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속지수

Search Result 17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The Influence of Sediment Control Dam Dredging on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of Mountain Stream (사방댐 준설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

  • Kim, Bong Sung;Lee, Chang Woo;Seo, Eul Won;Lee, Jong E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1 no.3
    • /
    • pp.454-460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determining the influence of Sediment Control Dam dredging on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in mountain stream of Gyeongsangbuk-do. The sediment control dams were surveyed before and after dredging from mountain streams of Yecheon, Yeongju and Bonghwa in Northern part of Gyeongsangbuk-do. Sampling was taken at upper and down from 3 experimental sites and 2 control sites during May to August 2011. The identified species before dredging were 56 belonged to 31 families, 11 orders, 6 classes and 4 phyla, but after dredging it has decreased to 51 species belonged to 27 families, 10 orders, 5 classes and 4 phyla. The microhabitat damag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occurred at experimental sites after dredging of sediment control dams led to reduction of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Especially, upper stream of experimental sites showed the reduction of an average of 38% species. In general, species diversity indices and species richness indices decreased after dredging; however, dominance indices increased at experimental sites. In the upper stream of experimental sites, the microhabitat damaged and became pool due to dredging. Also, velocity of flow decreased and the river bed became simply due to the sedimentary matter being finer than sand and silt. As a result, composition of functional feeding groups and functional feeding groups were relatively simpler at upper stream and the degree of community differences was greater between upper and down stream. Also, Chironomidae spp., Ephemeridae spp., and Gomphidae spp. to prefer where slow velocity of flow and lentic increased in a greater rate, and the EPT/C index to indicate the balance of the community decreased.

Hydrodynamic Dispersion Characteristics of Multi-soil Layer from a Field Tracer Test and Laboratory Column Experiments (현장추적자시험과 실내주상실험을 이용한 복합토양층의 수리분산특성 연구)

  • Kang, Dong-Hwan;Yang, Sung-Il;Kim, Tae-Yeong;Kim, Sung-Soo;Chung, Sang-Yong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3 no.4
    • /
    • pp.1-7
    • /
    • 2008
  • This study analyzed for hydrodynamic dispersion characteristics of multi-soil layer (Silt and clay, Find sand, Coarse sand), data of a field tracer test on the multi-soil layer and data of laboratory column experiments on the samples on each soil layers. Through the analysis of permeability and flow, MS (Silt and clay) and FS (Fine sand), which were low effective porosity, were higher average linear velocity while CS (Coarse sand), which was high effective porosity, was higher hydraulic conductivity. Hydraulic conductivity function based on average soil particle diameter was assumed Y=$3.49{\times}10^{-8}e^{15320x}$ an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was 0.90. Average linear velocity function based on average soil particle diameter was assumed Y=$1.88{\times}10^{-7}e^{11459x}$ an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was 0.81. Longitudinal dispersivity function based on average soil particle diameter was Y = 0.00256$e^{5971x}$ an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was 0.98. According to the linear regression analysis of average linear velocity and longitudinal dispersivity, assumed function was Y = 21.7527x + 0.0063, an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was 0.9979. The ratio of field scale/laboratory scale was 54.09, it exhibited scale-dependent effect of hydrodynamic dispersion. Field longitudinal dispersivity (1.39m) was 7.47 times as higher than longitudinal dispersivity estimated by the methods of Xu and Eckstein (1995). Hydrodynamic dispersion on CS layer was occurred mainly by diffusion flow in the test aquifer.

A Suitability Selection for Marine Afforestation with Physical Environments (바다숲 조성해역의 물리적 환경을 고려한 최적 적지선정)

  • Oh, Tae-Geon;Kim, Dae-Kweon;Kim, Chang-Gil;Lee, Moon-Ock;Cho, Jae-Kweon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4 no.1
    • /
    • pp.183-194
    • /
    • 2010
  • A suitability analysis for marine afforestation was carried out on physical items based on slop rate, bottom sediment, light intensity, velocity, and wave at north Geomoon waters in Korea. The data from each physical item were changed to a GSDM (Gridded Spatial Distribution Map) using Kriging interpolation. A GSDM grid includes information, and each grid was given a SI (suitability index) of 3 grades(SI of first suitability was 100, SI of second suitability was 50, and non-suitability had no SI).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all overlaid GSDM, first suitability had 500 SI, and suitability area was 0.25ha. Second and third suitability had 400~450 SI, and suitability area was 2.36ha, 1.80ha, respectively. Therefore, the results suggest that reefs installed for marine afforestation should be anti-slip types against steep slope, and the target species need to include algae with low compensation light intensity in second and third suitability.

