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험물 취급시설

Search Result 20,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도장부스의 발화에 관한 연구

  • Guk, Jung-Gyun;O, Eun-Cheol;Heo, Seong-Gu;Park, Yeong-Geun
    • Congress of the korean instutite of fire investigation
    • /
    • 2010.12a
    • /
    • pp.147-171
    • /
    • 2010
  • 도장작업은 기계 기구, 금속, 자동차, 전기 전자, 선박, 가구제조업 등 각종 사업장에서 많이 취급되고 있는 작업으로서 취급물질이 대부분 합성수지 유기용매 등 인화성 또는 가연성 액체이거나 가연성 분체로서 용매 또는 분진으로 인한 폭발 화재의 위험성이 아주 높은 실정이다. 보통 4류 위험물의 유증기는 공기보다 무겁다 라는 생각으로 발생된 모든 유증기는 위험물 인근에 체류할 것이라는 생각을 하지만 상온에서 증발한 유증기 대부분은 인근의 대기와의 밀도차에 의해 주변으로 흩어지거나 연소하고 중량(重量)의 유증기만이 남아 화재조사에서 중요한 단서로 역할을 한다. 대부분분의 페인트 제품이 가열과 동시에 끊기 시작해서 비등점 측정이 어려웠고 발화점이 비슷한 다른 페인트에 비해 중량(重量)유증기 발생이 단시간 동안 낮은 온도에서 많이 발생한 것은 페인트의 안료가 유증기 발생을 방해해서 시너의 유증기 발생량과 동일한 양의 페인트 유증기 발생시간이 더 걸린 것 같다. 대부분의 유증기는 집진시설을 통해 A/C타워의 활성탄에 흡착되어 제거된다. 하지만 슬러지에 남아있는 희석제는 A/C타워를 정지하고 집진시설등의 배관에 있는 슬러지 청소 과정에서 주위 열원에 의해 많은 유증기를 발생하여 화재의 위험성이 존재함으로 작업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PDF

Offsite Risk Assessment on Chloric Acid Release (염산취급시설의 사고시 사업장외에 미치는 영향평가)

  • Park, Kyoshik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54 no.6
    • /
    • pp.781-785
    • /
    • 2016
  • Chloric acid is a toxic chemical and the risk of facility handling chloric acid was assessed from the list of accident scenario to provide countermeasure to keep the vicinity safe. Accident scenarios were listed by using MSDS and process safety information. The scenarios having effect to the off-site were selected and assessed further according to guideline provided by Korea government. Worst case and alternative scenarios including other interested scenarios were evaluated using ALOHA. Each evaluated scenario was assessed further considering countermeasur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acility handling chloric acid is safe enough and needed no further protections at the moment.

A Study on the Convergence Safety Management Improvement of Hazardous Material Facilities (위험물시설의 융합형 안전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Ku, Jae-Hyu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7
    • /
    • pp.47-53
    • /
    • 2018
  • The actual condition of safety management and problems for hazardous material facilities in national industrial complex are investigated and analyzed in fields of hazardous material facilities safety, fire fighting equipment safety, building safety, space safety. In most cases, the failure to comply with legal requirements and the maintenance of fire safety have been pointed out. As a result, the total number of problems identified was 466 and problems in the field of hazardous material facilities safety have been pointed out the most. Also, it was analyzed that the number of problems identified in the manufacturing facilities and general handling centers among the hazardous materials facilities was the highest. Therefore, it will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safety management capability of the national industrial complex in the future by suggesting the convergence direction of the safety diagnosis system and the systematic introduction of the precise safety diagnosis.

부표(등부표)의 표체 개선에 관한 연구(2)

  • Sin, Yong-Ju;Jeong, Tae-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266-268
    • /
    • 2011
  • 부표(등부표)는 항로를 표시하거나 항해상의 위험물을 표시하는 중요한 해상교통안전시설이다. 현재 부표(등부표)의 표체가 철재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해중 생물에 의한 표체 오손도가 높고, 무거운 표체 중량으로 인하여 설치 이설 보수 등의 어려움이 있다. 또 철재 표체는 선박과의 충돌에 의한 손상이 발생하며 보수 유지에 따른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선박과의 충돌에도 손상이 거의 없고, 가벼워 취급하기 용이하며 아울러 보수유지가 거의 필요 없는 폴리에텔렌폼과 폴리우레탄 소재의 표체의 개발 내용을 제시한다.

