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행몰입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6초

영향 변인에 따른 색채 선호도와 의복색 소유도의 차이 -유행 몰입도, 연령, 신체 치수 및 신체 만족도를 중심으로- (The Differences in Color Preference and Possession of Apparel Color Preference by Influential Factors -Focusing on fashion involvement, age, body size and body-cathexis)

  • 이명희;김미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88-199
    • /
    • 2003
  •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general & apparel) color preference and possession of apparel color preference(POA) by influential factors(fashion involvement, age, body-size and body- cathexis). We collected data from 303 females in the ages of 20's and 40's living in Seou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the fashion involvement was categorized into three aspects: coordinating fashion involvement, opinion-leading fashion involvement, and innovating fashion involve me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fashion involvement groups in the color preference and POA. Also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lor preferences and POA by ages and body-size were found. But in the analysis based on body-cathexis, no noticeable variance between different groups were found.

청소년의 비행정도와 정보탐색 및 유행몰입과의 관계연구 (A Study on Information Search and Fashion Involvement as related to the Degree of Adolescent Delinquency)

  • 이은실;이명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02-413
    • /
    • 1999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degree of delinquency and clothing buying behavior information search and fashion involvement and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s of adolescent delinquency demographic variables and fashion involvement on information search.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537 high school students(male ; 225, female : 312) in Seoul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1. Four factors of adolescent's delinquency derived by factor analysis : F. 1 'general position delinquency' F. 2 'school-norm delinquency' F3. 'personal delinquency' : F.4 'sexual delinquency'. 2.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degree of adolescent's delinquency and information search and fashion involvement.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degree of delinquency and degree of clothing purchasing frequency. companion while shopping and source of clothing expenses. 3. In the case of male students fashion involvement and sexual delinquency had a direct effect on information search(R2 =.278) General position delinquency and allowance had a indirect effect on information search through Father's level of education had a direct effect on allowance. the present findings provide that in general the more allowance students received the higher the general position delinquency for both males and females, The higher the general position delinquency the higher the degree of fashion involvement and information search.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relatively mild delinquency acts such as drinking. smoking and going to discothque have more influence on fashion involvement and information search that serious delinquency acts such as violence and robbery.

  • PDF

의류 패션산업에서 순한글과 외래어 용어에 대한 감성비교 (Emotion and Sensibility Comparison between Loanword and Hangul Label in Fashion Industry)

  • 윤용주;나영주
    • 감성과학
    • /
    • 제18권1호
    • /
    • pp.79-94
    • /
    • 2015
  • 본 연구는 패션산업에서 상품라벨과 패션용어의 형태, 즉 한글과 외래어, 외국어 등 표기 종류에 따라 소비자의 감성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분석한 것이다. 20대 소비자 200명을 대상으로 패션아이템 1종에 대한 라벨 1종과 3종 패션용어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외래어 영어표기, 외래어 한글표기, 순한글표기 등 3가지 형태에 대해 15개 형용사로 구성된 감성 척도를 이용하여 감성을 측정하였고 또한 선호도와 상품에 대한 예상가격을 질문하였다. 결과로는 소비자들은 라벨에서 한글보다 외래어를 선호하였으며 외래어 라벨 중에서도 한글표기보다 영어표기를 선호하였다. 외래어 라벨을 볼 때 소비자들은 패션 제품이 더 '긍정적이고 세련되고 화려하며 우아하다'고 평가하고 있었으며 또 상품의 가격을 더 높은 것으로 예상하였다. 즉 외래어 영어표기 라벨이 모든 평가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고, 외래어 한글표기가 다음 순이었으며, 순한글 라벨은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다. 소비자들은 자신의 유행 몰입도에 따라서 감성 평가를 부분적으로 다르게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행 몰입도가 높은 소비자들은 낮은 소비자보다 외래어를 볼때 '세련된 우아한 화려한' 등에 대해서 더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또한 유행몰입도가 높은 소비자들은 낮은 소비자보다 순한글표기 라벨을 볼 때 '친근한, 안정된' 등에 대해서 더 높게 또는 외래어와 유사하게 평가하고 있었다.

