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역분지관리

Search Result 9,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Delineating the Spacial Variation of Sediment Yield Potential in the Upper Santa Ana River Basin (산타아나강 상류 유역분지에서 잠재적 퇴적물 생산량의 공간적 분포에 관한 연구)

  • 성효원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5 no.5
    • /
    • pp.665-680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산타아나 강 상류 유역분지 내 잠재적 퇴적물 생산량의 공간적 분포 패턴을 고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산타아나 강 상류지역을 42개의 하부 유역분지로 나눈 후에 각 유역분지에 퇴적물 생산량에 영향을 주는 지형 기복 요소, 면적-형태 요소, 지질 요소, 기후 요소와 관련하여 20개의 변수를 GIS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이러한 20개의 변수들을 기초로 군집분석하여 42개 하부 유역분지들의 잠재적 퇴적물 생산량을 평가한 결과 4개 지역으로 구분되었다. 평가 결과 <발톤> 평기자 포함된 제2지역이 산타아나 강 상류 유역분지에서 가장 퇴적작용이 왕성한 지역으로 나타났다. 이 지역은 낮은 기복 및 고도와 미고화된 물질로 피복된 지역이 97%를 차지하고 있다. 잠재적 퇴적물 생산량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 2지역의 상류부에 분포하는 유역분지들(제 4지역)로서 높은 기복과 고도뿐만 아니라 침식 면적이 넒으며, 과거의 빙하작용이 있었던 지역이다. 특히 단층선이 퇴적작용이 크게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제2지역)과 잠재적 퇴적물 생산량이 가장 높은 지역(제4지역) 사이에 분포하고 있어, 사면경사의 급변으로 제 2 지역의 퇴적작용은 더욱 가속화 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Management in Watershed (유역분지의 환경관리와 관련된 지형인자들의 분석 - 용인시 서북부 지역을 사례로 -)

  • Sung, Hyo-Hyun;Ryu, Joong-Hi;Ban, Hyo-W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0 no.4 s.22
    • /
    • pp.17-30
    • /
    • 2002
  • Since the industrialization spread out, the metropolitan areas of Seoul have been urbanized rapidly in Korea, without concern for the quality of further development and sufficient environmental management. Due to this fact, it has become increasingly apparent that natural hazards, such as floods and landslides, occur frequently after the summer's heavy rains, and because of that, the scale of damage is getting larg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 and floods in the sub-basins of the study area. In addition to this, we'd like to compare the influences of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upon the floods occurring in both the whole study area and the developed area in sub-basins.

  • PDF

A Study on the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 and Flood Hazards in Watershed (유역분지의 개발 및 수해 발생과 관련된 지형 인자 분석 -용인시 서북부 지역을 사례로-)

  • Seong, Hyo-Hyeon;Ban, Hyo-Won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11a
    • /
    • pp.101-109
    • /
    • 2002
  • Since the industrialization spread out, the metropolitan areas of Seoul have been urbanized rapidly in Korea, without concern for the quality of further development and sufficient environmental management. Due to this fact, it has become increasingly more apparent that natural hazards, such as floods and landslides, occur frequently after the summer's heavy rains, and because of that, the scale of damage is getting larg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 and floods in the sub-basins of the study area. In addition to this, I would like to compare the influences of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upon the floods occurring in both the whole study area and the developed area in sub-basins.

  • PDF

Land Use Evaluation and Suitablility Analysis for Paddy Cropping of Nam Khane Watershed, Laos, Using Remotely Sensed Data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원격탐사자료와 GIS를 이용한 라오스 남칸유역분지의 토지이용평가 및 미작적지분석)

  • 조명희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11 no.1
    • /
    • pp.1-17
    • /
    • 1995
  • Using remotely sensed data(MOS-1) and other spatial data such as aerial photos and topographic maps, 10 kind of thematic layers were prepared with Arc/Info system for watershed management of Nam Khane River, northern part of Laos. The characteristics of landuse distribution of some criteria which like village, sub-basin, elevation and slope were clarified by overlaying each layer. Therefore, statistic data including shifting cultivation area were produced from database layer. Through the manipulation of some data of each layer, suitable area for permanent paddy cropping converted from the fallow and shifting cultivation area was extracted.

