in Mulberry Fields, High in Phosphate)

  • 이원주;최영철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16
    • /
    • 1993
  • 인산이 축적된 뽕밭에서 인산 시비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유효인산 300ppm 정도 포장 2개소, 450 ppm정도 포장 1개소에서 인산 표준시비량구(13kg/10a), 반량구, 무인산구, 무시비구 등을 설정하여 4년동안의 포장시험과 엽질검정을 위한 누에 사육시험을 3년동안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1. 토양유효인산 함량이 450ppm포장에서는 4년간 계속된 인산 무시비구에서도 뽕잎 수량감소가 없었으나, 300ppm포장에서의 무인산구에서는 3년차 봄부터, 인산 반량구에서는 4년차 가을부터 감수가 시작되었다. 2. 연차별로 토양 인산의 감소에 따른 수량감소와의 관계에 의하여 인산시비 개시 시기를 조사한 결과, 토심 10~20cm 부위에서 유효인산의 함량이 150ppm 이하로 떨어졌을 때 인산시비를 개시하는 것이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인산 감량시비에 따른 뽕잎 중의 인산함량은 표준량 시비구 대비 0.18%까지 감소하였다. 4. 인산의 감량시비가 뽕잎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3년간 토양인산 300ppm 포장의 뽕잎으로 누에를 사육하여 검정한 결과, 인산 무시비에 의해 수량이 감소하고, 엽중의 인산 함량이 최저 1.13%까지 감소하였어도, 수견량 및 견질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 PDF

퇴비화 과정 중 인산의 가용화와 무기태 인산의 변화 (Changes and Availability of Inorganic Phosphate during the Composting (Pig Manure))

  • 이유리;이종은;장기운
    • 유기물자원화
    • /
    • 제11권1호
    • /
    • pp.127-128
    • /
    • 2003
  • 본 연구는 퇴비화 과정 중 난용성 인산의 가용화와 무기태 인산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비료와 퇴비중의 인산형태는 다른 성분들보다 토양에 흡착 또는 고정되거나 불용화 되는 양이 많아 작물의 흡수량이 적다. 시비된 인산의 흡수율은 낮고, 그 대부분은 난용화되기 때문에 토양에 축적되거나 세탈과 용탈에 의해 수질을 오염화시키는 주원인이 되고 있다. 퇴비화 과정중의 인산형태별 함량변화를 분석조사하여 작물에 시비되는 인산비료와 퇴비의 시용량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인산의 과잉 시비량을 저감시키기 위한 연구이다. 돈분을 원료로 한 퇴비화 과정에서 단계별로 퇴비시료를 채취하여 총인산(T-P), 유효인산(Avail. -P)과 무기태인산분획별(Ca-P, Al-P, Fe-P)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퇴적더미의 초기부피는 570L였으며, 약 2개월간의 퇴비화를 통해서 시료채취와 미생물등의 분해작용으로 최종부피는 430L정도로 감소하였다. 이는 초기의 부피보다 25% 감소하였다. 퇴적더미의 분해로 인한 용적밀도의 변화를 고려하면, 총인산 함량은 초기 약 17,500mg/kg에서 최종시료는 22,500mg/kg로 증가되었다. 또한 퇴비화가 진행됨에 따라 인산의 가용태가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초기의 유효인산이 4,500mg/kg에서 최종시료에서는 8,900mg/kg으로 증가되었다. 그리고 무기태 인산분획별 인산의 형태별 변화를 조사한 결과, 퇴비화 과정 중 Ca-P의 경우 pH와의 중요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었다. 유기물분해를 통해 유리된 인산과 Ca은 난용태로 전환되는데, 초기의 약 10일 동안 Ca-P의 감소원인은 pH의 감소로 인한 Ca이 유리되는 정도가 낮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초기 Ca-P형태의 인산함량은 11,900mg/kg으로 Fe-P와 Al-P보다 많았다. 또한 퇴비화가 안정화되어 부숙된 최종시료의 무기태 인산분획물 중 Ca-P는 18,000mg/kg로 증가하였으며, Ca-P>Al-P>Fe-P의 순 이었다. 그러나 Al-P와 Fe-P 형태의 무기태인산은 초기의 함량비율보다 다소 감소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퇴비화과정 중 단계별 인산함량의 형태전환을 분석한 결과 총인산의 함량은 퇴비화가 안정화될수록 부피감소로 인한 인산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유기물질의 분해로 인한 원료내 인산의 형태가 불용태와 난용태에서 가용태 인산으로 전환되는 것을 도출하였다. 또한 무기태 인산분획물에서는 Ca-P 인산형태가 퇴비화가 진행될수록 증가한다는 결과를 얻었으며, Fe-P와 Al-P는 분해된 유기물의 킬레이트작용으로 감소되었다고 판단되며, 그 존재형태가 경쟁적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화학비료와 퇴비의 시용이 병행될 경우에는 퇴비의 가용태 인산함량뿐만 아니라 무기태 인산의 함량을 분석한 후 인산질비료의 시비량을 조절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밭 토양에서 패화석비료 시용에 따른 유효인산의 증대 (Increased Available Phosphate by Shell Meal Fertilizer Application in Upland Soil)