VR을 이용한 방 탈출 게임 (Room Escape Game using VR)

  • 유준영;김덕연;조요한;이진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20-923
    • /
    • 2017
  • 최근 방 탈출 게임이 두뇌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지면서 유행이 되었다. 하지만 PC, 모바일의 경우 몰입도가 떨어지고, 현실의 경우 시간과 장소의 제약이 생긴다. 이러한 제약 요소를 해소하기 위해 기존의 방 탈출 게임과 VR기술을 접목시킨 몰입형 미션 시뮬레이션 게임을 기획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VR 방 탈출 시뮬레이션 게임을 제작하기 위해 사용된 S/W와 H/W 구성도, 기능 및 시스템 시나리오 그리고 게임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기대효과를 4가지 유형으로 기술하였다.

라이브 커머스의 IT 어포던스가 상호작용성과 몰입감,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ive Commerce's IT Affordance on Interactivity, Immersion, and Purchase Intention)

  • 주은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734-751
    • /
    • 2022
  • 실시간 온라인 방송이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보급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코로나 19 대유행으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됨에 따라 국내 온라인 쇼핑 분야에서 전례 없는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IT 어포던스의 관점에서 라이브 커머스의 디지털 플랫폼 차원의 기술 어포던스 특성이 이용자의 상호작용성과 몰입감을 매개로 구매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국내 라이브 커머스 이용 경험자 44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플랫폼의 메타보이싱과 쇼핑가이드 특성을 높게 인지할수록 이용자의 상호작용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품에 관한 가시성이 뛰어나다고 느낄수록 이용자는 쇼핑 상황에 더 몰입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나아가 상호작용성과 몰입감은 매개 변수로서 IT 어포던스 특성이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라이브 커머스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여대생의 의복 충동구매 차원과 충동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유행몰입과 유명상표 선호도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of Impulse Buying of Clothing and Their Relation to Fashion Involvement and Becognized Brand Preference of College Women)

  • 구자명;이명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5-45
    • /
    • 1997
  •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classify the contents of impulse buying of clothing products and to investigate how the impulse buying was influenced by fashion involvement, recognized brand preference, and impulsiveness. Samples were 238 college women in Seoul, Korea.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1. Four factors of impulse buying derived by factor analysis; F 1 'sensitive aspects of products stimulation'; F. 2 'utility aspects of products stimulation'; F. 3 'consumer situation stimulation'; F. 4 'marketing situation stimulation'. 2. Impulsiveness had a positive relation with impulse buying, fashion involvement, and recognized brand preference. Fashion involvement had a positive relation with recognized brand preference and impulse buying. 3. Impulse buying was influenced by fashion involvement and impulsivenes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2 variables was 9.3%. 4. Fashion involvement was influenced by sensitive aspects of products stimulation, major, recognized brand preference, income, and grade.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5 variables was 23.7%. 5. Recognized brand preference was influenced by income, fashion involvement, and marketing situation stimulation.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3 variables was 11.2%.

  • PDF

체감형 스크린 스포츠 게임 유저 인터페이스 개발 (Development of User Interface for Motion-based Screen Sports Game)

  • 유왕윤;오종환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09-118
    • /
    • 2017
  • 스크린 스포츠 게임은 PC게임과 센서가 결합되어 사용자가 몸으로 직접 게임에 참여할 수 있게 개발된 체감형 게임이다. 2000년대에 크게 유행했던 스크린골프에 이어 2016년부터 스크린야구의 유행이 시작되고 있다. 현재 출시된 게임들은 대부분 전통적인 PC게임의 인터페이스를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스크린야구의 구질 선택에 있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좀 더 직관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게임과 독립된 키오스크를 활용함으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게임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게임에 대한 자연스러운 개입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키오스크를 이용한 인터페이스는 결과적으로 게임에 대한 몰입감을 증대시키게 된다.

의류광고에 대한 평가, 유행몰입 및 사회적 태도에 관한 연구 (Evaluations of Apparel Advertising, Fashion Involvement, and Social Attitudes)

