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험물

Search Result 1,947,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Review on Prior Evaluation for Terrorism Risk of High-rise Buildings (초고층건축물의 테러 위험도 사전평가에 관한 연구)

  • Seong, Bin;Lee, Yoon-Ho
    • Korean Security Journal
    • /
    • no.36
    • /
    • pp.293-316
    • /
    • 2013
  • Today's high-rise buildings are increasing concern about the safety and evacuation of people related to the fire and threat from outside. Terrorism breaking out in high-rise buildings, a symbol of the national economy results in a number of casualties, economic loss, social fear and damage to national status. That's why high-rise building has also emerged as a target of major terrorist attacks, compared to other types of buildings. We have 54 high-rise buildings in 15 regions over the countr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ve offered the guidelines to prevent terrorist attacks toward high-rise buildings. Since the 9/11 terrorist attacks, the U.S.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FEMA) has developed and taken advantage of the Risk Management Manual Series. According to this manual, pre-assessment is conducted for the prevention of terrorism and particularly in FEMA 455, risk of the surrounding areas, vulnerability, possibility from terrorist attacks are checked. After the check, experts classify the risk of terrorist attacks toward the high-rise buildings and according to the risk classification, architects, security experts and structure engineers can carry out terrorism prevention program for high-rise buildings. The U.K. NaCTSO has also offered the terrorism prevention guidelines. Therefore,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hould make more concrete guidelines for high-rise buildings such as what U.S. FEMA and U.K. NaCTSO implement, including prior evaluation technique for terrorism risk.

  • PDF

A Study on the Convergence Safety Management Improvement of Hazardous Material Facilities (위험물시설의 융합형 안전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Ku, Jae-Hyu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7
    • /
    • pp.47-53
    • /
    • 2018
  • The actual condition of safety management and problems for hazardous material facilities in national industrial complex are investigated and analyzed in fields of hazardous material facilities safety, fire fighting equipment safety, building safety, space safety. In most cases, the failure to comply with legal requirements and the maintenance of fire safety have been pointed out. As a result, the total number of problems identified was 466 and problems in the field of hazardous material facilities safety have been pointed out the most. Also, it was analyzed that the number of problems identified in the manufacturing facilities and general handling centers among the hazardous materials facilities was the highest. Therefore, it will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safety management capability of the national industrial complex in the future by suggesting the convergence direction of the safety diagnosis system and the systematic introduction of the precise safety diagnosis.

A Method to Measure Damage Areas by the types of Railroad Hazardous Material through GIS Spatial Analysis (GIS 공간 분석기법을 통한 철도사고위험물질별 피해규모 자동추출방안)

  • Kim, Sang-Gyun;Kim, Si-Gon;Lee, Won-Tea
    • Proceedings of the KSR Conference
    • /
    • 2009.05a
    • /
    • pp.1769-1778
    • /
    • 2009
  • Due to the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he transport of hazardous materials increases, which rises possibilities in occurring prospective accidents in terms of hazardous material transport as well. This study applied the model developed from the previous research to analyze the scale of damage areas from the accidents related to hazardous material accidents, as well as suggested a method to measure automatically the scale of accident including casualties and environmental damage based on the guideline which suggests the quantities of hazardous materials exposed from an accident and was defined in the study of standardization for hazardous material classification. A buffering analysis technique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was applied for that. To apply the model which evaluates the scale of population and exposure to environment on each link, rail network, zones, rail accident data, rail freight trips, and locations of rivers etc were complied as a database for GIS analysis. In conclusion, a method to measure damage areas by the types of hazardous materials was introduced using a Clip and a Special Join technique for overlay analysis.

  • PDF

Risk Assessment and Hazard Information Map Generation of Urban Areas (도시지역 위험도 평가 및 재해정보지도 제작)

  • Park, Ki-Youn;Choi, Woo-Suk;Kim, Weon-Seok;Yoo, Hwan-Hee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363-368
    • /
    • 2005
  • 도시지역의 토지이용의 고도화로 도시재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증가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물들의 재해특성을 분석하고 위험도를 평가하여 재해가 일어나기 전에 발생 위험성을 사전에 분석하여 위험도를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이용해 재해정보지도를 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위험도항목을 자연조건, 토지이용 및 건축물, 인구, 교통, 위험물취급시설로 구분하여 자료를 구축하고, 항목별 위험도를 설정하여 등급화 하였으며, 침수위험도, 화재위험도, 대피위험도, 건물붕괴 위험도로 구분하여 재해지도를 제작함으로서 해당지역의 지구단위계획을 수립 시 재해요소를 적용할 수 있고, 재해발생시 사전대응 및 대피를 위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었다.

