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사이동 모형

Search Result 23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soft and hard tissue changes after mandibular setback surgery in skeletal Class III patients (골격성 3급 부정교합 환자의 하악골 후퇴술 시행후 안모변화에 대한 3차원적 연구)

  • Park, Jae-Woo;Kim, Nam-Kug;Kim, Myung-Jin;Chang, Young-Il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35 no.4 s.111
    • /
    • pp.320-329
    • /
    • 2005
  • The three-dimensional (3D) changes of bone, soft tissue and the ratio of soft tissue to bony movement was investigated in 8 skeletal Class III patients treated by mandibular setback surgery. CT scans of each patient at pre- and post-operative states were taken. Each scan was segmented by a threshold value and registered to a universal three-dimensional coordinate system, consisting of an FH plane, a mid-sagittal plane, and a coronal plane defined by PNS. In the study, the grid parallel to the coronal plane was proposed for the comparison of the changes. The bone or soft tissue was intersected by the projected line from each point on the gird. The coordinate values of intersected point were measured and compared between the pre- and post-operative models. The facial surface changes after setback surgery occurred not only in the mandible, but also in the mouth corner region. The soft tissue changes of the mandibular area were measured relatively by the proportional ratios to the bone changes. The ratios at the mid-sagittal plane were $77\~102\%(p<0.05)$. The ratios at all other sagittal planes had similar patterns to the mid-sagittal plane, but with decreased values. And, the changes in the maxillary region were calculated as a ratio, relative to the movement of a point representing a mandibular movement. When B point was used as a representative point, the ratios were $14\~29\%$, and when Pog was used, the ratios were $17\~37\%(9<0.05)$. In case of the 83rd point of the grid, the ratios were $11\~22\%(p<0.05)$.

Estimation of Frequency of Storm Surge Heights on the West and South Coasts of Korea Using Synthesized Typhoons (확률론적 합성태풍을 이용한 서남해안 빈도 해일고 산정)

  • Kim, HyeonJeong;Suh, SeungW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31 no.5
    • /
    • pp.241-252
    • /
    • 2019
  • To choose appropriate countermeasures against potential coastal disaster damages caused by a storm surge, it is necessary to estimate the frequency of storm surge heights estimation. As the coastal populations size in the past was small, the tropical cyclone risk model (TCRM) was used to generate 176,689 synthetic typhoons. In simulation, historical paths and central pressures were incorporated as a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Moreover, to consider the typhoon characteristics that resurfaced or decayed after landfall on the southeast coast of China, incorporated the shift angle of the historical typhoon as a function of th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and applied it as a damping parameter. Thus, the passing rate of typhoons moving from the southeast coast of China to the south coast has improv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hoon were analyzed from the historical typhoon information using correlations between the central pressure, maximum wind speed ($V_{max}$) and the maximum wind speed radius ($R_{max}$); it was then applied to synthetic typhoons. The storm surges were calculated using the ADCIRC model, considering both tidal and synthetic typhoons using automated Perl script. The storm surges caused by the probabilistic synthetic typhoons appear similar to the recorded storm surges, therefore this proposed scheme can be applied to the storm surge simul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extreme values were calculated using the Generalized Extreme Value (GEV) method, and as a result, the 100-year return period storm surge was found to be satisfactory compared with the calculated empirical simulation value. The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estimate the frequency of storm surges in coastal areas.

Characteristics of Runout Distance of Debris Flows in Korea (한국 토석류의 이동거리 특성)

