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입부하

Search Result 584,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ssessment of Permissible Inflow Load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in Yeoja Bay, Korea (여자만의 수질관리를 위한 허용유입부하량 산정)

  • Kim, Hyung-Chul;Lee, Won-Chan;Kim, Jong-Gu;Hong, Sok-Jin;Kim, Kyoung-Mi;Cho, Yoon-Sik;Park, Sung-Eun;Kim, Jin-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7 no.4
    • /
    • pp.345-356
    • /
    • 2011
  •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land based pollutant discharges from the basin and seawater quality related carrying capacity and the seawater quality improvement in receiving water bodies of Yeoja Bay where eutrophication and organic pollution are in progress, were evaluated. The permissible inflow loads of BOD, TN and TP by using the geographical features and box modelling method were estimated. As results, it is shown that the reduction rate of discharged BOD and TP loads were 39.3% and 30.8 %, respectively, however, 6.9% was estimated for TN. According to the pollutant loading in each tributary and generated load of the basin, it is given much weight on the land use group, and also was shown in discharged load estimation. This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to control nonpoint source pollutant such as livestock and land use groups as well as point source to contribute the proposition of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pla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y.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WAT HRU Mapping Module for Accurate Estim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and $NO_3$-N of Each HRU in the SWAT Model (SWAT HRU 단위 지하수 함양량 및 질산성 질소의 정확한 산정을 위한 SWAT HRU Mapping module 개발 및 적용)

  • Ryu, Ji-Chul;Mun, Yu-Ri;Kim, Ik-Jae;Lim, Kyung-Je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2011-2015
    • /
    • 2010
  • 비점오염원에 의한 수질오염은 지표수 오염과 지하수 오염으로 분리될 수 있는데 보통 지하수는 지표수에 비하여 수질이 양호 하다고 여겨지만 오염된 하천 주위의 지하수 오염이 심각할 수 있다. 이러한 지하수에 의한 오염원을 산정하고 분석하기 위해 여러 가지 수문관련 공식이나, HSPF, MODFLOW, SWAT 모형 등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 중, SWAT 모형은 다양한 작물 및 재배방법이 지표수 및 지하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유역단위로 평가가 가능하여 국내 외 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SWAT 모형은 소유역별 수문학적 반응단위인 HRU를 이용하여 유역 내 수문 및 수질을 평가하는데 소유역내 HRU의 공간적인 정보를 고려하지 않는 준 분포형 모형으로 다양한 영농방법이 지표수 및 지하수에 미치는 영향을 공간적으로 분석 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SWAT 모형의 단점을 개선하여 공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SWAT HRU Mapping module을 개발하였고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 횡계2리 지역에 적용하여 지하수 함양량 및 대수층 유입 $NO_3$-N 부하량 및 농도를 분석하였다. 적용결과, 횡계2리 유역의 2006년 대수층 유입 $NO_3$-N 부하량 및 농도를 비교하면 일반적으로 농경지에서의 대수층 유입 $NO_3$-N 부하량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 대부분 농경지에서 대수층으로 유입되는 $NO_3$-N의 농도가 산림에 비해서 상당히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2007년의 결과도 비슷한 경향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와 같이 같은 밭이라 하더라도 재배되는 작물의 종류 및 시비량 등에 따라 대수층으로 유입되는 오염부하에는 상당한 영향이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재배 작물과 토양 특성에 따라 $NO_3$-N이 대수층으로 유입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HRU Mapping Module은 유역에서의 수질 개선시기저유출을 통한 오염원의 시공간적 분석을 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PDF