  • 이창훈;이주영;하병연;김필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52-57
    • /
    • 2005
  • 굴껍질을 주원료로 하는 패화석비료가 토양개량제로서 배추의 생육 및 수량을 증진시키고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평택통 (Fine silty, Typic Endoaquepts)의 밭 토양에 굴패화석비료를 0, 4, 8, 12, and $16Mg\;ha^{-1}$ 처리하여 봄배추를 재배하는 과정 중 패화석비료 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토양내 유효인산함량은 일정하게 증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유효인산 함량의 증가는 1차적으로 패화석비료내 포함된 인산 ($1.5g\;P_2O_5\;kg^{-1}$)의 직접투입이 토양 내 전 인산을 증가시키고 유효인산을 증진시킨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리고 알카리성 제재인 패화석비료가 pH 5.8의 공시토양의 pH를 중성범위로 높이면서 간접적으로 유효인산함량을 증진시킨 것으로 해석되었다. 패화석비료의 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토양내 수용성 인산과 Ca-P 함량을 다소 증가시켰으나, Al-P와 Fe-P의 비율을 크게 감소되었다. 결과적으로 패화석비료는 토양내 유효인산함량 증진에 효과가 있으며, 이렇게 많아진 유효인산을 이용하여 인산시비량을 저감하고 나아가 인산유출을 저감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제주도토양의 무기태인산(無機態燐酸) 조성(組成)과 유효인산의 정량법(定量法) 비교(比較) (A Study on Composition of Inorganic phosphorus Forms and Methods of Determining Available Phosphorus in Volcanic Ash)

  • 신철우;류인수;윤정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93-97
    • /
    • 1981
  • 4종(種)의 제주도 토양에 인산질비료(燐酸質肥料)를 시용(施用)한후 무기태인산(無機態燐酸)의 형태별(形態別) 함량변화와 수종 침출액(浸出液)에 의한 유효인산(有效燐酸) 침출량(浸出量)을 실내실험으로 조사(調査)하여 비교(比較) 검토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총인산에 대한 무기태인산(無機態燐酸)의 비율(比率)은 토양종류에 따라 달라 Al-P는 6.9-28.8%, Fe-P는 24.1~26.9%, Ca-P는 7.4~11.9% 범위이며 유효인산(有效燐酸)은 0.7-8.0%로 매우 낮았다. 2. 토양종류별로 인산(燐酸)을 시용(施用)한 후(後) 60일후(日後)에 조사(調査)한 토양인산의 형태별(形態別) 조성(組成)을 본 결과(結果) 흑색토(黑色土)에서는 Al-P>Fe-P> Ca-P, 농암갈색토(濃暗褐色土)에서는 Fe-P> Al-P> Ca-P, 암갈색토(暗褐色土)에서는 Fe-P> Ca-P> Al-P. 적황색토(赤黃色土)에서는 Fe-P> Al-P> Ca-P의 순(順)으로 나타나 토양별 차이(差異)가 있었다. 3. 5종(種)의 침출액(浸出液)으로 토양별 유효인산(有效燐酸)을 검정한 결과(結果) Bray No.2법(法)은 토양종류에 관계없이 어느 토양에서나 침출능(浸出能)이 컸으나 그 외의 방법(方法)들은 토양의 종류별(種類別)로 침출능(浸出能)이 상이(相異)하게 나타났다. 4. 유효인산(有效燐酸) 침출방법(浸出方法)과 무기태인산(無機態燐酸) 함량(含量)과의 관계에서 Bray No.2법(法)은 Ca-P와 5%수준에서, Olsen법(法)은 Al-P, Fe-P, Ca-P 및 Total-P와 각각 1%수준에서 유의(有意)한 관계를 보였다.

  • PDF

경작지(耕作地) 전토양(田土壤)의 인산특성(燐酸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III. 인산(燐酸) 흡수력(吸收力)이 상이(相異)한 밭토양(土壤)에서 대두(大豆)에 대(對)한 시용인산(施用燐酸)의 비효(肥效)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Phosphorus in the Upland Soil -III. Yield Responses of Added Phosphorus for Soybean in Soils with Different Capacities of Phosphorus Sorbed)