  • Choi, Dooyoung;Paik, Joongcheol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2 no.3B
    • /
    • pp.193-201
    • /
    • 2012
  • In the last decade, heavy rainfall induced debris flow events have been remarkably occurred in Korea. Consequently, debris flow is becoming one of the most dangerous natural phenomena in mountainous area. Understanding and correct predicting of the runout distance of debris flow is an essential prerequisite for developing debris flow hazard map and prevention technology. Based on the simple and widely used sled model, in this study, we analyse the net efficiency of debris flows which is a dimensionless constant (=1/R) and defined by the ratio of the horizontal runout distance L from the debris flow source to deposit and the vertical elevation H of the source above the deposit. The analysis of field data observed in total 238 debris flow events occurred from 2002 to 2011 reveals that the representative value of the net efficiency of debris flows in Korea is 4.3. The data observed in Gangwon province where is the most debris flow-prone area in Korea shows that debris flows in Inje area have the runout distance longer than those in Pyongchang and Gangneung. Overall features of the net efficiency of debris flows observed in the central Korea are similar to those in the southern Korea. The estimation based on aerial photographs and available depositional conditions appears to overestimate the net efficiency compared to estimation based on the field observations, which indicates that appropriate depositional conditions need to be developed for debris flows in Korea.

Factors Affecting Dur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Exporters and Importers (수출입 업자간의 거래 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특성에 대한 연구)

  • Lee, Hyoung-Tark;Lee, Dong-Jin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15 no.2
    • /
    • pp.161-182
    • /
    • 2005
  • This paper reports on a study testing a model that articulates factors affecting du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rters and importers. The model posits that affective commitment and calculative commitment influence duration of the relationship. Affective commitment of an importer toward an exporter is hypothesized to be predicted by social satisfaction, which in turn may be predicted by cultural familiarity, perceived similarity, and credibility. In contrast, calculative commitment is hypothesized to be predicted by economic satisfaction, which in turn may be predicted by opportunism and relationship performance. A survey of importers was conducted to test the model. The study results provided support for most of the hypotheses.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e study results are discussed too.

  • PDF

Real-time blending method development of radar-based QPF and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models for hydrological application (수문학적 활용을 위한 레이더와 수치예보모델 예측강우의 실시간 병합 기법 개발)

  • Yoon, Seong-Sim;Lee, Dong-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99-99
    • /
    • 2018
  • 기상이변으로 인해 국지성 호우의 발생 증가와 그로 인한 수재해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수재해를 사전에 예측하고 저감하기 위해 비구조물적 대책인 실시간 홍수예보시스템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홍수예보시스템은 대피선행시간 확보를 위해서 초단시간 혹은 단기 수치예보모델을 수문해석모형이나 예보기법의 입력으로 활용하고 있다. 초단시간 예측은 기상레이더를 기반으로 외삽, 이류, 셀 추적 등의 기법을 활용하여 0~3시간 이내의 강수예측을 수행한다. 그러나 역학이나 물리적 과정이 동반되지 못하여 0~ 2시간 이내에서의 예측성은 높은 반면, 예측시간이 길어질수록 예측력이 낮아진다. 단기수치예보모델은 종관관측에 의존하면서 역학이나 물리과정을 동반하므로 0~6시간 혹은 12시간 이상의 예측을 수행하지만, 수치모델의 고유특성인 스핀업 등의 예측 불확실성이 내재되어 있어 예측 초기시간에서의 예측력이 낮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강수예측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레이더와 수치예보모델의 병합기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분석을 통해 경험적으로 산출된 시간적 가중치를 이용한 기존 병합기법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호우에 따른 가변성을 반영하는 실시간 병합기법을 개발하고, 수문학적인 활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사용된 예측강우 자료는 레이더 기반인 MAPLE, KONOS, 공간규모분할 예측강우와 수치예보모델 기반인 UM와 ASAPS의 예측강우이며, 제시한 가중치 산정기법은 직전 예측강우의 오차가 현 시점의 예측강우의 오차와 유사하다는 가정하에 오차항을 포함한 과거 1시간 예측강우들간의 가중치 조합이 과거 지상관측강우와의 평균제곱근오차가 최소가 되도록 화음 탐색법을 이용하여 찾는 것이다. 가중치 조합은 예측강우의 생산 시간 간격을 고려하여 매 10분마다 산정하며, 미래 3시간 예측까지 산정된 가중치를 적용한다. 수도권 영역을 대상으로 병합된 예측강우와 레이더 관측강우를 비교한 결과, 정량적 정확도가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예측강우의 수문학적 활용성은 도시유출해석모의를 통해 평가하였다. 그 결과, 병합된 예측강우로 모의된 수심이 관측수심과 유사하여 수문학적 활용성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Numerical Simulation of Unsteady Flow in Vegetated Channel : Based on Downstream of Hapcheon Dam (식생하도에서 부정류 수치모의:합천댐 직하류를 중심으로)

