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골골종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초

유골골종의 바늘구멍 조준기 골스캔 (Pinhole Bone Scintigraphic Appearances of Osteoid Osteoma)

  • 김지영;정수교;박영하;김성훈;신경섭;박용휘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60-163
    • /
    • 1992
  • 유골골종(osteoid osteoma)은 특징적으로 직경 약 1cm미만의 원형 또는 타원형의 유골질제부(nidus)가 병소의 중심부에 있고, 그 주위는 반응성골질로 둘러싸여 있다. 그러므로 반응성골질 병소에서 제부의 확인은 유골골종의 진단에 매우 중요하다. 더우기 유골골종의 치료는 반드시 제부를 제거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부의 위치를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유골골종의 제부는 단순 X-선 촬영상에서 잘 안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진단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골스캔도 유골골종의 진단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단순 신티그램에서 제부의 정확한 위치 파악은 어렵다. 이에 저자들은 바늘구멍조준기 골스캔을 시행하여 유골골종 제부에는 아주 진한 동위원소 집적이 보였고 주위의 반응성 골질 부위에는 제부보다 약한 동위원소 집적이 보여 특징적인 '이중 농도 집적' 소견을 얻었기에 바늘구멍조준기 골스캔이 유골골종의 진단에 매우 유용한 검사로 사료되어 보고하는 바이다.

  • PDF

2세 소아에서 주관절에 발생한 유골골종 - 증례 보고 - (Osteoid Osteoma of the Elbow in 2 years Old Child - A Case Report -)

  • 김기형;서형연;정성택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98-202
    • /
    • 2008
  • 유골 골종은 골격계의 모든부위에서 발생 가능하지만, 10~20세 남아에서 대퇴골 근위부와 경골의 간부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5세 미만의 소아환자에서 주관절에 발생하는 경우는 아주 드물다. 2세 소아에서 주관절에 발생한 유골 골종은 비정형적인 증상과 방사선 소견 그리고 환자와의 의사소통이 어렵기 때문에 진단이 지연 될 수 있다. 저자들은 2세 여아에서 주관절에 활액막염과 관절내 핵을 갖는 원위 상완골 골간단부에 발생한 유골골종 1예를 치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수근부에 발생한 유골 골종: 증례 보고 (Osteoid Osteoma in Wrist: A Case Report)

  • 이채칠;김상우;정승현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94-98
    • /
    • 2014
  • 유골 골종은 골격계의 모든 부위에서 발생 가능하지만 하지에서 절반 이상이 보고 되고 있고 수근부에서 발생이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임상적으로는 통증이 거의 유일한 증상이며 주로 밤에 악화 되고, asprin이나 다른 NSAIDs에 의해 빠르게 호전 되는 특징이 있다. 저자들은 전형적인 임상양상을 나타냈던 수근부의 유골골종, 증례 2예를 방사선 검사로 진단 후 수술적 치료로 좋은 결과를 얻어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유골골종의 경피적 고주파 열 치료 (Percutaneous Radiofrequency ablation for the Treatment of Osteoid osteoma)

  • 서재곤;정광훈;양일순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83-89
    • /
    • 2002
  • 목적: 유골골종의 진단 후 경피적 고주파 열 치료를 시행한 환자에서 수술 후 기능적 결과 및 방사선학적인 추시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1999년 7월부터 2001년 1월 사이에 임상소견 및 방사선 소견상 유골골종으로 진단 받고 저자들이 경피적 고주파 열 치료를 시행한 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추시 기간은 최소 8개월에서 최장 2년 1개월로 평균 15.5개월이었다. 술 전 방사선학적 검사로는 단순방사선촬영, 전산화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이 진단 및 병소의 정확한 위치파악을 위하여 이용되었으며 술 후에는 정기적인 단순방사선 사진 및 자기공명영상으로 추적관찰 하였다. 결과: 술 후 환자의 증상 소실은 7례의 환자에서 3일 이내에 완전 소실이 이루어 졌으며 평균 입원 기간은 1례의 화상이 발생한 환자를 제외하고는 평균 2.4일 이었고 퇴원의 기준은 환자의 동통이 완전 소실된 이후로 하였다. 술 후 야간통 및 주간통 점수는 각각 평균 1.8점과 1.3점으로 이었다. 직업 활동 및 여가 활동의 점수도 각각 평균 1점과 0.6점이었다. 결론: 유골골종에 대하여 경피적 고주파 열 치료로 비교적 만족할 만한 기능적 결과를 얻었다. 이 시술은 기존의 고식적 방법으로 인한 입원기간의 증가, 술 후 골절 방지를 위한 내고정술 및 뼈 이식의 필요, 그리고 장기간의 고정으로 인한 관절운동의 장애 등의 합병증 없이 유골골종의 제거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경화성 골수염양 다핵성 유골 골종 - 1예 보고- (Multicentric Osteoid Osteoma mimiking Sclerosing Osteomyelitis -A Case Report-)

