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아 원격교육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3초

위드 코로나 시대에서 유아교육 현장의 원격교육 제한사항과 이에 따른 유아 원격교육 솔루션 개발 제안 (Restrictions on Distance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Era of with Corona, and Proposal for Early Childhood Distance Education Solution Development)

  • 이흔연;홍필태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51-259
    • /
    • 2021
  • 유아교육은 지식의 전달보다는 지도자에 의하여 유아의 감각을 키우는 과정이라는 특징으로 인하여, 위드 코로나 시대에서도 유아 원격교육은 일대일 비대면 교육 보다는, 유아교육 꾸러미 등 배포된 자료나 TV등의 매체를 통하여 학부모가 직접 돌보는 방식으로 원격교육이 진행되었다. 연구자는 선행연구 고찰 및 학부모 집중 인터뷰를 통하여, 교육 콘텐츠의 확대 및 접근성 확대, 유아 원격교육의 기본지식 이해, 실시간 원격교육을 통한 유아의 사회성 증대 필요 등의 원격교육 요구사항을 파악하였고, 현재 제공중인 원격교육 관련 솔루션이 유아교육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다양성, 용이성, 실시간 소통, 통합이라는 유아 원격교육 솔루션의 기본방향(VERI)을 제시하고, 유아, 학부모, 교사가 함께 콘텐츠를 공유하고, 실시간 및 비실시간 소통을 할 수 있는 Web/App 솔루션 개발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원격교육 솔루션은 단지 가이드라인과 자료만 제시하고 있는 현재 상황을 유아-학부모-교사가 함께 소통하고, 콘텐츠를 공유하게 되어, 위드 코로나 시대의 유아 원격교육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것으로 기대한다.

PostCOVID-19 시대 유아교육을 위한 HyFlex 수업모형의 적용 가능성 탐색 (A Study on an Application of HyFlex Learning Model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PostCOVID-19 era)

  • 김선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311-320
    • /
    • 2021
  • 이 연구는 Post COVID-19 시대 유아교육의 새로운 형태로써 하이플렉스 수업 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절차로는 1) 현재 국내 유아교육의 당면과제 및 국내 원격교육의 운영형태를 살펴본 후, 2) 하이플렉스 수업 모형의 개요와 특징, 해외 기관의 적용 사례, 특히 해외 유아교육기관에서 하이플렉스 모형을 적용한 사례를 검토해봄으로써 3) 국내 유아교육 현장에서 하이플렉스 수업 모형을 적용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온라인과 오프라인, 실시간과 비실시간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모형인 하이플렉스 수업 모형은 학습자의 선택권과 주도성, 활동성을 강조하는 모형으로 고등교육뿐만 아니라 유아교육에서도 활용 가능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내 유아교육 현장에 하이플렉스 수업 모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첫째, 물리적 환경의 구성, 둘째, 보조교사, 기술지원자 등 보조인력의 활용, 셋째, 교수법 적용을 위한 주체별(교사, 교육기관, 유아 보호자) 교육 및 공동체 운영이 고려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 및 향후 연구를 제시하였다.

코로나 19에 따른 원격수업 콘텐츠 분석연구 : 유치원 [놀이ON]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tent analysis of Remote classes according to COVID-19 : Focusing on Kindergarten [Play ON])

  • 남기원;최정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2호
    • /
    • pp.69-7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원격수업 콘텐츠 분석을 통해 미래교육환경에서 유아를 위한 원격수업 콘텐츠개발과 활용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대상은 '유치원 [놀이ON] 콘텐츠' 148편으로 '사용의 용이성', '흥미성', '교육성', '내용의 적합성', '기술성'에 따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내용의 적합성'을 제외하고 각 하위영역별 콘텐츠의 점수에 큰 편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용의 적합성' 경우에는 현직교사들의 콘텐츠 제작으로 거의 모두 상위 점수를 받았다. 이와 같은 내용으로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먼저, 탐색 및 진행과정에서 유아의 놀이 참여유도와 이해를 고려해 적절한 속도의 말로 제작되어야하며, 모든 유아들이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주제로 다양한 전략을 활용한 도전과 수준에 맞는 놀이가 가능해야 한다. 또한 유아의 상상력, 호기심과 창의적인 경험 지원과 발견과 탐색의 과정에 유아가 참여할 수 있도록 주제 선정과, 영상 편집 및 음성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ARCS 전략을 적용한 원격 문해교육이 성인문해학습자의 이해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dult Literacy Learners'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Through the Use of ARCS-Based Distance Literacy Education)

  • 이경양;김선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1호
    • /
    • pp.25-32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성인문해학습자 대상 원격 문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ARCS 전략을 기반으로 한 원격 문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원격 문해교육의 효과는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를 통해 검증한다. 원격 문해교육의 양적인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성인문해학습자 49명을 대상으로 수업이해도, 수업만족도, 학습결과 만족도에 대해 사전-사후 검사 후, 그 차이에 대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원격 문해교육에 참여한 학습자의 경험, 변화와 그 의미를 탐색하기 위해 학습자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ARCS를 기반으로 한 원격 문해교육 후, 수업이해도, 수업만족도, 학습결과 만족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학습자는 동영상 반복재생과 스마트 기기 활용 능력 향상에 대해 만족감을 나타내면서도 학교에 가지 못하는 아쉬움과 매체 사용에 대한 어려움 등을 표현하였다. 이는 ARCS를 활용한 원격 문해교육이 긍정적 학습결과를 도출하는데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제시하였다.

