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치도뇨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9초

회음부 간호시 클로르헥시딘과 생리식염수 적용에 따른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 발생률 비교 (Effects of perineal care in preventing catheter 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s (CAUTI) in intensive care units (ICU))

  • 최정실;연정화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23-232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preventing CAUTIs through the practice of using 0.05% chlorhexidine gluconate (CHG) versus normal saline for perineal care in ICU patients. Method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was used, and participan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either the CHG group (n=79) or normal saline group (n=81). CAUTI was diagnosed following the criteria of the Centers of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Incidence of CAUTI and characte oftics of infection were evaluated. Results: In the CHG group, 8 epofodes of CAUTI were obsevend in 79 patients and 875 foley catheter e ys. Tnce ate of CAUTI was 9.14 per 1,000 foley catheter e ys. Tncre were 2 epofodes of CAUTI in the 81 patients and 837 foley catheter e ys of the normal saline group. Tnce ate of CAUTI was 2.39 per 1,000 foley catheter e ys. Tnc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was not significant (p=.1e ConConclusevaluUsing normal saline to provide perineal care to ICU patients with a foley catheter inserted will not increase the risk for CAUTI.

도뇨환자의 유치기간별 요로감염상태에 관한 연구 (Urinary Tract Infection Related to The Indwelling Cathete with Closed Drainage)

  • 이경심;박형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45-363
    • /
    • 1994
  •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important problems of the factors related to the indwelling catheter with closed drainage and to enhance recognization of Urinary Tract Infection management to protect patients with indwelling catheter from UTI. We selected the 58 patients with indwelling catheter with closed drainage from md-surg. intensive care units, and general neurological and neurosurgical ward, in one hospital in Pusan, Korea from May 30 to October 15, 1993. Patients were examined by urinary analysis before inserting catheter and then by urine cultures three times. The obtained data was analized using an SPSS /PC$^{+}$ The statistical analyses employed here was the frequency, percentage and x$^2$-tests. 1. Analyses for Indwelling Catheter induced UTI and infection rates were found to be presented in patients related to the factors of being on antibiotic drugs (x$^2$=14.105, p=.000) and the duration of the indwelling catheter(x$^2$=58.0, p=.000), both of which were found to affect the UTI. 2. UTI rates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the in-dwelling catheter were high 8.6% for the 2nd day, 27.6 for the 4th day, and 36.2% for the 7th day, and as the duration for the indwelling catheter was longer, UTI rates were higher. 3. The UTI rates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the indwelling catheter related re factors, on the 7th day, were high-52.0% for women, 37.0% for more than 50 years in ages, 30.0% for patients under sur-gery, 33.3% for altered mental states outsides the alert, 76.7% for patients not given antibiotic drugs, 36.4% for less than 3500cc of fluids intakes, it was found that these affected to increase the UTI. 4. Causative organisms of UTI were found ; E.Coli appears the most than all other isolated organisms in women and Klebsiella and Pseudomonas in men. For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causative organisms, all causative organisms were found to be susceptible to Sul -cefoperazone, Trim-prim, and unasyn and Pseudomonas mostly net susceptible.e.

  • PDF

모바일 기반의 성찰일지를 활용한 핵심기본간호술 교내실습 운영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Operation of On-Campus Practicum for Core Basic Nursing Skills Using a Mobile Based Reflective Log)

  • 최한나;송지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392-400
    • /
    • 2021
  • 핵심기본간호술은 간호사가 환자를 효과적으로 돌보기 위해 반드시 가져야하는 기술이다. 본 연구는 모바일 기반의 성찰일지를 활용하여 교내실습 과정을 소개하고, 핵심기본간호술을 수행할 때 학생들이 직면하는 어려움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Kolb의 경험적 학습 과정을 기반으로 교내 실습을 진행한 후 분석되었다. 분석 자료로 학생들이 각 수업에 대하여 작성한 모바일 기반의 온라인 성찰일지를 활용하였다. 성찰일지의 내용을 분석하여 핵심술기 수행에 있어 어려움을 지식, 기술(수행), 태도로 구분하여 파악하였고,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난이도, 중요도, 자신감도 평가하였다. 핵심기본간호술 평가 결과 학생들은 특히 기술적인 부분에서 다양한 측면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정맥수액주입 및 유치도뇨와 같이 핵심술기 난이도 "상"에 해당하는 항목에서 자신감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50% 이상의 학생들이 정맥수액주입 및 활력징후 측정을 가장 중요한 핵심기본간호술로 간주하였다. 향후 학생들의 핵심술기 수행 시 겪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콘텐츠 개발 및 교수법의 적용과 관련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VR(Virtual Reality)을 활용한 술기실습이 간호대학생의 간호술 수행자신감, 학습자기효능감, 수행능력,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Nursing Skills Practice using VR(Virtual Reality) on Competency and Confidence in Nursing Skills, Learning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 하영옥;권수진;김주이;송정희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47-55
    • /
    • 2022
  • 본 연구는 VR(Virtual Reality)을 활용한 술기실습이 간호대학생의 간호술 수행자신감, 학습자기효능감, 수행능력 및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무작위 대조군 전후 설계의 실험연구로서 간호학과 3학년 학생 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군 35명에게는 VR을 활용한 술기실습을 적용하였고, 대조군 35명에게는 모형을 활용한 전통적인 술기실습을 적용한 후 두 군 모두 간호술 수행능력을 평가하였다. 자료수집은 간호술 수행자신감, 학습자기효능감, 실습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VR을 활용하여 술기실습을 한 실험군과 전통적인 술기실습을 한 대조군 간 간호술 수행자신감, 학습자기효능감, 수행능력, 실습만족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실험군과 대조군 각 군의 유치도뇨와 기관절개관 관리 수행 자신감은 실습 전보다 실습 후 모두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실험군(p=.000, p=.000), 대조군(p=.007, p=.000))가 나타났다. 학습자기효능감도 각 군에서 실습 전보다 실습 후에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 (p=.000)가 나타났다. 따라서, VR을 활용한 술기실습은 감염병 등으로 전통적인 술기실습이 원활하게 운영되기 어려운 상황에서 간호학생의 간호술 실습 시 활용 가능한 교육방법으로 고려될 수 있겠다.

동료 교수학습 기반 자율실습이 핵심기본간호술 숙련도, 수행자신감 및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 of Self-directed Practice based Peer-tutoring on Performance, Confidence and Self-efficacy of Core Nursing Skills in Nursing Students)

  • 구희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453-463
    • /
    • 2019
  • 본 연구는 동 학년 동료 교수학습 기반 자율실습이 간호대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숙련도, 수행자신감 및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연구이다. 자료수집은 K시 소재 일개 전문대학 간호학과 2학년에 재학 중인 실험군 34명, 대조군 34명의 총 68명을 대상으로 2019년 5월 1일부터 6월 12일까지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동료 교수학습 기반 자율실습을 적용한 실험군과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 간 유치 도뇨의 숙련도(t=11.60, p<.001), 수행자신감(t=4.12, p<.001), 보호장구 착용과 폐기물 관리의 숙련도(t=5.91, p<.001), 수행자신감(t=4.24, p<.001), 배출 관장의 숙련도(t=2.82, p=.008), 수행자신감(t=2.09, p=.044) 및 자아효능감(t=4.52,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동료 교수학습 기반 자율실습은 핵심기본간호술 숙련도와 수행자신감 및 자아효능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기존 자율실습을 보완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으로의 활용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이를 토대로 향후 동료 교수학습을 다양한 전공과목에 확대 적용하여 효과를 검정하는 연구를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