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충활동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6초

흰점박이꽃무지(딱정벌레목: 풍뎅이과)와 장수풍뎅이(딱정벌레목: 장수풍뎅이과)의 비상활동과 유충의 활동 (Imago's Flight and Larval Activities of Protaetia brevitarsis (Coleoptera: Scarabaedia) and Allomyrina dichotoma (Coleoptera: Dynastinae))

  • 김하곤;강경홍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39-143
    • /
    • 2006
  •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비상활동은 6월 중순부터 9월 상순이며, 장수풍뎅이 (Allomyrina dichotoma) 비상활동은 6월 중순부터 8월 하순까지이다. 두 종의 비상활동은 모두 강수에 영향을 받아 강수량과 강수일수가 적은 해에는 비상활동이 활발하였다. 흰점박이꽃무지 3령충은 온도에 따른 분포깊이에 영향이 없었으나, 장수풍뎅이 3령 유충은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고온에서는 대부분의 개체들이 표면에 분포하였다. 흰점박이꽃무지 3령충은 과습한 상태가 분포깊이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장수풍뎅이 유충은 과습한 상태에는 대부분이 표면 근처에 분포한다.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은 죽은 개체의 속을 파먹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돼지고기, 닭고기, 생고등어, 식빵, 사과, 배 등을 투여한 결과, 흰점박이꽃무지는 모두 잘 섭식하나 장수풍뎅이는 빵만을 섭식하였다. 두 종은 유사한 환경에서 서식하나 식이는 상당히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토양 수분함량이 큰검정풍뎅이의 난 및 유충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il Moisture on Survival of Larger Black Chafer (Holotrichia morosa Waterhouse) Eggs and Larvae)

  • 김기황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7-41
    • /
    • 1991
  • 토양수분함량과 큰검정풍뎅이의 밀도 변화와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토양수분함량이 큰 검정풍뎅이의 난과 유충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사양토와 식양토의 수분함량 15%와 25%에서는 난과 1, 2, 3령 유충 모두 79% 이상의 생존율을 보였으나 5%와 35%에서는 현저히 떨어졌다. 이 극한 수분함량에서는 토성에 따라 난과 유충의 생존율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였다. 큰검정풍뎅이의 난은 생존할 수 있는 낮은 수분함량의 한계에 가까워질수록 발육기간이 길어졌다. 식양토에서 33-36%의 높은 수분함량에 난을 일정 기간 처리했을 때 배자 발육을 진행된 난일수록 잘 견뎠고 처리기간이 길어짐에 따라서 전란기간이 길어졌다. 또한 높은 토양수분함량에서는 3령 유충의 섭식 활동이 뚜렷이 억제되었다.

  • PDF

습지생태계의 공익적 서비스 연구 -1. 자생어류을 이용한 모기유충의 효과적인 생태학적 제어방법 (A Study on the Ecosystem Service of Wetland -1. Effective Biological Control of the Mosquito Larvae using Native Fishes)

  • 정헌모;김해란;유영한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9-24
    • /
    • 2013
  • 토종어류를 이용한 효율적인 생태학적 모기 방제 방법을 제안하기 위해 서산지역에 서식하는 토종어류를 이용하여 모기를 제어할 수 있는 최적 조건을 알아보았다. 어류 종류별에 따른 모기유충 포식률과 온도차에 따른 포식활동의 변화를 알아본 결과, $32^{\circ}C$의 환경에서는 왜몰개가 가장 높은 포식률을 보였고 미꾸라지가 가장 낮은 포식률을 보였다. 반면 낮은 온도의 환경에서는 왜몰개와 얼룩동사리가 가장 빠른 시간에 높은 포식률을 보인 반면, 미꾸라지는 온도와 상관없이 어류 6종 중에 모기유충 포식률이 가장 낮았다. 수심에 따른 어류 종류별 모기유충 포식률은 왜몰개와 참붕어가 수조의 아랫부분에서, 붕어와 얼룩동사리는 수조 바닥부분에서 높은 포식률을 보였고, 미꾸라지는 수조 바닥부분에서 모기유충을 섭식하였다. 그리고 대륙송사리는 수표면에서 95%의 높은 포식률을 보였다. 서로 다른 위치에서 먹이활동을 하는 어류 3종을 선정하여 모기유충 50마리를 포식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한 결과, 왜몰개 2마리는 10분, 대륙송사리 2마리는 21분 그리고 미꾸라지 2마리는 45분이 걸렸다. 반면 미꾸라지와 왜몰개를 각각 1마리씩 넣었을 때는 8분, 미꾸라지와 대륙송사리를 넣었을 때는 17분이 걸렸다.