유아 활동량에 의한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Monitoring System by Actigraph for Yong Children)

  • 최철훈;박성식;이상언;이주원;강성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00-502
    • /
    • 2014
  • 최근 어린이 집과 유치원에서 유아 교육에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예기치 않는 불의의 사고가 발생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아에게 사고 및 질병에 의한 이상이 있을 때 신체활동 및 체온변화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사고를 예방하기위해 유아의 체온 및 활동량을 측정하고, 원격의 스마트폰과 PC에서 유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실시간 비대면 유아체육 수업의 효율적 운영방안 제시 (Efficient management strategy for untact real-time early childhood physical education(ECPE))

  • 전선혜;노장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215-22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실시간 비대면 유아체육의 효율적 운영방안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은 질적 연구방법 중 심층면담, 비 참여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귀납적 범주분석을 통해 주제어를 도출하였고 Spradley의 영역분석과 분류분석을 통해 분류하였다. 범주화 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시간 비대면 유아체육 수업에서 고려할 요인의 하위주제로 '수업을 진행하는 장소', '의사소통의 어려움', '비대면에 적합한 프로그램', '시설 및 장비의 중요성'이 나타났다. 둘째, 실시간 비대면 유아체육 수업의 효율적 운영방안의 하위주제로 '비대면 환경을 고려한 수업설계', '확실한 수업 준비', '원격 관리자의 역할', '포스트 코로나에 대비한 지도자 역량강화'가 나타났다. 향후 비대면 유아체육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며 본 연구를 통해 비대면 유아체육 수업의 효율적 운영방안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유아교사대상 웹기반 연수의 만족도 분석과 운영평가 (Management and Satisfaction in Web-Based Training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 서영숙;서혜전
    • 아동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19-235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guidelines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Web-Based Training (WBT)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content analysis and questionnaires administered to the 174 current trainees, this research analyzed (1)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learner satisfaction, (2)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and (3) the system, interface,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motivation and content design of $WBT^{***}$. Results showed that most trainees were very satisfied with the WBT because the program provided plentiful professional information enabling them to pursue their educational objectives along with flexibility of time and space. On the other hand, system stability, communication, motivation, and content design need to be improv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8 strategies of effective management of web-based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were proposed.

  • PDF

원격 수업환경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문제해결력을 매개로 흥미수준에 미치는 영향 탐구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Interest Level through Problem-Solving Ability in Distance Learning Environment)

  • 남선우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72권
    • /
    • pp.205-223
    • /
    • 2022
  • 연구 목적 : 본 연구의 원격 수업환경에서 흥미수준에 대한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영향을 문제해결력이 매개하는지 탐색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본 연구는 경기도에 위치한 A대학교의 기독교교육과와 유아교육과 학생 64명을 대상으로 했다. 연구를 위해서 흥미수준, 자기주도학습 능력, 문제해결력을 설문을 통해서 자료를 수집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Macro 및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방법을 활용해 흥미수준에 대한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영향에 대한 문제해결력의 매개 효과를 분석했다. 그 결과, 흥미수준에 대한 자기주도적학습 능력은 .651 수준에서 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변인인 문제해결력을 포함시킨 2단계에서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영향이 .543으로 낮아졌으며, 문제해결력의 영향은 .360 수준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 이와 같은 결과를 볼 때, 흥미 수준에 대한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영향을 문제해결력이 매개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원격수업에 있어서 문제해결력 지원을 통해 흥미수준을 향상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충남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의 공간혁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ce Innovation of Public Libraries Belonging to Chungcheongnam-do Office of Education)

  • 임정훈;오형석;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103-126
    • /
    • 2021
  • 본 연구는 충청남도교육청 소속 19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교육·문화복합공간으로서의 도서관 재구조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공공기관 복합화 시설의 사례 조사, 이용자 설문조사 등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미래 공공도서관이 갖추어야 할 공간으로 배우는 공간(종합자료실, 테마 자료 탐구실, 미래교실, 블렌디드 러닝센터, STEAM 교육실, 원격강의학습실), 표현하는 공간(포이어, 메이커 룸, 디지털 매체 창작실, 원격강의제작실), 나누는 공간(동아리·모둠학습실, 웰빙 복합문화공간, 생활·편의공간, 휴게실·브라우징), 즐기는 공간(퍼포먼스·생각 놀이터, 유아·어린이 자료실, 디지털 가상체험실, 특화 알코브실, 야외독서실) 등으로 구분하여 공간 재구조화 전략을 제시하였다. 또한, 건축 규모, 장서 규모, 서비스 및 공간 수준 등을 고려하여 선도모형, 기본모형, 이음터 모형, 최소모형 등 도서관별로 특화된 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의 재구조화 모형을 제안하였다.

가정 내 혼란이 유아의 공격성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수면문제와 실행기능의 매개효과 (Effects of Household Chaos on Preschoolers' Aggression and Prosocial Behavior: Sleep Problems and Executive Function as Mediators)

  • 이보미;노지운;신나나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1권1호
    • /
    • pp.1-13
    • /
    • 2023
  • Household chaos, represented by high levels of disorganization and instability in the home, has been linked with suboptimal outcomes for preschoole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s that sleep problems and executive function play in the association between household chaos and preschoolers' aggression and prosocial behavior. The sample for the study consisted of 420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s. The mothers provided reports on the level of chaos in the home and their preschoolers' sleep problems, executive function, and social behavior, including aggression and prosocial behavior.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hen preschoolers' sleep problems and executive function were included in the model as mediato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household chaos did not have direct effects on preschoolers' aggression and prosocial behavior. Such effects were instead serially mediated by preschoolers' sleep problems and executive function, respectively. The higher the degree of household chaos, the more preschoolers displayed sleep problems and deficits in executive function, resulting in more aggression and less prosocial behavior.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emphasize the significance of reducing household chaos in order to reduce preschoolers' aggression and promote prosocial behavior. They also underscore the need to identify additional variables that mediate the impact of household chaos on preschoolers' social outco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