A Study on Estimation of Hydraulic Coefficient in Ungaged Basin (미계측 유역의 수리계수 산정을 위한 연구)

  • Lee, Jong-So;Kim, Soo-Jun;Kim, Duck-Gil;Lee, Lim-Yeol;Kim, H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61-165
    • /
    • 2011
  • 수리계수는 하천의 수리학적 특성을 대표하는 인자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하천정비기본계획에 의하여 하천을 측량하고 그 측량성과를 바탕으로 수리계수를 산정하여 왔다. 이러한 수리계수는 하천의 홍수위, 유사량, 수질 산정을 위하여 중요한 매개변수로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하천 측량성과가 없는 미계측 유역의 경우 수리계수를 산정할 수 없는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SWAT 모형의 방법론을 검토하고 미계측 유역에서 수리계수를 산정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SWAT에서는 하도 단면을 사다리꼴로 가정하여 대상 유량에 대한 유속 및 수위를 산정하게 되는데, 이의 관계를 활용하면 유량-유속, 유량-수심에 대한 회귀방정식을 지수식으로 산정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검토하고자 하는 방법론을 적용하고자 계측유역인 경안천 유역을 미계측 유역으로 가정하여 SWAT 모형을 적용하였다. 따라서 계측유역에 일반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인 HEC-RAS 모형을 이용한 수리계수 산정 결과와 본 연구에서 미계측 유역을 대상으로 적용하고자 하는 SWAT을 이용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비교결과 SWAT 모형을 이용한 방법론이 일반적인 방법론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경안천이 자연하천이 아닌 정비된 제방하천이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자연하천에 대한 적용을 통한 검증 또는 제방하천에 대한 적용 방법의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Analysis of changes of geomorphic riverbed and habitats suitability on flow rate (유량에 따른 하천지형변화와 서식처 적합도 분석)

  • Mi Kyoung Choi;Tae Un Kang;Chang Lae Jang;Hyun Uk 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88-488
    • /
    • 2023
  • 유량에 따른 수치모형(Nays2D) 하상변동 모의 결과를 토대로 서식처 적합도 분석 모델(PHABSIM: Phsical Habtiat Suitability Model)의 입력자료로 활용하여, 유량에 따른 하상 지형변화와 그에 따른 어류 서식처 적합도 변화를 분석한다. 금강 2km를 대상으로 2차원 모형인Nays2D를 적용하여 부등류 흐름(댐 방류량, 2년 빈도 유량, 100년 빈도 유량 등)에 따른 하상변동모의를 실시하였고, 모의 결과값(단면 표고, 유속, 수위)을 물리적 서식처 평가 모델인 PHABSIM의 입력자료로 활용하였다. 피라미 서식을 위한 적정 유속과 수심의 서식처 적합도 지수를 이용하여 각 유량별 가중가용면적(WUA: Weighted Usable Area)을 산정하여 비교 분석하여, 유량에 따른 단면 구조의 변화가 WUA와 피라미 서식처 적합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한다. 본 연구는 2차원 수치 모의 결과에 따른 단면(혹은 지형) 변화 양상과, 그에 따라 피라미를 비롯한 다른 생물종(어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분포 경향에 연관성이 있는지를 실제 유량 변화와 생물종 조사 결과(물환경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생물종 데이터 활용)와 연계하여 검토 및 검증해보고, PHAMSIM을 이용한 서식처 적합도 분석 시 고려해야할 변수 및 검증 방법 제언에 중점을 둔다.