The Correlation between Groundwater Level and GOI considering Snowmelt Effect and Critical Infiltration in Ssangchun Watershed (융설효과와 한계침투량을 고려한 쌍천유역의 지하수위와 GOI의 상관관계)

  • Yang, Jeong-Seok;Park, Jae-Hyeon;Choi, Yong-Sun;Park, Chang-Kun;Jeong, Gyo-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94-199
    • /
    • 2006
  • 쌍천유역의 강수량과 지하수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융설효과를 확인하였고 갈수기에 지하수위가 현저히 저하됨을 확인하였다. 쌍천유역의 지하수위와 GOI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70일 이동평균값을 이용한 GOI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융설효과를 고려하기 위해서 먼저 유역의 DEM 자료를 이용하여 100m 간격으로 고도별 면적분포를 구하고 기온이 100m당 $0.5^{\circ}C$씩 감소하는 것을 고려하여 강수사상이 발생하면 $0^{\circ}C$ 이하가 되는 고도에서는 강설사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 때 고도별 면적분포에서 구해지는 면적비를 고려하여 강수사상을 강우와 강설로 나누었다. 이후에 고도를 고려한 기온이 $0^{\circ}C$ 이상인 날에 그 고도의 설적이 모두 녹는 것으로 가정하였고 강우가 발생한 것으로 처리하였다. 유역평균 일최대침투량을 알아내기 위하여 강수량자료를 일정값 이상은 고정하여 수정된 강수량자료로 70일 이동평균값을 구하고 이 값들과 지하수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40mm가 일최대침투량으로 가정하였을 때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쌍천유역의 경우 40mm가 한계침투량이다. 이렇게 수정된 강수자료를 이용하여 이동평균을 구하여 지하수위와의 상관관계를 구해본 결과 쌍천유역의 2003년부터 2005년까지 2개년 자료에 대해서 융설을 고려했을 때 상관관계가 더 높아짐을 알 수 있고 한계침투량을 고려했을 때도 상관관계가 더 높아짐을 알 수 있으며 융설효과와 한계침투량을 동시에 고려했을 경우에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얻을 수 있었다.$2.8g/cm^3$로 가정했을 때, 경상분지의 화강암류의 압력평균값이 약 $0.73{\sim}3.16kbar$의 범위를 가졌고, 경상분지내 백악기 화강암류의 정치 깊이는 $2.6{\sim}11.4km$범위를 가졌다. 이는 경상분지 화강암류에 대해 유추된 기존의 정성적인 생각과 일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각섬석의 $Al^T$함량을 이용한 여러 경험적, 실험적인 압력계가 많은 제한점이 있지만 경상분지의 백악기 불국사화강암류에는 정성적으로 유효함을 알 수 있었다. 우리는 최종적으로 경상분지내 백악기 화강암류는 천부관입 암체이고 노출된 화강암류가 천부지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것이 아니라 낙관적 예측을 수행하는 경향이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원밭, 화산회밭으로 6개 유형으로 분류할 경우 각각의 분포면적은 41.9%, 23.3%, 17.5%, 13.9%, 1.1. 2.2% 이었다. 도시화 및 도로확대 등 다양한 토지이용 및 지형개변으로 과거의 토양정보가 많이 변경되었다. 그래서, 앞으로는 인공위성자료 및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빠르고 쉽게 활용할 수 있는 토양조사 방법개발과 기 구축된 토양도의 수정, 보완 작업이 필요한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현실이다.브로 출시에 따른 마케팅 및 고객관리와 관련된 시사점을 논의한다.는 교합면에서 2, 3, 4군이 1군에 비해 변연적합도가 높았으며 (p < 0.05), 인접면과 치은면에서는 군간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복합레진을 간헐적 광중합시킴으로써 변연적합도가 향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시장에 비해 주가가 비교적 안정적인

  • PDF

Evaluation of DEM Accuracy from ASTER Data (ASTER 데이터에 의해 추출한 DEM 의 정확도 평가)

  • Na, Sang-Il;Park, Jong-Hwa;Shin, Hyoung-Sub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028-2032
    • /
    • 2008
  • DEM은 도시계획, 도로건설 계획, 수해지역 예측 등의 많은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특히 홍수와 같은 하천재해를 분석, 관리하기 위한 유출모형 적용 때 중요한 입력 자료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DEM 제작방법은 과정이 복잡하고 자료 전환이 불가피하며 적용범위에 있어서도 제약이 따른다. 따라서 기존에 사용되던 방법들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정확한 DEM 생성 방법으로 위성영상을 이용하는 연구 및 기술개발이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DEM 생성 알고리즘을 ASTER 위성 영상에 적용하여 추출한 DEM의 정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정확도 평가는 USGS DEM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 정사보정의 RMSE는 6개의 GCP에서 2 화소에 수렴하였고, 구름영역에서 고도값이 실제 지형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금강 유역의 북동쪽으로 발달된 능선의 고도값은 ASTER DEM이 USGS DEM에 비해 과소평가 되었지만 영상 왼쪽에 위치한 분지는 평활한 지역으로 ASTER DEM과 USGS EM과의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림 지역 등 능선의 고도값은 ASTER DEM이 USGS DEM에 비해 과소평가 되었지만, 분지 등 평탄 지역의 DEM은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Morphology and Ecological Milieu of Keum-gae River basin in Andong Province (안동 금계천 유역의 지형과 생태 환경)

  • KEE, Keun-Doh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7 no.4
    • /
    • pp.99-110
    • /
    • 2010
  • This study elucidates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climatic, morpological, and hydraulic milieu in the drainage basins of Keum-gae river from the viewpoint of ecogeography. The region of this basin is located at low-relief hills. Because hills are made up of granitic regolith by deep weathering, the rate of permeability is very high. And, the speed of drainage is very fast, and the deficit of water easily revealed and BOD is very high. Therefore a great deals of efforts are needed for the maintenance of stable milieu.