제주항의 수질특성과 오염부하량 산정

  • 조은일;강기봉;김종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225-226
    • /
    • 2003
  • 육상으로부터 유입되는 오염부하와 그로 인한 제주항의 해양수질 환경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주항의 수질특성을 각 항목별로 보면, 용존산소(DO)의 농도분포는 평균 7.3 mg/L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그리고 COD의 농도분포는 평균 2.2 mg/L로 대상해역의 대부분이 III등급 해역에 속하였으며 해역의 부영양화에 관계되는 영양염인 DIN과 DIP는 각각 평균 12.20 ${\mu}g$-at/L와 평균 1.18 ${\mu}g$-at/L로 2001년 개정 전 해역수질환경기준인 농도와 비교해 보면 평균농도에서 III등급을 초과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산지천의 수질특성을 보면 용존산소(DO)는 평균값은 7.4 mg/L로 하천수질기준 II등급에 해당되었으며 BOD의 경우는 평균값으로는 3.4 mg/L를 보여 하천수질기준 III등급에 해당되었다. 그리고 DIN과 DIP의 경우는 각각 4.696~5.410 mg/L와 0.306~0.332 mg/L의 범위를 보여 각각의 평균값은 5.110 mg/L과 0.315 mg/L였다. 산지천의 하천 유입부하량을 산정한 값을 보면 COD의 경우는 0.30 ton/day의 값을 보였고 DIN과 DIP의 부하량은 각각 300.0 kg/day와 18.0 kg/day의 값을 보였다. 이상에서 조사된 제주항의 수질특성과 산지천 유입부하량은 제주항의 수질관리를 위한 물질순환모델을 적용할 때 기초입력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nalysis of water pollutant load characteristics and its contributions during dry season: Focusing on major streams inflow into South-Han river of Chungju-dam downstream (갈수기 수질오염부하 특성 및 기여율 분석: 충주댐 하류 남한강 주요 유입하천을 대상으로)

  • Lee, Seoro;Yang, DongSeok;Choi, Yujin;Lim, Kyoung Jae;Kim, Jongg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18-318
    • /
    • 2018
  • 충주댐 하류 남한강 본류에서는 매년 봄철 지속되는 가뭄으로 인한 유량감소와 과다한 영양염류 유입으로 인해 부영양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남한강 본류로 유입되는 주요 하천(섬강, 청미천, 양화천, 복하천)을 대상으로 중점관리가 필요한 우심하천 및 주요 오염원을 선별하고자 갈수기 오염부하 특성 및 남한강 본류에 대한 기여율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갈수기 조건에서의 오염부하 및 기여율은 섬강에서 BOD5 852.0 kg/day(41.3%), T-P 59.0 kg/day(56.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량 및 수질 모니터링 기간 내 발생한 점 기저비점 오염부하가 남한강 본류에 미치는 기여율 BOD5 52.8%, COD 52.1%, TOC 53.0%, SS 41.3%, T-N 47.7%, T-P 30.0%, Chl-a 47.8%로 섬강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전국오염원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산정된 수질항목에 대한 오염원별 전체 배출부하 또한 섬강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토지계, 생활계, 축산계 오염원 순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충주댐 하류 남한강 본류 갈수기 수질을 효율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섬강을 중점적으로 점오염원 관리뿐만 아니라, 기저비점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는 극한 가뭄이 지속되는 상황을 고려한다면, 충주댐 하류 남한강 본류 갈수기 수질오염 개선에 활용될 실효성 있는 대책 및 유역관리 정책 수립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PDF

Design of Heat Pump Renewable Energy System Using Wastewater with a Heat Source (폐수열 히트펌프 재생에너지 시스템 설계)

  • Choo, Yeon-Gyu;Kim, Bong-Gi;Kim, Sung-D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1.05a
    • /
    • pp.787-79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페수열 회수 보일러에서 버려지는 페수열을 재생하여 에너지를 재활용하기 위하여 퍼지제어 알고리즘을 사용한 지능제어기를 설계하고자 한다. 폐수유입온도의 변화와 폐수유입량의 변화를 파라미터로 하여 컴프레서의 정속운전 대수와 토출온수온도의 특성곡선을 전문가의 지식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폐수열 회수 보일러에 유입되는 폐수부하에 따른 컴프레서의 정속운전 대수를 최소화 하기위해 폐수유입온도와 유입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최적의 정속운전 대수 및 인버터 운전량을 실시간으로 결정하는 지능제어기를 설계하여 페수열 부하의 변동을 실시간으로 추정하여 최소의 컴프레서 운전대수 및 조작량을 제어함으로써 에너지 효율과 경제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 PDF