  • Ahn, Min Jin;Kang, Tae Un;Jang, Chang-Lae;Park, Kyoung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43-243
    • /
    • 2022
  • 댐은 일반적으로 하천관리에 있어서 인간에게 용수를 공급하고 홍수를 조절하는 등의 발전을 목적으로 건설되어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하류하천은 댐 건설에 의해 흐름에 대한 연속성이 차단되어 첨두 홍수량과 유사량이 현저하게 감소한다. 첨두 홍수량의 감소로 퇴적된 유사는 이동하지 못해 고착화가 진행되고 식생이 침입하여 번성하게 된다. 하천에 식생이 발달하게 되면, 안정성이 증가하고 생태계 서식처를 형성하며 하천경관을 개선시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조도의 증가와 통수능의 감소로 인한 유속감소와 수위상승을 발생시켜 홍수범람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식생대의 밀도에 따른 흐름을 분석하여 바람직한 하천관리방안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2차원 흐름모형을 활용하여 황강 합천조정지댐 직하류 구간의 수목군을 고려한 부정류 계산을 통해 하도의 수위 및 유속을 예측모의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모의결과를 분석하였다. 상류단 경계조건은 과거 집중호우로 인하여 대홍수가 발생하였던 2020년 합천조정지댐 방류량 중 첨두발생 기간의 유량을 입력하였으며, 하도의 식생밀도를 산정하고 입력하기 위해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치모의 시 식생밀도는 총 4가지 Case(식생현황, 전체벌채, 식생개선, 식생존치)로 나누어 모의를 수행하였다. 모의결과, 직하류 만곡부 유입구간에서 외측으로 흐름이 집중되어 수심과 유속이 증가하였으며, 만곡부 외측의 식생대로 인해 식생대에서는 유속이 감소하고 수심이 증가하며, 식생대 주변 하류의 내측으로 흐름이 집중되어 수심과 유속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합천조정지댐의 실운영방류량과 황강의 실제식생밀도를 반영하여 수치모의를 하였기 때문에 흐름과 식생관리에 따른 실무적 대책방안 마련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활용한 분석방법과 결과들은 합리적인 하천관리방안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 Analysis of Optical Performance of the Finite Schematic Eye According to Iris Eccentricity and Visual Axis change (시축 변화와 홍채 편심에 따른 정밀모형안의 광학적 성능 분석)

  • Kim, Bong-Hwan;Han, Sun-Hee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15 no.2
    • /
    • pp.151-154
    • /
    • 2010
  • Purpose: We investigated how the movement of iris and visual axis affects the finite schematic eye Methods: Using the schematic eye with the crystalline lens in the existing forms of the radial GRIN and the spherical GRIN, the iris centre was moved 0.5 mm in nasal direction and visual axis was tilted $5^{\circ}$ in same direction, with the additional degree of 2.5 down to locate the focal point in fovea. This study analyzed performance change of the optical system, designing it same as the real eye. Results: The whole aberration distribution showed a considerable difference in performance in comparison with the real eye; the biggest difference shown at the central field of optical system. The spherical aberration showed the biggest difference, and a peripheral power error and field curvature leaned toward (+) direction in aberration distribution. Conclusions: When designing the schematic eye with the performance similar with that of the real eye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iris centre and visual axis, the aberration at the center field of optical system in particular should be corrected. Spherical aberration which showed the biggest difference should be corrected in the first place. In addition, a peripheral power error and field curvature that leaned toward (+) direction should be moved toward (-) direction.

