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uitability Selection for Marine Afforestation with Physical Environments

바다숲 조성해역의 물리적 환경을 고려한 최적 적지선정

  • 오태건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
  • 김대권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
  • 김창길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 이문옥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 조재권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 Published : 2010.01.31

Abstract

A suitability analysis for marine afforestation was carried out on physical items based on slop rate, bottom sediment, light intensity, velocity, and wave at north Geomoon waters in Korea. The data from each physical item were changed to a GSDM (Gridded Spatial Distribution Map) using Kriging interpolation. A GSDM grid includes information, and each grid was given a SI (suitability index) of 3 grades(SI of first suitability was 100, SI of second suitability was 50, and non-suitability had no SI).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all overlaid GSDM, first suitability had 500 SI, and suitability area was 0.25ha. Second and third suitability had 400~450 SI, and suitability area was 2.36ha, 1.80ha, respectively. Therefore, the results suggest that reefs installed for marine afforestation should be anti-slip types against steep slope, and the target species need to include algae with low compensation light intensity in second and third suitability.

바다숲을 조성하기 위하여 경사도, 퇴적물, 보상심도, 유속 및 파랑 등의 해양물리항목에 대하여 최적적지를 도출하였다. 지형자료 및 물리항목에 대한 공간분포도(GSDM, Gridded Spatial Distribution Map)를 작성하기 위하여 Kriging 보간법을 이용, 래스팅화하였다. 각 항목들은 적지에 부합되는 정도에 따라 적지지수를 부여하였으며, 최적지는 100, 적지후보지는 50, 나머지는 부적지로 처리하여 적지지수(SI, Suitability Index)를 근거로 최적적지를 도출하였다. 각 항목들에 대하여 중첩 분석한 결과 제 1적지는 적지지수 500으로써, 적지면적은 0.25ha였으며, 제 2 및 제 3적지는 400~450의 적지지수를 지닌 곳으로 적지면적은 각각 2.36ha, 1.8ha로 나타났다. 적지분석결과, 제 2 및 3적지에는 보상광량이 낮아도 광합성을 할 수 있는 해조품종과 더불어 사면마찰 안정성이 좋은 시설물을 투여한다면 최적지와 동일한 조성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川俣 茂, "キタムラサキウニの優占する磯焼け 地帯に適用可能な搖動式海藻着生裝置の開發", 水産工学, vol. 44, no. 2, pp. 127-138, 2007.
  2.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연안해역 갯녹음 발생해역 조사보고서", pp. 3-4, 2009.
  3. 寺脇利信, 新井章吾, 川崎保夫 "藻場の分布の制限要因を考慮した造成方法", 水産工学, vol. 32, no. 2, pp. 145-154, 1995.
  4. T. Terawaki, H. Hasegawa, S. Arai and M. Ohno, "Management-free techniques for restoration of Eisenia and Ecklonia bed along the central Pacific coast of Japan," Appl. Phycol., 13, pp. 13-17, 2001. https://doi.org/10.1023/A:1008135515037
  5. 김대권 외 5인, "남해중부해역에 시설된 인공어초의 보존상태", 2009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pp. 485-486, 2009.
  6. 김태진 외 4인, "남해서부해역에 시설된 인공 어초의 지역별 보존상태", 2009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공동학술대회 논문집, pp. 497-498, 2009.
  7. 中嶋泰, "藻場造成の適地選定手法について", 水産工学, vol. 42 no. 2, pp. 159-163, 2005.
  8. 浜野明, 内田和良, "人工知能技術を用いた綜合漁礁効果判定技術の開発", 沿岸漁場整備開發 調査報告書, pp. 146-162, 1999.
  9. 조명희, 김병석, 서영상, "위성원격탐사자료와 GIS를 이용한 인공어초 시설지 적지선정 공간 분포도 작성 연구, 한국원격탐사학회, vol.17, no. 1, pp. 99-109, 2001. 
  10. 국립해양조사원, 조류도(제주도 동부해역), pp. 1-14, 2003.
  11. 신정엽, 이상일, GIS의 개념과 원리, 다락방, pp. 290-295, 2008.
  12. 김윤영, "인삼정보시스템 구축 및 이를 활용한 재배적지 분석(금산지역)", 고려인삼학회지, vol. 26, no. 1, pp. 24-30, 2002. https://doi.org/10.5142/JGR.2002.26.1.024
  13. Moore, I. D., A. Lewis, and J. C. Gallant, "Terrain Attributes: Estimation methods and scale effects," Modeling change in environmental systems, 1993.
  14. Poole, H. H, and W. R. G. Atkins, "Photo-electric measurement of submarine illumination throughout year," J. Mar. Biol. Ass. U. K. 16, pp. 297-324, 1929. https://doi.org/10.1017/S0025315400029829
  15. Casagrand, A., "Class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soils," Transactions, ASCE, vol. 113, pp. 901-930, 1948.
  16. Airy, G. B., "Tides and waves," Encyclopedia Metropolitana, Art. 192, 1845.
  17. Bretschneider, C. L. and R. o. Reid, "Modification of wave height due to bottom friction, percolation, and refraction," U. S. Army Corps of Engrs., Beach Erosion Board, Tech. Memo., No. 45, 1954.
  18. Yamada, H., G., Kimura, and J. Okabe, "Precise determination of the solitary wave of extreme height on water of a uniform depth," Rept. Res. Inst., Applied Mech., Kyushu Univ., vol. XVI, no. 52, pp. 15-32, 1968.
  19. 농림수산식품부, "인공어초시설사업집행 및 관리규정," pp. 107-121, 2008.
  20. 한국해양연구원, "전남다도해형 바다목장 기반 조성사업 연구용역보고서(1단계 2차년도)," pp. 257-287, 2005.
  21. 한국해양연구원, "전해역 심해설계파 추정보고서II," pp. 137-142, 2005.

Cited by

  1. 서식지 평가 방법을 이용한 바다숲 조성 해역의 적지 선정 vol.34, pp.6, 2010, https://doi.org/10.5916/jkosme.2010.34.6.8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