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실률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6초

시공간을 고려한 일단위 SATEEC R 모듈 평가 및 적용 (Evaluation of SATEEC Daily R Module Considering Spatio-temporal)

  • 장춘화;류지철;우원희;김영석;임경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48-48
    • /
    • 2012
  • 유역 내 고농도의 탁수문제는 수자원의 효용 가치 하락, 댐 기능의 저하 및 관광 자원으로써의 가치 하락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발생시킨다. 또한 자원으로서의 토양손실을 야기시켜 토양 재조성을 위한 시간적, 비용적 문제를 발생시킨다. 하천의 탁수저감, 자원으로써의 토양 보전 관리를 위해서는 토양유실 저감 대책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정확한 토양유실량 및 유사량을 평가하여야 한다. 토양유실량 및 유사량을 평가하기 위해 Sediment Assessment Tool for Effective Erosion Control (SATEEC)이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으며, SATEEC System은 다양한 모듈 보완을 통하여 현재 SATEEC System ver. 2.2까지 개발되었다. SATEEC System ver. 2.2는 시공간변화를 고려한 일단위 R factor산정이 가능하며, 이 R factor산정 모듈은 단일강우를 고려할 수 있는 Williams, Foster, Cooley, CREAMS의 R factor산정 공식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SATEEC System ver. 2.2에서는 같은 속성의 셀에 대해서는 함께 연산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유역의 크기나 셀크기에 상관없이 최대 연산시간은 비슷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렇게 개발된 SATEEC System ver. 2.2룰 이용하여 낙동강 수계에 위치한 임하댐유역의 유사량을 평가하였으며, 유사량 평가를 위한 유달률 산정을 위하여 유전자 알고니즘 기반의 SATEEC SDR모듈을 사용하였다. 유사량 평가 결과 보정기간동안 $R^2$ = 0.591, NSE = 0.573, 검정기간 동안 $R^2$ = 0.927, NSE = 0.911로 높은 적용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SATEEC System ver. 2.2는 표토 보전 및 관리를 위한 예비 단계 평가 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PDF

토양 입경이 미세지형의 거칠기와 토양침식률 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ain Size on Relationship between Microtopographic Roughness and Soil Erosion Rate)

  • 김소영;김대홍;손태영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216-216
    • /
    • 2023
  • 가속적인 토양침식은 토지의 환경 및 생태계의 지속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그 양을 예측하여 토양침식을 방지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에 따라 식생, 지형, 토양의 입도분포 등과 같은 토양침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관한 연구가 꾸준히 이뤄지고 있다. 특히 자연 지형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cm' 규모의 미세지형이 토양침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기존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유역 출구 지점에서 관측된 총 유사유출량에만 근거하고 있을 뿐 아니라 토양침식에 미치는 미세지형의 영향에 관한 상반된 결과가 혼재하고 있다. 이는 유역의 토양침식과정에 대한 이해도와 토양침식량에 대한 예측 정확도를 저하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미세지형이 토양침식에 미치는 영향을 유역 전반에 걸쳐 살펴본 후, 명확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동역학파 모형에 기반한 침식 모형을 이용하여 미세지형에서의 강우-유출 및 토사 입자별 침식 및 유출 현상을 수치적으로 모의하였다. 모의 결과에 따르면, 동일한 강우-유출 조건에서도 미세지형의 거칠기에 따라 유역의 토양침식량 및 침식 특성이 달라질 수 있으며, 토양 입경이 미세지형의 거칠기에 따른 유사유출량의 증감 현상을 결정하는 데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함을 제시하였다. 미세지형이 거칠어짐에 따라 비교적 굵은 입자인 모래 함량이 높은 지반에서는 토양침식률이 감소하였으나 이와 대조적으로 미세토사 함량이 높은 지반에서는 토양침식률이 증가하였다. 이는 미세지형이 유역 전반에 걸쳐 입경에 따른 토사의 부상, 이류 및 퇴적 특성에 영향을 미쳐, 유역의 유사 분급 및 장갑화 현상에 깊게 관여하였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통해 토양유실에 미치는 미세지형의 영향에 관한 상반된 연구 결과를 미세지형과 토양 입경분포의 상호작용으로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역 내 미세지형적 거칠기 입경분포에 대한 정확한 정보에 기반하여 토양의 유실량 및 침식량을 산정해야 함을 강조한다.