  • 정양국;강용구;지원희;이안희;이승구;박원종;박일석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83-187
    • /
    • 2005
  • 유골 골종은 특징적인 방사선학적 소견과 임상양상으로 비교적 진단이 용이하나, 임상적 소견 및 방사선학적 검사상 아급성 경화성 골수염과 유사한 소견을 보여 진단이 지연되었던 경골근위부에 발생한 2개의 핵을 가진 유골 골종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 하고자 한다.

  • PDF

주상골의 유골 골종 - 1례 보고 - (Osteoid Osteoma in Scaphoid - A Case Report -)

  • 이광석;우경조;박종훈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240-243
    • /
    • 1995
  • 본 저자들은 희귀 증례로 사료되는 주상골에 발생한 유골 골종 1 례를 치험하였기에 보고하며, 유골 골종의 특징적인 임상적, 방사선학적 소견으로 인하여 진단은 어렵지 않았으며, 치료는 구역 절제술(en bloc excision)이 원칙이나, 주상골에 발생한 유골 골종의 경우는 광범위 소파술과 자가골 이식술을 통하여 재발없이 종양의 완전 치유가 가능하였던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유골 골종의 경피적 고주파 파괴술 - 1례 보고- (Treatment of Osteoid Osteoma with Radio-frequency - A case report -)

  • 서재곤;김지형;안중모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5-40
    • /
    • 2000
  • 유골 골종은 골의 양성 종양으로 대부분 30세 이하의 환자에 이환되며, 주로 하지의 장관골이 가장 흔히 이환된다. 주 증상으로 통증이 있으며, 밤에 심해지고, 아스피린에 특징적으로 반응하기도 한다. 수술적 제거술이 대부분의 일반적인 치료이며, 전산화 단층촬영하에 제거 술, 전산화 단층촬영하의 드릴을 이용한 파괴술 등을 통한 최소한의 침습적인 수술적 방법이나, 더욱 비침습적인 경피적 방법으로 레이저나 고주파를 발생하는 전극을 이용한 파괴술 등이 시도되고 있고, 수술적 제거술의 대체술로서 고려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경골 근위부의 유골 골종을 전산화 단층촬영 투시하에 고주파 치료술을 시행한 1례를 보고하며, 유골 골종의 새로운 치료법들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 PDF

대퇴골두 부위에 발생한 양성 골 종양에 대한 경피적 고주파치료 (증례보고) (Percutaneous Radiofrequency Therapy of Benign Bone Tumors in the Femoral Head)

