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아학교

검색결과 171건 처리시간 0.027초

고압선로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의 위해성 관리 방안 (Management Strategies for Electromagnetic Fields in Electric Power Lines)

  • 전인수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1017-1023
    • /
    • 2003
  • 최근 전기전자기기 등의 사용에 의한 전자파 발생으로 인체 위해성에 대한 논쟁이 시작되었으며, 지난 20여년 동안 고압선로에서 발생되는 극저주파 전자기장에 만성적인 노출로 인한 인체 위해성에 관한 역학적 연구가 많은 나라에서 진행되어 왔다. 2 mG 이상의 자기장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경우에 소아백혈병 등과 같은 암 질병이 발생한다는 연구논문이 발표되고 있다. 고압선로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에 의한 장기적인 노출과 암 발생에 관한 상관관계가 과학적으로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고, 또한 잠재적인 건강 위험성에 대한 평가가 입증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2000년에 스위스는 민감한 정온시설 지역에 대하여 엄격한 예방적 원칙을 적용하고 있으며, 여러 국가들도 이러한 건강 위험성에 대한 저감정책의 일환으로 자기장 노출 가이드라인을 설정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다시 말하면, 과학적인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도 과학적인 연구결과만을 기다리지 않고, 잠재적인 위험성을 예견하여 차후 심각한 위험성에 대한 조치를 미리 적용하는 관리정책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이러한 건강 위험성에 대한 관리정책이 아직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고압선로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장에 만성적인 노출과 소아백혈병 발생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기 위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해야 하며, 유아원, 초등학교 등의 환경민감시설에 대한 단계별 전자파 방출 권고치를 설정하는 등의 예방적 관리정책을 부분적이나마 도입할 필요가 있다.

만 5세 유아의 읽기능력, 어휘력과 개인·환경 변인이 초등학교 1학년 읽기이해능력과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Reading Ability and Vocabulary at Age 5 and Personal Environment Variables of Children on First Grade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and Vocabulary)

  • 이기숙;김순환;정종원
    • 아동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123-139
    • /
    • 2011
  •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impact of reading ability and vocabulary at age 5, as well as analyzing the impact which children's gender, parental education level and family income level has on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and vocabulary at the first grade level in primary school. The study also sought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ults obtained in Korea and Japan on this particular research topic. For the Korean part of the study, 328 first grade Korean children, who had participated in the initial testing as five-year olds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longitudinal study were tested; whereas in Japan, 215 students were tested.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in the case of Korea,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in the first grade was affected by vocabulary and reading abilities at age 5, gender, as well as the mother's education level, in that order. In Japan, it was affected in the order of vocabulary, gender, and father's education level. In terms of first grade vocabulary, in the case of Korea, it was affected in the order of vocabulary and reading ability at age 5 and father's education level; whereas in Japan, it was affected in the order of vocabulary, gender, and reading ability. In both Korea and Japan, at age 5, vocabulary was shown to have a more significant impact than reading ability on both of language ability and vocabulary in the subsequent primary school period. As such, it can be seen that more interest should be shown not only in the ability to read at age 5 but also in expanding the vocabulary of children at this age through appropriate interaction and support.

가족기능성이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을 매개로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amily Functioning on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Affective Parenting and Preschoolers' Self-regulation)

  • 정수지;최나야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8권1호
    • /
    • pp.1-12
    • /
    • 2020
  • This study examined if the effect of family functioning on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can be mediated by mothers' affective parenting and preschoolers' self-regulation in the year before children enter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analyzed the 7th year data of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collected by the Korean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Statistical analysis included 1,513 pairs of 6-year-old children and mother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bootstrapping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2 and Amos 20. The primar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sub-factors of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composed of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approach to learning, cognitive development and general knowledge, and communica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family functioning, mothers' affective parenting, and preschoolers' self-regulation. Second, the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that the indirect paths from family functioning to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through mothers' affective parenting and preschoolers' self-regulation were significant, while the direct path was insignificant. Third, bootstrapping analysis showed that mothers' affective parenting and preschoolers' self-regula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ing and preschoolers' self-regulation. The findings provide the grounds for families and parents with preschool aged children to implement effective support practices to maintain a functional family system that can promote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한국사 교과서의 내용구성과 전근대·근현대사의 비중 문제 (The Composition of Korean History and the Amount of Modern History in Textbooks of Korean History)

  • 신유아
    • 한국교육논총
    • /
    • 제38권1호
    • /
    • pp.17-28
    • /
    • 2017
  • 현재 세계의 거의 모든 국가들은 자국사를 학교 교육과정 속에 편성하고, 이를 가르치고 있다. 과목의 편제 방식은 나라마다 차이가 있겠으나, 자국사 교육이 중요하다는 인식은 누구나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다. 이는 국사가 국어와 함께 자기 정체성의 핵심이고, 통합의 중추가 된다는 사실에 모두가 공감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 국사과목은 일시적으로 교육과정상 선택과목에 편제되었던 적도 있었고, 최근까지 수능에서 선택과목으로 편제되어 사실상 학생들이 관심을 갖지 않았던 시기도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국사교육에 대한 홀대가 상당기간 지속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국민정서는 언제나 국사를 소홀히 다뤄서는 안 된다는 것이었고, 이러한 범국민적 공감대의 형성이 결국 한국사 수능 필수화 조치로 나타나게 되었다. 국사 교육의 필요성이 이처럼 강조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국사 교육은 언제나 '위기', '난항'이라는 단어와 함께 언급되었다. 이는 물론 수능에서 굳이 선택하지 않아도 되는 국사를 학생들이 공부할 이유가 없다는 현실이 근본적인 배경이었지만, 국사 교과서의 방대한 분량과 그 내용 구성이 적절하지 않다는 점에도 원인이 있었다. 이 글에서는 한국사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구성상의 핵심 쟁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 PDF