Run-out Modeling of Debris Flows in Mt. Umyeon using FLO-2D (FLO-2D 모형을 이용한 우면산 토석류 유동 수치모의)

  • Kim, Seungeun;Paik, Joongcheol;Kim, Kyung Su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3 no.3
    • /
    • pp.965-974
    • /
    • 2013
  • Multiple debris flows occurred on July 27, 2012 in Mt. Umyeon, which resulted in 16 casualties and severe property demage. Accurate reproducing of the propagation and deposition of debris flow is essential for mitigating these disasters. Through applying FLO-2D model to these debris flows and comparing the results with field observations, we seek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model and to analyse the rheological model parameters. Representative yield stress and dynamic viscosity back-calculated for the debris flows in the northern side of Mt. Umyeon are 1022 Pa and 652 $Pa{\cdot}s$, respectively. Numerical results obtained using these parameters reveal that deposition areas of debris flows in Raemian and Shindong-A regions are well reproduced in 63-85% agreement with the field observations. However, the propagation velocities of the flows are significantly underestimated, which is attributable to the inherent limitations of the model that can't take the entrainment of bed material and surface water into account. The debris flow deposition computed in Hyeongchon region where the entrainment is not significant appears to be in very good agreement with the field observation. The sensitivity study of the numerical results on model parameters shows that both sediment volume concentration and roughness coefficient significantly affect the flow thickness and velocity, which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careful selection of these model parameters in FLO-2D modeling.

Experimental study about bed change around groynes (수제 주변 하상변동 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 Kang, Yong-Gu;Son, Gyo-Chang;Son, Kwang-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510-510
    • /
    • 2012
  • 최근 4대강 살리기 등 하천 개발 사업으로 인한 하천환경의 변화로 하도 내 유사의 세굴 및 퇴적 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수립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외의 경우 이미 수제와 같은 수공구조물의 설계 가이드와 유로 확보 및 하도 안정화를 위한 목적의 수제가 실제 하천에 적용된 사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경험적 공식 등을 통해 이미 실용화 단계에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소수의 수제 설치 등 제한적인 연구만이 진행되고 있을 뿐 하도 안정화를 위한 적절한 기술 개발이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하도안정화를 위한 구조적 대책의 일환으로 이동상 수리모형 실험을 통해 단일 및 연속수제를 이용함에 있어 수제 설치에 따른 하상변화의 특성을 지배하는 매개변수(수심, 후루이드 수, 유속 등)를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후루이드 수와 수심 뿐만 아니라 평균 유속 와 한계유속 $V_r$을 무차원화한 $V/V_{cr}$ 값이 하상 변동 양상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수제주변의 정량적 세굴 및 퇴적 깊이와 범위는 물론 수제가 수제부 하류에 미치는 하상 변화의 영향 범위를 지배하는 인자들의 상관관계를 유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한 수제 설치 시 하상변동 특성을 지배하는 주요인자들과 이들의 상관관계는 하상의 안정성 확보 및 수제 설계 가이드라인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Analysis of Flood inundations in Urban Areas according to Topographic Conditions (지형조건에 따른 도심지 내수침수 분석에 관한 연구)

  • Yeong Hun Son;Kye Won Jun;Min Ho Kim;Chang Deok J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30-330
    • /
    • 2023
  • 이상기후로 인해 전국적으로 국지성 집중호우의 발생빈도와 규모가 증가하고 있다. 건물 및 도로의 증가와 토지이용변화와 같이 도시화가 이루어진 지역에 배수체계의 용량을 초과하는 강우의 발생으로 도심지 내수침수의 피해가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물과 도로가 많은 도심지에서의 내수침수 분석을 위하여 2017년 7월과 2020년 8월에 침수 피해가 발생한 봉명지구를 연구대상 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건물과 도로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이를 반영한 지형자료를 구축하였다. 내수침수를 분석하기 위해 XP-SWMM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피해 발생 당시의 침수심과 침수범위가 나타난 침수범람도를 바탕으로 각 지형조건에 따른 내수침수 분석 결과를 비교·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각 지형조건 중 건물과 도로를 반영한 지형에서의 침수심과 침수범위가 실제 피해와 가장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건물이 밀집되어 있는 좁은 골목에서의 수위와 흐름속도는 다른 지형조건에서 보다 높고 빠르게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월류수는 도로를 따라 하류로 이동하여 하류부 침수심이 가중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