  • 서재곤;김응수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84-92
    • /
    • 2003
  • 서론: 대퇴골 근위부에 발생하는 종양은 양성일지라도 수술적 병변의 제거시 관절내 도달이 필요하거나 대퇴골 경부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등 주위 고관절의 구조 및 기능을 위협할 수 있어 그 예후가 좋지 않을 수 있고 치료에 어려움이 있으나 고관절부의 동통을 유발하는 양성 골종양의 치료는 비관혈적 수술이 현재로는 거의 불가능하다. 최근 CT등을 이용한 경피적 절제술, 경피적 고주파 열치료등 비교적 덜 침습적인 치료법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대퇴골 근위부 종양중 비교적 흔한 유골골종(osteoid osteoma)에 국한된 연구가 대부분이다. 이에 저자는 대퇴골두내 발생한 내연골종 및 피질골내 연골종을 경피적 고주파 열치료를 통해 치료한 후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 -증례1 - 31세 여자환자로 1년 전부터 시작된 우측 둔부 및 서혜부 외측의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사무직 여성으로 과거력 및 가족력 상 특이 소견 없었으며 통증의 양상은 간헐적으로 야간에 심해지는 양상으로 통증 발현 시에는 체중 부하하기 힘든 정도였다. 통증에 대해 수개월간 대증적 치료를 시행하였으나 수일에서 수주 후 재발되는 양상이었으며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에 비교적 효과가 있었으나 내원 시에는 증상이 점차 심해지며 지속적인 양상으로 소염진통제가 계속적으로 필요하였다. 이학적 소견상 우측 고관절의 운동제한은 없었으나 Patrick 검사 양성이었으며 내회전시 불쾌감을 호소하였다. 단순 방사선 검사상 우측 대퇴 골두 부위에 주변으로 경화상을 보이는 방사선 투과성 병변이 관찰되었으며, MRI상 T1WI와 T2WI에서 낮은 신호강도를 보이면서 1.5${\times}$1cm 크기로 경계가 비교적 분명하였고 주변에 반응성 부종이 관찰되어. 유골골종의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아 고주파열치료를 시행하기로 하였으며 전신마취하에서 먼저 CT시행 하에 세침 생검을 실시한 후 Radionics$^{(R)}$ 고주파침을 삽입하여 병변 중앙에 위치시킨 후 $80^{\circ}C$ 평균모드으로 6분간 고주파 열 치료 시행하였으며 시행 중 다른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환자는 마취에서 의식이 돌아온 직후와 술 후 14시간 후에 통증 전혀 호소하지 않았으며 술후 1일째 체중 부하시 통증 없는 것 확인 후 퇴원 조치 하였으며 술 후 3주 뒤 MRI로 병변 부위 관찰하였으며, 이때 병변부위 소실된 것 확인할 수 있었다. 술 후 15개월째 환자는 일상 생활에 지장없었으며 통증 호소하지 않았다. 조직 검사결과는 피질골내 연골종으로 확인되었다. -증례 2- 56세 여자환자로 3개월 전부터 시작된 좌측 둔부 및 대퇴부 외측의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통증은 주로 밤에 악화되었으며 1달 전부터 통증 심해지고 지속되는 양상으로 타 병원에서 아스피린으로 통증 조절되었고 유골 골종 의심 하에 본원으로 전원되었다. 과거력이나 가족력상 특이사항 없었으며 이학적 검사상 고관절 운동 범위 제한은 없었으나 외전과 내회전시 좌측 서혜부에 통증을 호소하였다. 단순 방사선 소견상 좌측 대퇴골두 하방 내측으로 석회화를 동반하고 주변 경화상을 보이는 방사선 투과성 병변이 관찰되었으며 MRI상 T1WI와 T2WI에서 비교적 낮은 신호강도를 보이는 양상으로, 유골골종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아 고주파 열치료를 시행하기로 하였으며 전신 마취 후 CT시행 하에 먼저 세침 조직 검사를 실시한 후 Radionics$^{(R)}$ 고주파침 삽입 후에 평균 모드 $80^{\circ}C$로 6분간 열 치료 시행하였고 환자는 마취에서 회복 후 즉시 통증 감소 보였으며 시술 후 1일째 이학적 검사 및 체중 부하 시행하였을 때 통증이 없는 것을 확인한 후 퇴원 조치 할 수 있었으며 술 후 1달째 MRI검사를 통해 병변이 사라지고 성공적으로 시술을 시행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후 시술 3개월째로 통증호소없었고 이학적소견상 정상이었다. 조직검사결과는 내연골종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저자들은 수술적으로 치료가 비교적 어려운 대퇴 골두 부위에 발생한 피질골내 연골종과 내연골종에 대해 경피적 고주파열치료를 시행한 후 이를 보고하는 바이며 동통을 유발하는 유골 골종 이외의 다른 양성골 종양에 대해 치료 계획시 그 도달이 어렵거나 술 후 주위 구조물과 관절의 불안정성등의 합병증이 유발될 수 있는 경우 그 적응증의 확대를 신중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

  • PDF

유골성 골종

  • 최의환;김재덕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26권9호통권232호
    • /
    • pp.774-774
    • /
    • 1988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