  • PDF

Analysis of fish habitats suitability by vegetation density and flow changes (식생밀도와 흐름 변화에 따른 어류 서식처 적합도 분석)

  • Choi, Mikyoung;Kang, Tae Un;Jang, Chang-Lae;Kim, Zoo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93-493
    • /
    • 2022
  • 본 연구는 식생밀도와 흐름에 따른 수치모형(Nays2D) 하상변동 모의 결과를 서식처 적합도 분석 모델(PHABSIM:Phsical Habtiat Suitability Model)의 입력자료로 활용하여, 식생밀도에 따른 하상 지형 변화가 어류 서식처 적합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다. 금강 부용리 인근 2km를 대상으로 2차원 모형인 Nays2D를 적용하여 흐름(댐 방류량, 2년 빈도 유량, 100년 빈도 유량 등)과 식생밀도(식생미반영, 현재 밀도, 밀도 감소, 밀도 증가 등)에 따른 하상변동 모의를 실시하였고, 모의 결과값(단면 표고, 유속, 수위)을 물리적 서식처 평가 모델인 PHABSIM의 입력자료로 활용하였다. 피라미 서식을 위한 적정 유속과 수심의 서식처 적합도 지수를 이용하여 각 시나리오 별가중가용면적(WUA: Weighted Usable Area)을 산정하여 비교 분석하여, 식생밀도에 따른 단면 구조의 변화가 WUA 면적과 피라미 서식처 적합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하였다. 그 결과, 수목 밀도를 미반영한 하상변동 모의 결과를 PHABSIM의 입력 자료로 활용하였을 때 가중가용면적이 가장 높았고, 식생 밀도를 증가시킨 하상변동 모의 결과를 입력 자료로 활용하였을 때 WUA값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피라미의 서식처 적합도 측면에서 식생이 적어 특정 유량에 따른 하상변동의 폭이 커지면서 저수로 최저하상과 고수부 하상과의 표고차가 상대적으로 낮은 하상 단면이 피라미의 서식처 측면에서 유리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 PDF

Dispersion Analysis of Surface Discharged Heat Water In Shallow Coastal Area (천해역에서의 표층온배수 확산해석)

  • 서승원;김덕호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7 no.4
    • /
    • pp.340-345
    • /
    • 1995
  • Dispersion characteristics of surface discharge heat water in shallow region are investigated for coastal power plant with nearly constant depth of 20 meters by observing the seasonal depthwide temperature in several stations, which give or precise horizontal distribution and vertical structure of heat water. Surface discharged heat water in shallow coast in the Yellow Sea relies mainly on ambient tidal flow. so it behaves as free jet when the ambient now is strong and shows plumelike behavior during stagnant tide. According to observation the neat field region is estimated as 200-300 meters and shows distinct vertical profile and exponentially decreasing pattern from discharge point for this region. But there are no remarkable vertical distortion of temperature beyond 800 meters even though it is discharged from surface. Characteristic length scale model, CORMIX3, is applied and compared with the field date Overall tendency of CORMIX3 results resemble well with field data especially in near field and intermediate region.

  • PDF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Spirulina platensis in Cylindrical Photobioreactor (관형 광생물 반응기에서의 Spirulina platensis 성장 특성 연구)

  • 김용상;박호일;김동건;박대원
    • KSBB Journal
    • /
    • v.18 no.4
    • /
    • pp.277-281
    • /
    • 2003
  • The study of growth characteristics for Spirulina platensis were carried out in 400 mL cylindrical photobioreactor and the effects of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flow rate during the growth of Spirulina platensi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relatively low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high flow rate forced the growth of Spirulina platensis in experiment conditions. The pH analysis showed that different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might form particular aqueous carbonate system in culture medium and affect the growth of Spirulina platensis.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limiting light radiation by cell density was investigated by the analysis of specific growth rate. The result intimated that the cause of decrease of specific growth rate at exponential phase was due to the limitation of light radiation by Spirulina platensis cell density in cylindrical photobioreactor.