  • PDF

남북한의 원예산업 현황

  • 이용범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6-14
    • /
    • 2003
  • 북한의 식량 상황이 악화된 근본적인 원인은 생산 주체에 대한 인센티브 부족, 농업환경을 보면 경작지 면적이 전체 20% 정도로 낮고, 무상기일이 135-180일로 짧으며, 토양의 비옥도 저하, 삼림파괴로 인한 토양 유실증가, 가뭄, 홍수, 태풍과 같은 자연 재해가 계속되고 있다. 농업 구조적인 요인들로는 농업에 투입되는 에너지 부족(연료, 비료, 농약, 전기 등), 농업 기계화율 정도가 높았으나 노후화에 따른 예비 부품 부족으로 인한 활용률의 저하, 양질의 종자확보 부족, 갖추고 있는 관개 시설의 노후화로 인한 관개시설 활용과 관수 효율의 저하, 농산물 수확 후 수송과 저장 과정에서 손실증가 등을 들수 있다. (중략)

  • PDF

한국 동남해안에서 다시마(Laminaria japonica Areschoug)의 성장, 성숙, 사망률 및 생산 (Growth, Reproduction, Mortality, and Production of Laminaria japonica Areschoug on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 강래선;고철환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4권3호
    • /
    • pp.226-236
    • /
    • 1999
  • 대규모 다시마 양식장이 존재하는 동남해 일광 연안에서 다시마의 성장, 성숙, 사망 그리고 생산을 조사하였다. 실험을 위해 실험실에서 배양한 어린 포자체를 수심 3 m에 양성하였고, 1995년 12월부터 1996년 8월까지 조사하였다. 양성한 포자체는 이듬해 8월까지 모두 사망하였다. 엽폭, 엽두께, 그리고 습중량은 7월에 최대에 이르렀고, 모두 유사한 계절변화를 보였다. 반면 엽장은 5월에 가장 컸으나, 이후로는 감소하였다. 엽장과 중량의 평균치는 최대 199.8 cm와 333.0 g wet wt였다. 생장점에서 자라나는 조직의 총길이와 중량은 각각 384.0 cm와 393.6 g wet wt였다. 이 값을 토대로 계산한 길이와 중량의 절대성장률은 계절에 따라 변화하였다. 길이와 중량의 절대성장률은 3월(3.6 $cm{\cdot}d^{-1}$)과 5월 (3.8 g wet $wt{\cdot}d^{-1}$)에 각각 최대에 이르렀다. 절대유실률은 2월부터 7월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성장률과 유실률의 시간변화는 수온과 해수중의 질소농도와 상관이 있었다. 포자낭군을 지닌 성숙한 포자체는 4월부터 출현하기 시작하였고, 성숙률은 7월에 최대에 이르렀다. 생존율은 시간경과에 따라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였고, 90% 이상의 개체들이 양성 후 56일 이내에 사망하였다 2월 이후의 사망률은 엽장 30 cm 이하인 개체들을 중심으로 일어나는 크기 종속적 특성을 보였다. 생물량은 7월에 최대(285.6 kg wet $wt{\cdot}m^{-2}$)에 이르렀고, 이 해역에서 다시마의 연간생산량은 758.7 kg wet $wt{\cdot}m^{-2}$였다.

  • PDF

하천 횡단 구조물 하류에서 하상재료 유실 방지를 위한 하상보호장치 개발 및 검증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a riverbed protection device to prevent the loss of bed materials at the downstream of the river structure)