  • PDF

The Hazard Analysis of the Forth Hazardous Materials Market (제 4류 위험물 판매취급소의 위험성 평가)

  • 이창욱;이수경;유상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9.06a
    • /
    • pp.243-248
    • /
    • 1999
  • 20세기에 들어와 세계적인 정유산업과 석유화학산업의 눈부신 발전에 부응하여 우리나라에서도 1960년에 국내최초의 정유공장인 대한석유공사가 미국의 Fluor사와 합작으로 울산에 건립된 후 약 40여년의 세월동안 국내의 정유산업, 석유화학산업, 가스산업분야도 괄목할만한 발전과 성장을 이루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경제규모가 커지고 생산과 소비가 따라서 확대되어 인구의 도심지역 편향현상이 생겨 이러한 위험물 취급소가 수도권의 부도심지역과 대도시 부근의 주거지역에 공존하게 되었다. (중략)

  • PDF

A Study of the Safety Management in Refinery Process through Analysis of Accident Data (석유정제공업의 공정별 사고사례분석을 통한 안전대책 연구)

  • 윤동현;이원근;서현곤;김창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9.06a
    • /
    • pp.141-148
    • /
    • 1999
  • 우리 사회가 경제적으로 급속히 발전됨에 따라 공업화, 도시의 밀집화, 생활양식의 다양화 등으로 인하여 각종 위험물의 사용이 급증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잠재위험성도 함께 증가되어 각종 위험물 취급 부주위에 따른 폭발화재사고가 급증하고 있다. 한 건의 사고가 인적$\cdot$사회적$\cdot$경제적으로 막대한 피해와 손실을 가져오게 되는 것을 과거 재해사례에서 명백하게 경험할 수 있었다. (중략)

  • PDF

Development of a Lagrangian Stochastic Dispersion Model for Toxic Gas Release (독성 기체상 물질의 확산 및 대응 분석을 위한 라그랑지안 입자모델의 개발)

  • 이강웅;장유운;이미혜;조성억;조승현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149-151
    • /
    • 1999
  • 우리 나라의 경우에 산업화가 가속화되면서 유해 독성 기체상 물질의 누출사고 위험성이 점점 높아져 가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 나라는 특히 산업인력의 조달과 지방경제 발달을 목적으로 중소도시 근방에 대규모 공단이 건설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공단에는 위험물을 취급하는 공장과 위험물이 수송 및 이동되는 사례가 매우 많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러한 경로를 통하여 유독가스 누출사고가 발생 할 경우 바로 인근 주민 및 작업 인원들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중략)

  • PDF

KFSA- I에 의한 건물의 화재위험성 평가

  • Lee, Soo-Kyung;Ko, C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7.11a
    • /
    • pp.91-96
    • /
    • 1997
  • 건축물의 고층화와 그 구조의 다양화, 고밀도화에 따른 실내의 가연물 증가등으로 인한 화재의 잠재적인 위험성은 날로 증대되고 있으며, 건물화재를 완전히 방지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건물의 잠재된 화재 위험성을 평가한다는 것은 건축물을 화재로부터 피해를 최소화하고, 화재를 미연에 예방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화재 위험성을 평가하는 방법이 표준화 되어있지 않고, 정량적 평가를 할 수 있는 방법이 매우 드문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화재 위험성을 정량화 시켜 평가할 수 있는 평가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함으로써 체계적이고 쉽게 평가 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의 위험성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중략)

  • PDF

The Mapping Method between Requirement Tracebility Table and Risk Management List (요구관리산출물과 위험관리산출물의 연계 방안)

  • Han, So-Yeon;Kim, Ju-Young;Rhew, Sung-Y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0b
    • /
    • pp.108-113
    • /
    • 2007
  •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의 위험관리는 프로젝트의 성패를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영역이다. 그러나 위험관리의 주체가 관리자의 역할을 가진 사람들에 의해 진행되고, 방법론이나 지침에서 제시하고 있는 위험관리 또한 여러 활동들과 산출물이 실제 위험관리정보를 필요로 하는 개발자들에게는 적절하게 연결이 되지 않고 있어서 개발자들이 필요한 정보를 파악하기에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개발자들을 위한 위험관리방법으로, 요구사항추적테이블이라는 양식과 위험관리리스트간의 연결방안을 제안한다. 요구사항추적테이블은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주기 전체 과정에서 활용하고 있으며 개발자들이 사용하기 쉬운 양식이므로 요구사항추적테이블과 위험관리리스트를 연결하는 것으로 개발자들로 하여금 위험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기 용이하게 하여 설계와 구현 시 관련 위험에 대해 예측이 가능하며 대처방안을 사전에 고려할 수 있다.

  • PDF

Determination of Fire Risk Assessment Indicators for Building using Big Data (빅데이터를 활용한 건축물 화재위험도 평가 지표 결정)

  • Joo, Hong-Jun;Choi, Yun-Jeong;Ok, Chi-Yeol;An, Jae-Ho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22 no.3
    • /
    • pp.281-291
    • /
    • 2022
  • This study attempts to use big data to determine the indicators necessary for a fire risk assessment of buildings. Because most of the causes affecting the fire risk of buildings are fixed as indicators considering only the building itself, previously only limited and subjective assessment has been performed. Therefore, if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indicators can be considered using big data, effective measures can be taken to reduce the fire risk of buildings. To collect the data necessary to determine indicators, a query language was first selected, and professional literature was collected in the form of unstructured data using a web crawling technique. To collect the words in the literature, pre-processing was performed such as user dictionary registration, duplicate literature, and stopwords. Then,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research, words were classified into four components, and representative keywords related to risk were selected from each component. Risk-related indicators were collected through analysis of related words of representative keywords. By examining the indicators according to their selection criteria, 20 indicators could be determined. This research methodology indicates the applicability of big data analysis for establishing measures to reduce fire risk in buildings, and the determined risk indicators can be used as reference materials for assess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