The Characteristic of Point Source Loads for Nitrogen and Phosphorus to Gwangyang Bay, Korea (광양만으로 유입되는 질소, 인의 점원 오염부하 특성)

  • Kim Do-Hee;Cho Hyeon-Seo;Lee Young Si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8 no.1
    • /
    • pp.1-8
    • /
    • 2005
  • We estimated the loadings of nitrogen and phosphorus flowing into Gwangyang Bay front river for monthly interval from April to December of 2003. We analyzed the concentrations of nitrogen and phosphorus in water and estimated the flowing rates of fresh water in 34 rivers. The amounts of water flowing into the Gwdngyang Bay from Sum-Jin River was 51-76% in the total inflow of the river. The river water over 96% of discharge was from Sumjin River, Dong River, Ju-Kyo River, Seo River and Shinkyum River. The flowing patterns of nitrogen and phosphorus into Gwangyang Bay were similar to the flowing of river. The nitrogen and phosphorus loadings into the Bay were higher in July and August than in dry seasons. In particular, the concentrations of phosphorus were high in Namshu River, Deukyang River and Kilho River sewage during in dry seasons. The range of DIN and TN loadings from Sumjim River were 46-66% and 36-64%, respectively. The loading of DIP and TP from Sumjim River were 2-55% and 12-67%, respectively. These results show that the most efficient control of N. p flow into Gwangyang Bay is to restrain the inflows of N, p from Namshu River, Deukyang River and Kilho River and to restrain the flows of N, p from Dong River, Ju-Kyo River and industrial plant. The DIN/DIP atom ratio in river water was about 18 in July and August, while the ratio was more higher in dry seasons than July and August of rainy seasons. The TN/TP atom ratio in river water was about 7 in rainy seasons, while the ratios were higher than 100 in the other months of dry seasons.

  • PDF

Influence of Effluent from a Sludge Carbonization Facility on Wastewater Treatability (슬러지탄화공정수 연계처리가 하수처리효율에 미치는 영향)

  • Han, Joo Eun;Park, Soo-Hyung;Lee, Wontae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27 no.1
    • /
    • pp.57-64
    • /
    • 2019
  • We investigated influence of connected influent on the treatability of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WWTP), recently accepting effluent from a sludge carbonization facility. Based upon the pollutant loading rates (kg/d) of each connected influent, food waste leachate and livestock wastewater contributed to high BOD and COD loadings, while sludge carbonization facility effluent certainly contributed to T-N and $NH_3-N$ loadings. The nitrification rate in aerobic tank decreased to 55% with the carbonization facility effluent entering to the WWTP, while it was 89% with no carbonization facility effluent entering. The sludge carbonization facility effluent may need to be pretreated to reduce T-N and $NH_3-N$ loadings before entering to the WWTP for further treatment.

Effectiveness Analysis and Profile Design Automation Tool Implementation for The Mass Production Weapon System Environmental Stress Screening Test (양산 무기체계 환경 부하 선별 시험 효과도 분석 및 프로파일 설계 자동화 도구 구현)

  • Kim, Jang-E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8
    • /
    • pp.379-388
    • /
    • 2016
  • There are various system defects from weapons manufacturing due to the numerous production processes and various production environments. The first kind of defect is patent defects, which can be detected by visual inspection, functional testing, and existing quality control procedur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second kind is latent defects, which cannot be detected though existing quality management approaches because of the complexity of the system and manufacturing process. To minimize the initial defect problems, environmental stress screening (ESS) is needed to detect the defects, remove them, and improve the product conditions based on the environmental stress conditions of temperature and vibration. We implemented a tool for quantitative ESS effectiveness analysis and profile design automation based on MIL-HDBK-344 and verified it using six scenarios with different temperature stress, vibration stress, and test designs.

