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죄지식검사

Search Result 3, Processing Time 0.015 seconds

The effect of the number of trials on P300-based guilty knowledge test (시행수가 P300에 기초한 유지지식검사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 Eom, Jin-Seop;Lee, Chang-Gyu;Eum, Yeong-Ji;Park, Gwang-Bae;Son, Jin-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05a
    • /
    • pp.169-17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P300에 기초한 유죄지식검사에서 목표자극과 관련자극, 무관련자극을 제시하는 횟수가 검사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 집단의 실험참여자들에게는 모의범죄를 수행한 후 P300에 기초한 유죄지식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다른 집단의 실험참여자들에게는 모의범죄를 수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P300에 기초한 유죄지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모든 실험참여자들에게 목표자극 1개와 관련자극 1개, 무관련자극 4개를 각각 120회씩 총 720회 제시하였다. 실험결과, 유죄조건에서 관련자극은 시행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P300의 크기가 감소하는 습관화 현상을 보이는 경향이 있었으며, 시행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유죄판단을 위한 통계적 지수가 달라지는 경향이 있었다. 시행수가 40회에서 80회 사이일 때, 가장 높은 정확도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였다.

  • PDF

P300-based concealed information test in three stimulus and two stimulus paradigms (P300에 기초한 숨긴정보검사에서 세 자극 방안과 두 자극 방안의 정확도 비교)

  • Eom, Jin-Seop;Han, Yu-Hwa;Park, Gwang-Bae;Son, Jin-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8.10a
    • /
    • pp.50-5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목표자극을 포함한 P300 숨긴 정보 검사와 목표자극을 제거한 P300 숨긴 정보 검사의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목표자극을 제거한 경우에는 피검사자의 주의를 검사상황에 집중하도록 하기 위하여, 1) 검사자극이 속한 범주에 대한 판단을 하도록 하거나, 2) 검사자극이 제시된 지 1.5초 후에 재인검사를 실시하였다. 16명의 피검사자에게 반복측정 설계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세조건 모두에서 에서 관련자극의 P300이 무관련자극의 P300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부트스트랩 방법을 이용한 개인별 판단 결과, 세 자극 방안의 정확도가 93.8%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인검사를 이용한 두 자극 방안의 정확도는 81.3%였으며, 범주판단을 이용한 두 자극 방안의 정확도가 62.5%로 가장 낮았다.

  • PDF

Effects of stimulus similarity on P300 amplitude in P300-based concealed information test (P300-기반 숨긴정보검사에서 자극유사성이 P300의 진폭에 미치는 영향)

  • Eom, Jin-Sup;Han, Yu-Hwa;Sohn, Jin-Hun;Park, Kwang-Bai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3 no.3
    • /
    • pp.541-550
    • /
    • 2010
  • The present study examined whether the physical similarity of test stimuli affects P300 amplitude and detection accuracy for the P300-based concealed information test (P300 CIT). As the participant pretended suffering from memory impairment by an accident, own name was used as a concealed information to be probed by the P300 CIT in which the participant discriminated between a target and other (probe, irrelevant) stimuli. One group of participants was tested in the easy task condition with low physical similarity among stimuli, the other group was tested in the difficult task condition with high physical similarity among stimuli. Using the base-to-peak P300 amplitude, the interaction effect of task difficulty and stimulus type was significant at $\alpha$=.1 level (p=.052). In the easy task condition the difference of P300 amplitude between the probe and the irrelevant stimuli was significant, while in the difficult task condition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Using peak-to-peak P300 amplitude, on the other hand, the interaction effect of task difficulty and stimulus type was not significant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of P300 amplitude between the probe and the irrelevant stimuli in both task difficulty conditions. The difference of detection accuracy between task conditions was not significant with both measures of P300 amplitude although the difference was much smaller when peak-to-peak P300 amplitude was used.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fficiency of P300 CIT would not decrease even when the perceptual similarity among test stimuli is hig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