Analysis of CFD for Flow Discharge in Hard Micro-path of Drip Hose (점적 호스의 경질 미로 유량 변화에 대한 CFD 해석)

  • Kim, J.H.;Woo, M.H.;Kim, S.S.;Kim, D.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58-58
    • /
    • 2017
  • 점적 호스의 원통형 미로 구조물내의 유동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금속판에 동일한 구조의 미로가 가공된 시험부를 활용하여 압력과 유량의 변화에 대한 실험을 CFD 해석하였다. 해석은 미로의 길이에 따른 유량 특성을 정밀하게 분석하기 위해 전체 미로에 구간별 총 8개의 배출구를 배치하고 밸브 조절을 통해 구간별 압력에 따른 유량을 측정함으로서 실험에 의한 압력과 유량의 관계를 검증하고 새로운 경질 미로를 설계하는데 응용하고자 한다. 경질 미로의 이론적인 해석에서 정밀도가 실험을 대신할 가능성이 있는지에 관심을 두었다. 점적관수의 경질 미로는 디자인을 달리함으로써 성능이 높고 미세한 스케일이 침착되지 않는 고성능의 점적관수 장치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미로 입구의 공급 유체 압력(Gauge pressure)을 0.5, 1.5, 2.5, 3.0 bar로 나누어 공급하였으며, 8개의 구간별 유출되는 유량은 전자저울에서 측정하였다. 향후 최적 미로의 새로운 설계를 위해 미로구조 전체를 CFD 해석하였고 그 결과를 실험치와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경질 미로내 각 구간별 세부적인 유동구조를 분석하였고 해석결과와 실험결과를 통해 향후 새로운 경질 구조의 개발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경질 미로의 입구압력에 따른 미로의 길이 #1과 #2에 대한 CFD 분석에서는 전체적으로 경질 미로에 압력이 증가할수록 미로의 유체 속도가 증가됨을 알 수 있었으며 이것은 #2에서도 거의 같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미로 통로에서는 와류로 인한 이물질의 멈춤 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만큼 흐름이 원활함을 알 수 있었다. 미로의 길이 #3과 #4에 대한 CFD 분석과 미로의 길이 #5와 #6에 대한 CFD 분석에서는 압력이 증가하고 미로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속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로와 미로 사이의 넒은 통로에서는 유속이 크게 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 부분에는 유체속의 이물질이 침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며 통로가 좁은 곳에서는 유속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7과 #8은 미로의 상하단으로 유출되는 부분의 차이이므로 실질적으로 해석의 결과는 차이가 없었다. 경질 미로에 대한 압력에 따른 미로의 길이별 유출량은 지수적인 반비례 현상을 나타내어 앞서 실험한 연구의 결과와 1~2% 오차 범위에서 잘 일치하였다. 따라서 점적 호스의 경질 미로에 대한 설계는 이론적인 해석을 통하여 새로운 디자인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경질 미로의 미로의 길이에 따른 CFD 분석의 결과는 실험적인 유출량의 값과 거의 일치하였다. 미로와 미로 사이의 넒은 통로에서는 유속이 크게 떨어져 이물질들이 침착될 가능성이 있었으며 실질적으로 넓게 설계하는 것이 유리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경질 미로에 대한 압력에 따른 미로의 길이별 유출량은 지수적으로 반비례 하였으며 점적 호스의 경질 미로에 대한 새로운 설계는 이론적인 해석을 통하여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ffusion Wave-based Distributed Runoff Model (확산파에 기초한 분포형 유출모형의 개발 및 적용)

  • Lee, Min-Ho;Yoo, Dong-Ho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4 no.7
    • /
    • pp.553-563
    • /
    • 2011
  • According to the improvement of computer's performance, the development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and the activation of offering information, a distributed model for analyzing runoff has been studied a lot in recently years. The distribution model is a theoretical and physical model computing runoff as making target basin subdivided parted. In the distributed model developed by this study, the volume of runoff at the surface flow is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parameter determined by landcover data and a two-dimensional diffusion wave equation. Most of existing runoff models compute velocity and discharge of flow by applying Manning-Strickler's mean velocity equation and Manning's roughness coefficient. Manning's roughness coefficient is not matched with dimension and ambiguous at computation; Nevertheless, it is widely used in because of its convenience for use. In order to improve those problems, this study developed the runoff model by applying not only Manning-Strickler's equation but also Chezy's mean velocity equation. Furthermore, this study introduced a power law of exponential friction factor expressed by the function of roughness height. The distributed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is applied to 6 events of fan-shape basin, oblong shape test basin and Anseongcheon basin as real field conditions. As a result the model is found to be excellent in comparison with the exiting runoff models using for practical engineering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