  • 김민규;전상미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45-45
    • /
    • 2020
  • 하천 횡단구조물 하류부에서는 고유속 및 ±압력에 의해 하상재료가 유실되는 세굴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세굴을 방지하기 위해 횡단구조물 하류부에는 석재, 콘크리트 및 콘크리트 블록 등을 설치 및 포설하여 하상보호공을 설치한다. 하상보호공을 설치하면 설치된 부분은 세굴이 방지 되지만, 하상보호공 끝단 이후에는 지반이 노출되어 있어 노출된 지반에서 고유속 흐름 및 압력변화에 의한 세굴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상보호공 끝단 즉, 하상이 노출된 지반에서 압력변화에 따라 하상재료가 유실되므로 압력에너지를 감쇄시키기 위한 하상보호장치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하상보호장치는 본래 다수개가 열을 지어 메트릭스 형태로 설치되도록 하여야 하지만 실험 여건상 단일체로 수리실험을 진행하였다. 하상보호장치는 상판과 하판이 조립된 형태이며 상판과 하판 사이에 이격공간이 구비되어있다. 하상보호장치 검증을 위해 상판과 하판에 쓰이는 판은 수로재질과 같은 아크릴로 제작하였으며, 하상재료의 공극률을 반영하여 다공성 판으로 제작하였다. 다공판의 전체 구멍 면적 대비 판 면적은 35 % 로 동일하다. 상판 구멍 지름 15.0 mm, 4.5 mm 2가지로 제작하였으며, 하판 구멍 지름 3.0 mm 으로 동일하다. 압력변화가 큰 곳에서 작은 곳으로 물이 이동하게 되므로 고유속 수리조건에서 상판과 하판 사이에서의 압력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판 중간에 압력계를 설치하였다. 하상보호장치 설치지점 앞 0.3 m 부근에 PIV를 설치하여 유속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상판의 구멍 직경(15.0 mm)이 클 경우 상판부 압력이 하판부로 전달되어 하판에서 측정되는 압력이 증폭 되었으며, 상판의 다공성 구멍 직경(4.5 mm)이 작을 경우 상판부에서 하판부로 전달되는 압력이 감소하여 하판에서 측정되는 압력이 감소하였다. 상판과 하판의 다공성 구멍의 직경을 적절한 사이즈로 조절하면 상판부의 압력이 하판부로 전달되는 것을 막고 압력에 의해 하상에서 흡출되는 유사를 막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상판과 하판의 다공성판 구멍 직경의 상대적 차이에 따른 압력 감소효율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팔당호 연안대 초지생태계에서 낙엽 구성성분의 유실률 III.인 (The Removal Rates of the Constituents of Litters in the Littoral Grassland Ecosystems in the Lake Paldangho III.Phosphorus)

  • 홍정림;심규철;장남기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59-166
    • /
    • 1996
  • To estimate removal rate of phosphorus in aquatic grassland ecosystems of Paldangho, this investigation was conducted along with the coast of a lake. The experimental results may be summarized on communities of Typha angustata, Miscanthus sacchriflorus Phragmites communis and Scirpus tabernaemontani as follows. The annual production of phosphorus for the litters in T. angustata, M saccharsflorus, P. cam-munis and S. taiernaemontani grasslands were 10.252 g /$m^2$, 3.833 g /$m^2$, , 2.656 g /$m^2$, and 5.210 g /$m^2$, respectively. The ratio of annual production of P accumulated on surface soils in a steady state provides estimates of the removal rate r, The estimated removal rates r of P were 0.58, 0.78, 0.68 and 0.59 in T. angustata, M. sacchariflorus, P. communis and S. tabernaemontani grasslands re- spectively. The removal and accumulation of 50, 95 and of 99% of its steady state level, the estimates for P of T. angustata were 1.195, 5.173 and 8.623 years, in M. sacchariflorus were 0.880, 3.842, and 6.403 years, and in P. cammunis were 1.014, 4.390, and 7.316 years respectively, In S. tabernaemontani grassland required period were 1.178,5.099 and 8.500. Key words:T. angustata, S. tabernaemantani, P. communis, S. tabernaemontani, Paldangho, Removal rate, Phosphorus.

  • PDF

팔당호 연안대 초지생태계에서 낙엽 구성성분의 유실률 IV.황 (The Removal Rates of the Constituents of Litters in the Littoral Grassland Ecosystems in the Lake Paldangho IV.Sulphur)

  • 김용진;윤신선;장남기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67-175
    • /
    • 199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moval rate of sulphur of the litters in the Phragmites communsis, Seirpus tabernaemontani, Miscanthus sacchariflorus and Typha angustata aquatic grassland ecosystem on the lake Paldangho. The annual litter productions of sulphur were 50.91 /$m^2$, in P. communis, 180.83 g /$m^2$, in S. tabernaemontani, 25.87 g /$m^2$, in M. sacchariflorus and 151.39 g /$m^2$, in T. angustata, respectively. The removal rates r, of sulphur in the litters were 0.86 in P. communis, 0.82 in S. tabernaemontani, 0.43 in M. sacchariflorus and 0.47 in T. angustata respectively, The times required to reach 50, 95 and 99 percent of the steady state levels and turnover values of sulphur on the grass-land floor were 0.81, 3.49 and 5.82 years in the P. communis, 0.85, 3.68 and 6.13 years in the S. tabernaemontani, 1.62, 7.00 and 11.67 years in the M. sacchariflorus and 1.49, 6.44 and 10.73 years in the T. angustata, It is considered that the high removal rates of sulphur in four grasslands of aquatic ecosystem contribute to the efficient removal of sulphur, a pollutant, at the lake Paldangho. Key words: Removal rate, Accmulation, Paldaugho, Sulphur, Phragmites communis, Miscanthus saechariflorus, Seirpus tabernaemontani, Typha angastata.