  • 김효경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3-43
    • /
    • 199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ere to (1)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ons of apparel advertising, fashion involvement, and social attitudes, (2) examine how evaluation of apparel advertising, fashion involvement, and social attitudes vary according to gender, and (3) investigate the possible differences in purchase attitudes toward the advertised apparels according to gender and advertisement slogan. Questionnaire for evaluations of apparel advertising was comprised of four sections; apparel advertising acceptance, evaluation of advertisement slogan, purchase attitude toward the advertised apparels, and perception of effective media for apparel advertising. For evaluation of advertisement slogan, 5 sets of apparel advertisements were selected. Each set had two advertisements; one advertisement contained an image-oriented slogan, while the other had a quality-oriented slogan. "The Social Attitude Scale' by Kerlinger and 'Fashion Involvement Index' by Tigert, Ring & King were used. All the items were selected on the Cronbach's alpha reliability. The subjects were 217 college male and famale students in Seoul; 60 were asked about purchase attitude toward the image-oriented slogan, 60 purchase attitude toward the quality-oriented slogan, and 97 all the items included in evaluation of the two slogan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X2-test, t-test, two-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the followings. 1. Fashion involvement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apparel advertising acceptance. The higher the level of conservative attitude males had, the more positive attitude they had in fashion involvement and apparel advertising acceptance. Subjects high in conservative attitude, fashion involvement, and apparel advertising acceptance. Subjects high in conservative attitude, fashion involvement, and apparel advertising acceptance had more positive in purchase of the advertised apparels. 2. Females high in apparel advertising acceptance were more favorable toward image-oriented advertisements. 3. Fashion involvement and apparel advertising acceptanc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s than in males. Liberal attitud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ales than in females. Evaluation of advertisement slogan did not differ according to gender. 4. Males perceived 'TV' was the most effective media for apparel advertising while females perceived 'display' was the most effective. 5. No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advertisement slogan and gender were found in purchase attitude of the advertising apparels. 6. Apparel advertising acceptance was influenced by fashion involvement, social attitude, and sex.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three variables was 17%.

  • PDF

COVID-19 온택 학습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동영상 제작수업과 실시간 화상수업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Nurs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the COVID-19 On-Contact Learning Environment: Focusing on Video production class and Real-time video class)

  • 양혜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321-328
    • /
    • 2023
  • 본 연구는 COVID-19 유행으로 온택 학습상황에서 교수제작 동영상 수업과 실시간 화상수업에 따른 수업의 질, 학습몰입, 학업성취도의 수준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2개의 대학에서 간호학과에 재학중인 학생 1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수업의 질은 실시간 수업에서 높았고(t=-2.69, P=0.02), 학습몰입은 동영상 수업에서(t=-1.14, P=0.28), 학업성취도는 동영상 수업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4.24, P=0.01). 수업유형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교수제작 동영상 수업에서는 학습몰입(β=.37, p<.001)이, 실시간 화상 수업에서는 수업의 질(β=.29, p<.001)이 학업성취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온택 환경에서 학업성취도를 향상 시키기 위해 수업유형에 적합한 교수-학습설계의 전략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소비재 제품의 제품 추구혜택, 구매체험이 소비자 - 브랜드 관계에 미치는 영향: 화장품 제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Sought Benefits, Purchase Experiences, and Brand Relationship in Case of Cosmetics)

  • 윤성준;이형주;김영미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3권2호
    • /
    • pp.1-26
    • /
    • 2011
  • 본 연구는 고객이 화장품을 구매할 때 지각하는 구매체험의 요인들을 Schmitt(1999)가 주창한 전략적 체험 모듈(SEM)을 이용하여 다섯 개 요인(감각, 감성, 인지, 행동, 관계)으로 분류하고, 이들 요인과 고객의 화장품 추구혜택, 소비자와 브랜드간의 관계형성에 관한 일련의 관계를 조명하여 화장품 기업에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화장품 추구혜택 중 기능성은 구매체험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브랜드는 감각과 인지-행동-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감성에는 유행성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의 화장품 구매체험 중 인지-행동-관계가 소비자-브랜드 관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랑과 열정에는 감각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상호몰입과 친밀감에는 감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간에는 화장품 추구혜택 요인 중 유행성, 경제성, 기능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유행성과 기능성은 여자가 남자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경제성은 남자가 여자보다 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화장품 구매체험 요인 중 감성과 인지-행동-관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여자들이 남자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화장품 추구혜택 중 기능성은 여자, 남자 모두 감각, 감성, 인지-행동-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자는 브랜드가 감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남자는 브랜드가 인지-행동-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화장품기업들은 다양한 국내외 브랜드들이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차별화된 경쟁우위를 갖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피부에 적합하며 기능적인 화장품을 제공해야 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다양한 구매체험을 통해 구매할 수 있도록 하여 브랜드와의 강한 관계구축에 힘써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