  • PDF

Risk Assessment and Hazard Information Map Generation of Urban Areas (도시지역 위험도 평가 및 재해정보지도 제작)

  • Park, Ki-Youn;Choi, Woo-Suk;Kim, Weon-Seok;Yoo, Hwan-Hee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363-368
    • /
    • 2005
  • 도시지역의 토지이용의 고도화로 도시재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증가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물들의 재해특성을 분석하고 위험도를 평가하여 재해가 일어나기 전에 발생 위험성을 사전에 분석하여 위험도를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이용해 재해정보지도를 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위험도항목을 자연조건, 토지이용 및 건축물, 인구, 교통, 위험물취급시설로 구분하여 자료를 구축하고, 항목별 위험도를 설정하여 등급화 하였으며, 침수위험도, 화재위험도, 대피위험도, 건물붕괴 위험도로 구분하여 재해지도를 제작함으로서 해당지역의 지구단위계획을 수립 시 재해요소를 적용할 수 있고, 재해발생시 사전대응 및 대피를 위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었다.

  • PDF

Analysis of Safety Regulation and Chemical Reactivity of Hypergolic Propellant (접촉점화성 추진제 안전기준 및 상호반응성 분석)

  • Eungwoo Lee;Ahntae Shin;Sangyeon Cho;Byeongmun Par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27 no.3
    • /
    • pp.108-115
    • /
    • 2023
  • Although hydrazine is an excellent liquid propellant, caution is required during storage and handling due to its high toxicity and reactivity. Safety guidelines should be established in consideration of the chemical reactivity by unintended leakage. In this study, the status of hydrazine facilities at launch site and safety standards for storing and handling were investigated and then, the reactivity between chemicals and hydrazine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hydrazine has reactivity with the exception of fuel oil. This paper emphasizes the imperative nature of constructing a dedicated hydrazine storage facility. Ensuring compatibility between hydrazine and the materials used in storage containers and handling equipment is crucial to prevent undesired reactions that could compromise safety. It was intend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secure the range safety when handling hydrazine.

A Study on the Damage Analysis of Chemical Substances Explosion Accident Using GIS (GIS를 활용한 화학물질 폭발사고 피해분석 연구)

  • Ham, Tae-Yuun;Kwon, Gi-Min;Song, Moon-Soo;Yun, H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99-100
    • /
    • 2022
  • 화학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잠재적인 화학물질 폭발사고 위험 또한 증가하고 있다. 순식간에 치명적인 인명, 재산피해를 남기는 폭발에 대한 영향을 예측, 분석하기 위해 다양한 해석모델이 활용되고 있지만, 폭발의 물리적 특성상 다양한 형태의 건물이 밀집된 지역에 대해서는 해석모델 사용만으로 높은 정확도의 분석을 진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GIS 공간정보와 3D 폭발 시뮬레이션의 약결합 방식을 적용하였다. 실제 연구지역과 동일한 환경을 구현하여 시뮬레이션을 구동하였고 이에 따른 폭발 규모와 폭발에 노출된 대상별 가해지는 압력 값을 도출하였다. TNT를 기준으로 위험물 저장 및 취급시설에 대한 최저 기준인 지정수량 200kg을 적용하였음에도 최대 2,960kPa의 압력이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로 도출된 결과에 건축물의 용도와 중요도를 적용한다면 토지이용계획 및 공간활용에 반영할 수 있으며, 안전관리자로 하여금 리스크 평가, BC분석, 안전관리계획 수립 등에 활용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 PDF

Development of Emergency Response System by Risk Assessment Methodology in Energy Facility (에너지 시설물의 위험성 평가에 따른 비상대응 시스템 구축)

  • Lee, Heon-Seok;Kang, Seung-Gyun;Jung, In-Hee;Kim, Bum-Su;Yoo, Jin-Hwan;Park, Chul-Hwan;Kim, Dae-Heum;Ko, Jae-Woo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12 no.2
    • /
    • pp.118-123
    • /
    • 2008
  • There are many facilities, such as facilities for high pressure gas storage and systems related to high pressure pipes, to handle hazardous materials in energy industries. Because the foundation of the proper risk analysis and management system has not been established, there is the possibility of an accident and Korea has met higher accident rate than developed countries. These accidents in energy facilities could cause great damage to facilities including the surrounding area, We have conducted the present research in order to systematize the emergency response system (ERS) using a lot of information on the degree of damage in an accident by consequence analys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