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백피

Search Result 30,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추출온도 및 시간에 따른 유백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음료의 관능적 특성 (Effect of extract temperature and duration on antioxidant activ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Ulmus pumila bark extract)

  • 조명래;오유나;마진경;이수진;최영희;손동화;장은희;김종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995-1003
    • /
    • 2016
  • 본 연구는 유백피를 기능성 음료로 사용하고자 유백피를 다양한 온도(4, RT, $80^{\circ}C$)및 시간(1, 5분)으로 수용성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추출된 유백피 수용성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total phenolic 및 tannin 함량을 분석하고, 유백피 음료의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백피 수용성 추출물의 pH는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에 따라 크게 변하지 않았으나, 황색도를 나타내는 b 값의 경우 $80^{\circ}C$ 5분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다양한 유백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으나, $H_2O_2$ 라디칼 소거능 및 환원력은 $4^{\circ}C$ 1분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들 유백피 추출물에 함유된 total phenolic의 함량은 유백피 $80^{\circ}C$ 수용성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으며, total tannin content는 $4^{\circ}C$ 1분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각 온도에서 5분간 추출한 유백피 음료를 관능평가한 결과 $80^{\circ}C$ 열수 추출물의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유백피 추출물은 phenolic 및 tannin compound 등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높은 항산화 능력을 나타내기 때문에 기능성 음료로의 개발 가능성이 충분할 것으로 생각된다.

유백피를 첨가한 된장의 품질 특성 연구 (Characterization of Soybean Paste Doenjang with added Ulmi cortex)

  • 손대열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18-523
    • /
    • 2008
  • 된장의 고유한 향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기능성이 향상된 유백피 된장 개발을 위해 유백피 된장의 물리화학적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유백피 된장은 일반 된장에 비해 pH와 염도가 낮으며, 관능검사에서는 단맛이 강하고 짠맛은 약하나 구수한 맛을 나타냄으로써 일반 된장에 비해 전체적으로 높은 기호 도를 확인하였다. 항산화 작용의 지표인 DPPH 소거 활성측정 결과 $IC_{50}$값이 일반된장($155.67{\mu}g/mL$)에 비해 훨씬 높은 항산화 활성($29.16{\mu}g/mL$)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기능성과 기호도 고려할 때 유백피가 1% 첨가된 된장이 가장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유백피(楡白皮) 물 추출물이 흰쥐의 위궤양(胃潰瘍)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Water Extract of Ulmi pumilae Cortex on Gastric Ulcer in Rats)

  • 임종필;최훈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77-180
    • /
    • 2002
  • 유백피 물 추출물의 위궤양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여러 비율의 농도로 rat에 대한 투여량을 조절하면서 Shay, aspirin 및 Indomethacin으로 유도된 위궤양에 대하여 실험하였던 바 유백피의 물 추출물을 각기 500 및 1000mg/kg을 투여하였을 때 항궤양 효과가 유의성 있게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Shay궤양이나 aspirin유발 궤양보다도 indomethacin유발 궤양의 경우에 더욱 항궤양 효과가 좋았다.

유근피와 유백피 추출액의 유지에 대한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s of Ulmus davidiana Extracts on Various Oil)

  • 임용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07-116
    • /
    • 2010
  • Fish oil에 대한 유근피 및 유백피 추출물의 과산화물가를 측정한 결과 유근피는 모든 용매의 추출물에 대해 항산화 작용이 높게 나타났다. 0.1% 추출물 첨가구 모두 저장 6시간에는 30 meq/Kg을 보인 후 최종 18시간까지 40 meq/Kg이하의 과산화물가를 보여 저장 시간이 증가해도 산화 억제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0.05%의 경우 부탄올과 메탄올 추출물은 상업용 항산화제와 비교할 때 유사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유백피는 0.1% 첨가군에서 물, 부탄올 추출물이 가장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였다. 금속이온 첨가에 따른 각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유근피의 경우, 메탄올과 부탄올 추출물 0.1% 첨가군이 산화 억제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유백피는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저장 시간 동안의 과산화물가의 변화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Perilla oil에서는 천연 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의 항산화능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으나, BHT는 항산화 효과가 나타났다. 유근피 0.2% 첨가군에서 메탄올, 부탄올 추출물군은 거의 산화가 진행되지 않아 가장 항산화력이 우수하였다. 유백피 역시 0.2% 메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났다. 금속이온 첨가에 의해서는 모든 추출물 중 유백피 0.2% 메탄올 추출물이 가장 우수하였다. Lard에서는 각 용매 추출물 농도별 (0.05, 0.1%) 첨가군에 따른 각 추출물간의 항산화 효과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으며. 금속이온 첨가에서도 0.05, 0.1% 첨가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다.