  • PDF

ITS센터 간 국제통신규격(DATEX-ASN)을 신호시스템에 도입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an International Communication Protocol(DATEX-ASN) to Traffic Control System in Korea)

  • 고광용;이승환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138-15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실시간 교통신호제어환경에 ITS센터 간 국제표준통신규격인 DATEX-ASN을 적용한 통신체계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의 운영 실험을 통하여 DATEX-ASN을 국내 신호제어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한 보완사항을 도출하였다. 운영실험은 (1)상황정보 패킷 유실률 (2)EOC 처리시간 (3)운영주기편차를 측정하는 것이었으며, 측정된 각각의 항목은 서로 다른 통신속도에서의 측정치와 비교되었다. 실험 결과 과거 연구결과에서 NTCIP 적용속도가 최소 4800bps이상이었던 것에 비추어 DATEX-ASN규약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9600bps 이상의 고속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향후 국제규격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국내 통신환경을 개선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팔당호 연안대 초지생태계에서 낙엽 구성성분의 유실률 VI. Cu, Fe 및 Zn (The Removal Rates of the Constituents of Litters in the Littoral Grassland Ecosystems in the Lake Paldangho VI. Cu, Fe and Zn)

  • 윤신선;이인숙;장남기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97-304
    • /
    • 1996
  • The investigation was performed to reveal the removal rate of metal constituents of litters in a Phragmites communis Miseanthus sacchariflorus, Typha angastata and Seirpas tabernaemontani grasslands in the lake Paldangho. The removal rates of metal constituents are determined by the mathematical models. The removal rates and time required to decay up to a percentage of each metal constituent were calculated using these model. The removal rates of Cu, Fe and Zn were 0.61, 0.58 and 0.79 in Phragmites communis 0.39, 0.47 and 0.68 in Miseanthus saccharflorus; 0.26, 0.09 and 0.23 in Typha angustata: 0.56, 0.27 and 0.67 in Seirpus tabernaemontani respectively. The periods required to reach half time to the stedy state of the removal and accumulation for Cu, Fe and Zn were 1,13,1.19 and 0.79 years in Phragmites communis; 1.79, 1.49 and 1.02 years in Miscanthus sacchariflorus; 2.70, 7.43 and 2.96 years in Typha angustata ; 1.23, 2.58 and 1.04 years in Scirqus tabernaemontani, re-spectively. Key words: Phragmites communis, Miscanthus sacchariflorus, Typha angustata and Scirpus tabernaemontani, lake Paldangho, Removal rate, Cupper, Iron, Zinc.

  • PDF

GIS를 이용한 댐 저수지의 흙탕물 발생 가능성 비교 평가 (Comparative Evaluation of Muddy Water Occurrence Possibility in Dam Reservoir Using GIS)

  • 이근상;최연웅;박진혁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94-10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GIS 기반 토사유실모델과 유사전달률 그리고 유효저수용량을 고려하여 댐 저수지별 흙탕물 발생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DEM, 토양도, 토지피복도 등의 공간자료를 기반으로 RUSLE 모델의 입력인자를 평가하여 유역대책 수립시 필요한 각 유역별 취약인자를 분석하였으며, 고랭지밭 특성을 고려한 토사유실량 평가를 통해 강우시 유역내 토사발생 잠재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유역면적을 고려한 유사전달률을 통해 유역별 토사유출량을 계산한 결과 충주댐과 소양강댐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유효저수용량을 고려한 유사농도 분석결과에서는 임하댐과 충주댐이 각각 0.791 $kg/m^3/yr$와 0.526 $kg/m^3/yr$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히 임하댐의 토사유출량은 소양강댐유역에 비해 약 2.36배 낮게 나타났으나 임하댐 저수지의 유효저수용량이 소양강댐에 비해 약 4.48배 작아 유사농도는 오히려 임하댐 저수지가 1.90배 높게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10년 평균 강우사상을 이용하여 유사농도를 계산하였으며, 이를 통해 각 유역별 토양, 지형, 식생, 경작상태 그리고 유효저수용량 측면을 검토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정량화된 유사농도 자료들은 저수지의 고탁수 발생 잠재성을 평가할 수 있고 저수지 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도구로도 활용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