감염태 곤충병원선충(Steinernema carpocapsae Weiser)의 효과적 회수법 (An Improved Collecting Method of the Infective Juveniles of the Entomopathogenic Nematode, Steinernema carpocapsae Weiser)

  • 이성섭;김용균;한상찬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97-100
    • /
    • 2000
  • 본 연구는 곤충기 주에서 증식된 감염태 곤충병원선충(Steinernema carpocapae weiser)을 회수하는데 새로이 개량된 방법을 소개한다. 이 수거방법은 기주곤충에 감염태 선충을 접종 후 $25^{\circ}C$에서 증식시켰을 경우 최대의 감염태 밀도를 보이는 시기(6일후)에 기주곤충의 혈강을 노출시켜 수거함으로 빠른 속도로 감염태 유충을 회수하려는데 목적을 두었다. 또 이렇게 해서 빠져나오는 선충들중 가능하면 감염태 유충만 선별하여 걸러지도록 수거하게 했다(개량된 'Baermann'깔대기법).기존의 방법은 증식된 기주를 처리없이 'White trap'에 설치하여 놓고 스스로 표피를 뚫고 나오는 감염태 유충을 수거하여 왔다. 개량된 수거방법과 기존의 수거방법을 통해 나오는 감염태 유충의 총수거율과 병원력을 파밤나방 (Spodoptera exigua (H bner)) 5령 유충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두 방법 모두에서 회수된 선충은 95% 이상이 형태적으로 감염태 유충이었다. 이들 감염태 선충의 기능적 분석을 위해 두 방법에서 회수된 감염태 유충을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H bner)) 5령충에 동일한 밀도로 처리했다. 이때 두 방법 모두 기주 살충력이나 일정시간 동안 기주 혈강속으로 침입하는 선충활동력에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감염태 유충의 총 수거밀도와 소요기간에 있어서는 타이를 보였다 기존의 'White trap'수거방법은 $25^{\circ}C$에서 6일동안 증식된 기주 파밤나방 1마리 당 10일 동안의 수거기간을 통해 약 20,000마리의 감염태 유충을 수거한 반면, 개량된 'Baer-mann'갈대기법을 이용한 수거방법은 불과 2일의 수거기간 동안 약 50,000마리의 총 수거 감염태 선충밀도를 보였다.

  • PDF

실잠자리 유충과 어류에서 분비된 카이로몬에 의한 물벼룩류의 생활사와 형태변화 (The Life History and Morphological Changes of Daphnia (D. pulex and D. galeata) Induced by the Larval Damselfly (Cercion sp.) and Fish (Micropterus salmoides) Kairomones)

  • 라긍환;조효녀;최현주;김현우
    • 생태와환경
    • /
    • 제42권1호
    • /
    • pp.107-114
    • /
    • 2009
  • Daphnia pulex와 D. galeata에 대한 실잠자리류 유충의 포식 특성과 이들이 포식자로서 분비하는 화학물질에 의해 유도되는 두 종의 물벼룩의 생활사 및 형태적 방어 반응을 어류 포식자인 배스에 대해 나타내는 반응과 비교분석 하였다. 실잠자리류의 유충은 낮과 밤에 관계없이 섭식활동을 하며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물벼룩을 주로 포식하였고, 소형의 D. galeata에 대한 포식율이 높았다. D. pulex는 실잠자리류 유충과 배스가 분비한 카이로몬에 대하여 생활사 및 형태적 변화를 나타내었다. D. galeata는 실잠자리류 유충에 상대적으로 높은 포식압에도 불구하고 배스의 카이로몬에 대한 반응만을 나타냈다. 본 실험의 결과는 다양한 포식자에 대응하는 생존전략이 물벼룩 종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광릉늑대거미 (Arctosa kwangreungensis) 배후발생과정의 조직 미세구조 분석 (Histologic and Microstructural Analyses on Postembryonic Development in the Wolf Spider Arctosa kwangreungensis (Araneae: Lycosidae))