유백피 추출물의 항세균 작용 (Antibacterial Activity of Ulmus pumila L. Extract)

  • 이홍용;김치경;문택규;임치주;성태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5
    • /
    • 1992
  • 유백피 추출물의 항세균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각각 다른 농도의 추출물의 함유한 배지에서 MIC를 측정하고,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이 추출물은 실험에서 사용된 세균 중 S.aureus, S.epidermidis, S.faecalis, B.subtilis, M.luteus와 같은 그람 양성균 및 E.coli, S.typhi, P.vulgaris, P.aeruginosa와 같은 그람 음성균에서 높았고, K.pneumoniae에 대해서는 항균력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 추출물 중의 항세균 효과를 가진 물질은 $121^{\circ}C$에서 20분간 멸균한 후에도 항세균 효과에는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 PDF

유백피 추출액을 이용한 염색 면포의 항생제 내성균주 증식 억제효능 (Effect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Nakai Extract on Antibiotic Resistant Bacteria in Dyed Cotton)

  • 최나영;강선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87-293
    • /
    • 2015
  • This research verifies stainability, super bacteria antibacterial features and antibiotic resistance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Nakai (UD) extract in dye cotton cloth. UD was extracted with hot water, the test cloth dyed, and then processed by mordanting treatment using $FeSO_4$ $7H_2O$, $CuSO_4$ $5H_2O$ and $Al_2(SO_4)_3$. The surface color and color fastness of the three kinds (original cloth, the cloth without mordancy and mordant cloth) were measured and the influence of dying of cotton cloth and the mordant method on the genesistasis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antibiotic resistant bacteria. 1. The surface color of the cotton cloth for dyeing (without and with mordancy) displayed a reddish and yellowish color. Stainability was greatest when the mordant of $FeSO_4$ $7H_2O$ was used. 2. When a mordant was not used for dyeing, the color fastness to washing, perspiration and friction of the contaminated cloth was satisfactory at 4 to 5 grade in general. 3. As for the antibiotic effect to super bacteria, the growth of germ was meaningfully suppressed both on the cloth without and with mordancy compared to the comparison cloth; in addition, the dyeing method with the biggest antibacterial impact was found to be the mordancy with the mordant of $CuSO_4$ $5H_2O$ after dyeing.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that involved dyeing with UD extract showed that cotton cloth processed through mordancy with the mordant of $CuSO_4$ $5H_2O$ had the biggest antibiosis to super bacteria and that processed with the mordant of $FeSO_4$ $7H_2O$ had the greatest stainability.

유백피(Ulmi cortex)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Ulmi cortex Extract)

  • 이경행;전은경;유시영;오만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73-379
    • /
    • 2000
  • 유백피의 천연항산화제로서의 이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각종 용매로 유백피 추출물을 제조하여 lard emulsion에 첨가하여 6$0^{\circ}C$에서 저장하면서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고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추출물을 용매별로 분획하여 항산화 활성, 분획물의 첨가농도의 결정 및 기질특이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생체내에서도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흰쥐 간 micmsome 을 사용하여 유도된 지질 과산화 반응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유백피의 추출물은 물추출물에서 가장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물추출물의 용매분획별 항산화 활성은 ethyl acetate 분획에서 가장 높았으며 ethyl acetate 분획물 0.05%(w/w) 첨가는 합성 항산화제인 BHA(0.01%, w/w)와 비슷한 항산화 활성이었다. Ethyl acetate 분획물 0.05%(w/w)는 돈지, 대두유, 팜유 및 옥수수유에서도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간 microsome 분획을 이용한 지질 과산화 억제 효과는 비효소적 지질 과산화 검정계인 Fe$^{++}$ascorbate system과 효소적 지질 과산화 검정계인 Fe$^{++}$-ADP/NADPH system 모두에서 ethyl acetate 분획물 첨가가 caffeic acid보다 강한 억제율을 보였다.

  • PDF

유백피(Ulmi cortex)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Ulmi cortex Extracts)

  • 오만진;박주성;심창주;정재홍;이규희;성창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1022-1028
    • /
    • 1999
  • The solvent extracts of Ulmi cortex, which were extracted by using several solvents with different polarities, were prepared for utility as a natural preservatives.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cell growth inhibitions were investigated to each strain with the different concentrations of Ulmi cortex extracts. Methanol extract showed the highest antimicrobial activity. The methanol extract was represented the broad antimicrobial activities for the gram positive and negative strains.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 for each strains were appeared to around 0.3mg/ml at each of Bacillus cereus, Bacillus subtilis, and Staphylococcus aureus. The cell growth inhibitions were not shown on Lactobacillus bulgaricus, Lac tobacillus plantarum, and Bifidobacterium bifidum, but greatly on the Clostridium butyricum. The meth anol extracts were further reextracted sequentially with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and butanol for purifying crude methanol extracts. The extract, which was reextracted by butanol, showed the highest antimicrobial activity.

  • PDF

유백피(楡白皮)의 약효연구(藥效硏究) (A Study on Efficacy of Ulmi Cortex)

  • 홍남두;노영수;김남재;김진식
    • 생약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17-222
    • /
    • 1990
  • Ulmi Cortex has been used for edema, articular rhematism and acne, etc in oriental medicine. Here, experimentally the MeOH extract showed significant anti-inflammatory action, inhibitory effect of leukocyte emigration in rats and the growth inhibition of Sta. aureus, Strep. faecalis, Psu. aeruginosa and Bacillus sp. The ether layer showed analgesic effect stronger than that of MeOH extract and BuOH layer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stronger than that of the other lay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