  • 신철우;김정제;윤정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72-279
    • /
    • 1988
  • 토양(土壤)의 인산함량(燐酸含量)과 인산(燐酸)의 고정력(固定力)이 상이(相異)하고 토양(土壤)의 특성(特性)을 달리하는 11개(個) 밭토양(土壤)에서 인산(燐酸)을 여러 수준(水準)으로 시용(施用)하고 대두(大豆)를 재배(栽培)하여 토양(土壤)의 여러 인산분획물(燐酸分劃物)이 대두(大豆)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과 인산(燐酸) 분획물(分劃物)들 간(間)의 관계(關係)에 대하여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양중(土壤中) 유효인산함량(有效燐酸含量)이 낮고 인산(燐酸)의 고정력(固定力)이 큰 토양(土壤)에서 인산(燐酸)의 비효(肥效)가 컸으며 대두(大豆) 수량(收量)은 유효인산(有效燐酸) 및 무기태인산함량(無機態燐酸含量)과 유의성(有意性)있는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보였다. 2. 토양(土攘)에 시용(施用)된 인산(燐酸)이 유효인산(有效燐酸) 으로 변화(變化)되는 비율(比率) 즉 유효인산화율(有效燐酸化率)은 2.5-91.7% 범위(範圍)로 토양(土壤)의 종류(種類)에 따라 상이(相異)하였으며 평균(平均) 48.5%이었다. 3. 대두(大豆) 수량(收量), 식물체(植物體) 인산함량(燐酸含量) 및 흡수량(吸收量)과 개화기(開化期)기 토양중(土壤中)의 유효인산(有效燐酸) 및 무기태(無機態) 인산함량(燐酸含量)과의 관계(關係)에서 대두(大豆) 수량(水量)은 유효인산(有效燐酸), Al-P 및 Ca-P와 식물체(植物體) 인산함량(燐酸含量) 및 흡수량(吸收量)과는 Fe-P를 제외(除外)하고 모두 유의성(有意性) 있는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보였으나, Fe-P함량(含量)도 제주통(濟州統)을 분리(分籬)해서 보면 유의성(有意性)있는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보였다. 4. 개화기(開花期) 토양중(土壤中) Al-P/Fe-P 비(比)는 인산(燐酸) 시용량(施用量)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증가(增加)되었으며, 그 증가폭(增加幅)은 토양(土壤)의 종류(種類)에 따라 상이(相異)하였고, 대두수량(大豆收量), 인산(燐酸) 흡수량(吸收量), 토양(土壤) 및 식물체(植物體) 인산함량(燐酸含量)과 유의성(有意性) 있는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보였으나, Fe-P와는 유의성(有意性) 있는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보이지 않았다. 5. 개화기(開化期) 토양(土壤)의 인산(燐酸) 흡수량(吸收量)은 인산(燐酸) 시용량(施用量)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점점 감소(減少)되었으며, 감소(減少) 정도(程度)는 인산(燐酸)의 고정력(固定力)이 낮은 토양(土壤)에서 크고 인산(燐酸)의 고정력(固定力)이 큰 토양(土壤)에서 작았다. 한편 토양(土壤)의 인산(燐酸) 흡수량(吸收量)은 토양(土壤) 및 식물체(植物體) 인산함량(燐酸含量), 식물체(植物體) 인산(燐酸) 흡수량(吸收量), 무기태(無機態) 인산(燐酸)(Sa-P, Al-P, Ca-P) 함량(含量)과 유의성(有意性) 있는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보였으며, 수량(收量)과는 유의성(有意性)은 없었지만 부(負)의 상관경향(相關傾向)을 보였다.

  • PDF

화산회토양에서 인산 시용 수준별 탱자 유묘의 공생균근 형성과 생육 및 무기양분 흡수 (Mycorrhizae Formation, Growth and Mineral Nutrient Uptake of Poncirus trifoliata in Response to P Application in Volcanic Ash Soil)

  • 강석범;문두길;정종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311-322
    • /
    • 2003
  • 공생균근은 식물 뿌리에 의한 인산 등 무기염류의 흡수를 촉진시키지만 토양의 인산 농도 가 너무 낮거나 높으면 공생균근 형성이 억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화산회토양에서 감귤 뿌리의 공생균근 형성에 적합한 유효인산 수준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중과석을 인 공급원으로 하여 인산 시용량을 $0-1000mg\;kg^{-1}$으로 달리한 토양에서 공생균근균 접종과 비접종 처리로 나누어 탱자 유묘를 화분에 심어 유리온실에서 5개월 동안 재배하였다. 탱자 유묘의 공생균근 형성율은 인산 무시용구(유효인산 함량 $0.73mg\;kg^{-1}$)에서 33%이었는데, $50mg\;kg^{-1}$ 시용구(유효인산 함량 $2.6mg\;kg^{-1}$)에서 43%로 증가되었지만 $200mg\;kg^{-1}$ 시용구(유효인산 함량 $8.3mg\;kg^{-1}$)에서는 34%로 무시용구와 비슷하였고 그 이상 인산 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형성율은 오히려 감소하였다. 공생균근균의 접종으로 초장, 생체중 및 건물중 등으로 측정된 탱자 유묘의 생장은 비접종 처리구와 비교하여 모든 인산 처리 수준에서 증가되었으며, 그 증가량은 공생균근 형성율에 비례하였다. 그리고 탱자 유묘의 인산을 비롯한 무기양분 흡수량도 모든 인산 처리 수준에서 공생균근 형성율과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