  • 양성찬;문명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42권1호
    • /
    • pp.17-26
    • /
    • 2012
  • 배회성거미류의 배후발생과정에서 형태적 분화가 행동학적 특성으로 발현되는 기전을 규명하기 위하여 광릉늑대거미(Arctosa kwangreungensis) 후기배아와 각 발생 단계의 유충을 실험재료로 그 조직학적 및 미세구조적 변화를 광학 및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분석하였다. 난황주머니를 가진 후기배아는 부속지의 근육조직과 신경절의 미분화로 비활성상태를 유지하며, 시각기의 신경절과 신경의 발달도 미약하였다. 제1령 유충의 두흉부에서는 미분화된 세포집단이 관찰되고 체색의 발현과 복부신경절의 분화가 현저하였다. 먹이 활동을 시작하는 제2령 유충의 중추신경계에는 신경섬유가 급격히 증가되었고, 성체와 유사한 부속지의 분절구조와 시각기의 조직학적 체제가 확립되었다. 제3령 이후의 유충들은 탈피를 거듭하여 두흉부에서 중추신경계가 차지하는 영역이 축소되었고 독선과 근육조직, 그리고 결합조직등의 활발한 분화가 진행되었다. 먹이활동을 시작하는 제2령 유충 단계에서 부속지와 시각기의 조직학적 발생과 이를 통제하는 신경계의 분화가 완료되는 것으로 미루어, 섭식환경이 배후발생과정을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시각과 부속지에 의존하여 먹이를 포획하는 배회성거미류의 행동 습성이 형태조직학적 분화와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남부지방에서 파밤나방의 비산활동 및 가해특성 (Flight Activity and Injury Characteristics of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Hubner), (Lepidoptera: Noctuidae) in Southern Region of Korea)

  • 박종대;고현관;이재휴;이운직;김규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24-129
    • /
    • 1991
  • 1990년 6월부터 전남지방에서 성훼로몬을 이용한 파밤나방의 발생소장, 일일비산활동 및 기주별 가해특성을 조사한 결과 성충은 6월 중순부터 trap에 유인이 시작되어 11월 하순까지 계속되었으며 발생 peak는 비닐하우스에서 8월 중순~하순, 9월 중순~하순, 11월 상순~중순이었으며 야외포장에서도 역시 6월 중순부터 유인이 시작되어 9월 상순~하순, 10월 중순~11월 하순에 유인량이 많았으며 노지에 비해서 비닐하우스에서 peak가 20일 가량 빨랐다. 유충의 biomass에 의한 발생 가능세대수는 남부지방에서 6회로 추정되었다. 일일중 비산활동은 주로 24시 이후부터 일출전까지 활발하였으며 peak는 4시~6시 사이였다. 기주에 따른 가해특성은 외대파에 있어서는 초장 10cm이하에서 유충 밀도 및 피해주율이 가가장 높았으며, 국화는 생육에 따라 피해주율이 점차 증가하다가 생육후기에는 오히려 떨어지는 경향이었고 가해부위는 시기에 관계없이 주로 엽상이 70%이상이었고 다음은 엽하 12.3%, 정단 9.3%순이었다. 또한 안개초에 있어서 피해주는 거의 생육을 하지 못하여 개화에 이르지 못하였다.