초등학교 3학년의 미디어기기 이용과 집행기능 곤란과의 관계: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dia Device Use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in Third Grade: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Child's Communication Ability)

  • 정은화;이현아;이지영;이강이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7권4호
    • /
    • pp.523-534
    • /
    • 2019
  • This study identifies correlations between the use of media devices, communication ability,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for third grade students, as well as investigates the moderating effect of a child's communication ability. Data from the 10th (2017)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was employed (N=557).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ere used along with SPSS 25.0(IBM Co., Armonk, NY, US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in the third-grad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media device use. While also, showing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 child's communication ability. Media devices use and communication ability h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Second, a child's communication ability has a moderating effect in relation to the use of media devices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The difficulty of executive function showed a reciprocal increase to a child's use of media devices and indicated a discriminatory effect of a child's communication ability.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communication ability is important as a personal factor for children who control the negative effects of media devic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d support an environment for the development of a child's communication ability.

초등학생을 위한 가정 신문 활용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Home Newspaper Utilization Sca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HNUS-E))

  • 최나야;정수정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7권2호
    • /
    • pp.225-241
    • /
    • 2019
  • This study develops and validates an objective scale to measure newspaper use at home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arents. We developed a preliminary scale of 59 items through the review of literature on newspaper use and mediation as well as the examination of content validity by education expert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AMOS 21.0 programs. A total of 42 items were supported by 703 parents with students in grades 1-6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model included 3 categories and 9 sub-factors: instruction (modeling, restriction, and text instruction), activities (play activity, conversation, online mediation, and scrap activity), and belief (academic achievement and information acquisit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and validated the model fit; in addition,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and cross validity was confirm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by gender comparison and grade comparison. We also verified the validity of this scale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based on Yu and Jung (2012)'s newspaper mediation variables and scale in regards to children's motivation for using newspapers. Finally,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d half reliability were also confirmed. In conclusion, the suitability and stability of home newspaper utilization scale for elementary students (HNUS-E) were confirmed. This scale provides parents and educators with ideas for the development of the children's literacy,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that can be effectively used in research on newspaper use for school-aged children.

유치원 방문 구강건강교육사업의 효과 (The effect of preschool visiting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 임미희;안세연;이은선;정재연;한지연;황윤숙;한수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963-972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check the effect of preschool visiting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and provide baseline data for an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that suggests the necessity of oral health education in children's living places. Methods: The preschool visiting oral health education was conducted with the parents of 3-year-old and 4-year-old children at a preschool in the jurisdiction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with teachers observing the education, and oral health educator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oral health education,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the status of oral health care, and the degree of cooperation for the education. Results: Regarding oral health behaviors after the education program, the attitude toward brushing teeth after food intake increased from 2.86 to 3.17 and thinking of the relationship with dental caries and eating food increased from 2.57 to 2.90. The satisfaction with the children's health education was very high at over 4.9 points in most items. The teachers' interest in children's oral care was 4.26 points, and the degree of their cooperation for education was 4.41 points; 96.4% responded that they were willing to conduct reeducation. Conclusions: Children's oral health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steadily and repeatedly.

창의적 체험 활동에서의 코딩교육이 일반계 고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oding Education on Creative Problem Solving of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in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 이은아;이승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716-72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에서의 코딩교육이 일반계 고등학생들에게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충청북도 충주시 J인문계 고등학교에서 코딩 교육을 희망하는 학생 1~3학년 24명(남 14명, 여 10명)을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게 중재 프로그램은 스크래치 프로그램을 활용해 월 2회, 5개월 동안 10차시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검증한 결과 전체 평균 점수의 상승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하는 코딩교육이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코딩교육은 '일상의 문제를 합리적이고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는 창의적 체험 활동의 하위 목표 성취를 위해 적합하며, 특히 자기확신 및 독립성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학 신입생 중도탈락 예측 요인 분석: S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A Exploratory Study on the Determinants Predicting Student Depature of Freshmen: Focusing on the Case of S University)

  • 이은정;이정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317-33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신입생의 중도탈락을 예측하는 주요 요인을 도출하여, 대학 차원에서 중도탈락을 예방하기 위한 정책 수립의 근거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에 위치한 S대학교의 2018학번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입학 이후 2년 동안 관찰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랜덤포레스트 중도탈락 예측 모형을 구축하였다. 예측모형에는 대학생활적응 요인 6개 변수, 교육만족요인 12개 변수, 총 18개 변수를 투입하였다. 분석결과, 정서안정성, 경제적 여건, 전공진로에 대한 확신, 대학 선택 만족도, 교육방법(교육 내용의 체계성), 교육방법(전공 교육 내용의 효과성)이 중도탈락을 예측하는 중요도 상위 6개 변수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대학 신입생이 대학생활에 적응하고 안정적으로 학업을 지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 설계의 방향과 필요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지역사회경험학습(CBL)이 전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mmunity-Based Learning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iency of Junior College Students)

  • 조채영;김경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309-31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경험학습(CBL)이 전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D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가 지원한 CBL에 참여한 10개 학과, 6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CBL이 전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CBL이 전문대학생의 진로결정에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이다. CBL의 적용 전·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효과성을 살펴본 결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CBL이 학습자들의 진로결정에 주는 의미는 '이론의 현장적용을 통해 이해력이 향상되고, 공부하는 계기가 되어 진로에 대한 확신과 다짐이 생김'으로 도출되었다. 이를 통하여 CBL은 전문대학생의 진로지도에 적합한 교수학습법으로 적용 가치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