Studies on the Desertification Combating and Sand Industry Development(III) - Revegetation and Soil Conservation Technology in Desertification-affected Sandy Land - (사막화방지(沙漠化防止) 및 방사기술개발(防沙技術開發)에 관한 연구(硏究)(III) - 중국(中國)의 황막사지(荒漠沙地) 녹화기술분석(綠化技術分析) -)

  • Woo, Bo-Myeong;Lee, Kyung-Joon;Choi, Hyung-Tae;Lee, Sang-Ho;Park, Joo-Won;Wang, Lixian;Zhang, Kebin;Sun, Baopi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90 no.1
    • /
    • pp.90-104
    • /
    • 2001
  •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and to evaluate the revegetation and soil conservation technology in desertification-affected sandy land, resulting from the project of "Studies on the desertification combating and sand industry development". Main native plants for combating desertification :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distribution in desertified regions are partially concentrated vegetation distribution types including the a) desert plants in low zone of desert or sanddune of depressed basin, b) salt-resistant plants around saline lakes, c) grouped vegetation with Poplar and Chinese Tamarix of freshwater-lakes, saline-lakes and river-banks, d) gobi vegetation of gravel desert and e) grassland and oasis-woods around the alluvial fan of rivers, etc. Generally, Tamarix ehinensis Lour., Haloxylon ammodendron Bunge., Calligonum spp., Populus euphratica Oliver., Elaeagnus angustifolia L., Ulmus pumila L., Salix spp., Hedysarum spp., Caragana spp., Xanthoceras sorbifolia Bunge., Nitraria tangutorum Bobr., Lespedeza bicolor, Alhagi sparsifolia Shap., Capparis spinosa L., Artemisia arenaria DC., etc. are widely distributed in desertified regions. It is necessary for conducting research in the native plants in desertified regions. Analysis of intensive revegetation technology system for combating desertification : In the wind erosion region, the experimental research projects of rational farming systems (regional planning, shelterbelts system, protection system of oasis, establishment of irrigation-channel networks and management technology of enormous farmlands, etc.), rational utilization technology of plant resources (fuelwood, medicinal plants, grazing and grassland management, etc.), utilization technology of water resources (management and planning of watershed, construction of channel and technology of water saving and irrigation, etc.), establishment of sheltetbelts, control of population increase and increased production technology of agricultural forest, fuelwood and feed, etc. are preponderantly being promoted. And in water erosion region, the experimental research projects of development of rational utilization technology of land and vegetation, engineering technology and protection technology of crops, etc. are being promoted in priority. And also, the experimental researches on the methods of utilization of water (irrigation, drainage, washing and rice cultivation, etc.), agricultural methods (reclamation of land, agronomy, fertilization, seeding, crop rotation, mixed-cultivation and soil dressing works, etc.) and biological methods (cultivation of salt-resistant crops and green manure and tree plantation, etc.) for improvement of saline soil and alkaline soil in desertified-lands are actively being promoted. And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s on the revegetation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s of desertified-lands are sincerely being required.

  • PDF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ismic source and the Wave Propagation Parameters in the region of the Southeastern Korean Peninsula (한반도 남동부 지진의 지각매질 특성 및 지진원 특성 변수 연구)

  • Kim, Jun-Kyoung;Kang, Ik-Bu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2 no.1 s.4
    • /
    • pp.135-141
    • /
    • 2002
  • Both non-linear damping values of the deep and shallow crustal materials and seismic source parameters are found from the observed near-field seismic ground motions at the South-eastern Korean Peninsula. The non-linear numerical algorithm applied in this study is Levenberg-Marquadet method. All the 25 sets of horizontal ground motions (east-west and north-south components at each seismic station) from 3 events (micro to macro scale)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damping values and source parameters. The non-linear damping values of the deep and shallow crustal materials were found to be more similar to those of the region of the Western United States. The seismic source parameters found from this study also showed that the resultant stress drop values are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ose of the Western United Sates. Consequently, comparisons of the various seismic parameters from this study and those of the United States Seismo-tectonic data suggest that the seismo-tectonic characteristics of the South eastern Korean Peninsula is more similar to those of the Western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