  • PDF

갓노랑비단벌레 (Scintillatrix djingischani OBENBERGER)에 관한 연구(제3보) -유충의 령기와 경과에 대하여- (Studies on the yellow-margined buprestid, Scintillatrix djingischani OBENBERGER)(II) -The larval instar and the growth of larva-)

  • 윤주경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_6권
    • /
    • pp.27-32
    • /
    • 1968
  • 1963년부터 1966년 사이에 과원에서 채집된 갓노랑비단벌레 유충과 실내에서 사육한 일부 유충을 가지고 두건을 측정하며 영기를 판정함과 동시에 성장하는 비와 변이를 고찰하였다. (1) 유충의 두건의 변리곡선은 완전히 7개의 계곡으로 나타나는데, 이것은 6회의 탈피를 하여 7영을 지내는 것 같다. (2) 대체로 유충은 6-7영을 경과하는데, 6영으로 용화가 되는 것은 11월부터 목질부 내에 들어가 용화직전으로 월동하며, 형성층 부위에서 월동하였다가 만춘이나 초하에 용화가 되는 것은 7영으로 경과한 것 같다. (3) 두건의 표준편차는 1영과 6영 이외에는 영이 커짐에 따라 커졌으며, 변이계수는 영이 커짐에 따라 줄어지는 경향이었다. 그리고 성장비는 1-2영시는 크고 영이 높아짐에 따라 적어졌다. (4) 곤충의 유충의 두건 성장에 관해서 Dyar식보다 Games and Campbell식이 더욱 적합하였다. (5) 유충 영기의 활동상황으로 보아서 다음과 같이 추정된다. 당년에 부화된 유충은 2-3영으로 월동한 것 같고 이전의 것은 5-6영으로 월동 익년에 우화한 것 같다.

  • PDF

백두산 화산활동이 량강도자연지리요소에 준영향

  • 유충걸
    • 대한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리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요약집
    • /
    • pp.18-34
    • /
    • 2001
  • 량강도 북부지역에서는 지질시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여러차례의 화산활동이 있어 자연경관을 훼멸, 복구하였다. 특히 갱신세에 분출된 현무암용암, 백두산 소백산에서의 알칼리성조면암의 발생, 800여년전에 분출한 부석은 원래의 자연경관을 훼멸,매몰하고 새로운 자연경관을 형성하기 시작하였다. 자연경관 형성에서 지질,지형,기후,식생,토양 등요소들이 종합적으로 작용하나 그중에서도 화산활동을 위주로한 지질작용이 주되는 인자로 되었다. 즉 용암의 분출에 의하여 본 지구의 지형을 1600m 높여 기후,식생,토양의 산지수직지대성을 형성하였고 강,호수의 형성도 식생,토양의 특성도 화산활동의 제한을 받았다. 모두어 말하면 본 지역의 자연경관은 800 여년 역사를 갖고 지금도 발전, 성숙과정에 있다. 본문에서는 백두산과 가까이 자리잡고 있는 량강도의 삼지연군, 대홍단군, 백암군, 보천군, 운훈군, 갑산군과 함경북도의 무산군, 연사군, 어랑군, 길주군의 일부지역 및 함경남도의 단천서북부가 포함된다. 지리위치로 보면 동경 128 도 16 분으로부터 동경 130 도 02 분까지이고 북위 42 도 10 분부터 북위 41 도 좌우이다.

  • PDF

P.E. 필름 피복(被覆)이 숫검은밤나방(Agrotis tokionis B.) 유충(幼蟲)에 의한 담배 피해(被害)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P .E. film-mulching on the Damage to Tobacco Seedlings by the 'Dark Grey Cutworm', Agrotis tokionis Butler)

  • 김상석;부경생;현재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73-177
    • /
    • 1986
  • P.E. film으로 피복한 포장에서 숫검은밤나방 유충에 의한 담배 피해주율이 낮은 원인을 구명하기 위한 시험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피해주율은 무피복구(n)에 비해 P.E. film 피복구(m)에서 63% 감소하였다. 2. 피복한 휴(畦) 내의 일종 최고 토양온도(5cm 깊이)는 무피복구에 비해 조사기간중 평균 $5{\sim}7^{\circ}C$ 높았으며 6월 중순에는 $50^{\circ}C$까지 이르렀다. 3. 유충의 회수율, 토양내 잠복깊이 및 발육 정도 등에서 P.E. film 피복구와 무피복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4. m/n치와 5가지 변형된 피복방법의 결과에 비추어 P. E. film 자체에 의해 숫검은 밤나방유충의 이동 흑은 먹이탐색활동이 방해를 받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5. 숫검은밤나방유충의 사망율은 7월 하순과 8월하순 사이에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