Characteristics of Pollutant Load from a Dam Reservoir Watershed - Case study on Seomjinkang Dam Reservoir - (댐저수지 유역의 오염부하 유출특성 - 섬진강댐 저수지를 중심으로 -)

  • Lee, Yo-Sang;Gang, Byeong-Su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3 no.6
    • /
    • pp.757-764
    • /
    • 2000
  • The investigation of water quality was performed at the upstream of Seomjinkang dam reservoir for the examination of pollutant load characteristics of the reservoir watershed during flood and normal flow periods. The highest water quality concentration was occurred at Y ongsan during normal flow period where it has been more polluted by population and livestock than other sites. Pollutant load varied depending on the sampling site, rainfall intensity and antecedent precipitation during the rainy period. Based on the water quality data measured from 1998 to 1999, the average concentration during rainy period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non~rainy period: BOD was 1.2~1.4 times, COD 1.2~1.7 times, SS 2.6~5.4 times, T-N 2.3~3.0 times, and T-P 2.4~7.5 times respectively. When the pollutant load measured during 7 different rainy periods in 1999 was compared with total pollutant load in 1999, the BOD and COD load measured during the 7 different rainy periods were 28% that is about 1.6 times as high as those of 1999. On the other hand, the rainfall amount measured during the 7 different rainy periods was about 17.5% of total rainfall amount in 1999. The total pollutant load of TN and TP measured during the 7 different rainy periods was almost 50% of total TN and TP loads in 1999. In case of SS, it was 72.8%. It was concluded that the inflow of pollutants into the lake during the rainy period held a high portion of total inflow in 1999. It was suggested that long~term water quality monitoring be performed to better quantity pollutant load to the lake especially during rainy periods.eriods.

  • PDF

Analysis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by Rainfall Runoff Characteristics in Songya-stream of Downstream of Andong Dam (안동댐 하류 송야천 유역의 강우시 비점오염물질 유출 특성 분석)

  • Kang, Tae Seong;Yu, Na Yeong;Shin, Min Hwan;Park, Bae Kyung;Kim, Jong G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82-282
    • /
    • 2021
  • 강우시 농경지와 축산시설로부터 유출되는 비점오염물질은 하류 수계의 수질과 수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환경부에서는 비점오염원관리지역을 지정하고 다양한 비점오염 저감 대책을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점오염원관리지역으로 지정된 안동댐 하류 중 송야천 유역을 대상으로 강우유출수 모니터링을 수행하였으며,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강우시 비점오염물질 유출 특성을 분석하였다. 모니터링 기간은 2020년 6월부터 11월까지 총 5회의 강우사상에 대하여 상·하류와 유입하천을 포함한 총 8개의 모니터링 지점을 대상으로 강우사상별 유량가중평균농도(Event Mean Concentration, EMC), 오염부하,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를 산정하였으며, 오염원 그룹별 비점배출부하를 산정하여 오염 기여도를 분석하였다. 강우유출수 조사결과를 이용한 EMC 농도 산정 결과 유입하천인 오산천 지점이 SS와 TOC 항목을 제외한 모든 수질항목의 EMC 농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를 산정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T-P 항목의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는 물한천 지점(0.69 kg/ha)과 오산천 지점(0.69 kg/ha)이 크게 나타났다. 결과와 같이 오산천 지점과 물한천 지점이 오염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른 상류 오염원 현장 정밀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강우발생시 상류에 위치한 농경지와 축사에서 발생하는 오염원이 하천으로 유입되고 있었으며, 여러 축사에서 배출되고 있는 유입수를 채취하여 분석한 결과 T-P 농도가 평균 0.935 mg/L로 높게 나타났다. 전국오염원조사자료(국립환경과학원, 2017) 내용을 참조하여 송야천 유역의 오염원 그룹별 비점배출부하를 산정해 오염 기여도를 분석한 결과, T-P 항목의 경우 축산계와 토지계의 비점배출부하가 전체 비점배출부하의 약 63%와 37%를 차지해 비점배출부하 기여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송야천 유역의 경우 강우시 농경지와 축산시설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이 하천 수질오염에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지며, 비점오염원 발생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는 송야천 유역의 비점오염 저감 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