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위식도 역류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3초

소아 만성 기침의 원인 질환과 컬러 도플러 초음파 검사의 진단적 유용성 (The Etiologic Diseases and Diagnostic Usefulness of Color Doppler Ultrasonography in Children with Chronic Coughs)

  • 박선영;이준성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4호
    • /
    • pp.489-497
    • /
    • 2002
  • 목 적 : 만성 기침을 주소로 내원한 환아들을 전향적으로 조사하여 그 원인 질환의 종류와 빈도를 알아보고 이에 대한 적절한 진단적 접근 방법과 관리 지침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얻고자 한다. 방 법 : 2000년 8월부터 2001년 7월까지 일년 동안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소아과 만성 기침 클리닉에 3주 이상 지속적인 기침을 호소하여 내원하였던 132명의 환아를 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원인 질환의 규명을 위해서 설문지를 통한 자세한 병력 청취, 이학적 진찰과 함께 흉부와 부비동의 방사선 촬영을 하였고, 혈액학적 및 면역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필요한 경우 알레르기 피부 검사와 메타콜린 유발 검사를 시행하였다. 위식도역류증을 진단하기 위해 24시간 식도 pH를 측정하였으며, 이와 함께 위식도역류증의 진단방법으로서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컬러 도플러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의 성별은 남 : 녀가 1.1 : 1였으며 연령 분포는 영아기 9명, 유아기 82명, 학령기 38명, 청소년기가 3명이었다. 만성 기침을 유발하는 가장 흔한 원인으로는 기관지 천식이 40례로서 가장 많았고, 만성 부비동염이 22례, 위식도역류증이 7례, 그리고 천식과 부비동염을 동반한 경우가 28례, 천식과 위식도역류증을 동반한 경우도 14례가 있었다. 그 외 심인성 기침, 후두 연화증, 호흡기 이물, 만성 기관지염, 선택적 IgA 결핍증 등이 일부 원인 질환이었고 원인을 알 수 없었던 경우도 5례 있었다. 기관지 천식과 다른 원인 질환들간의 면역 글로불린, 림프구아형(lymphocyte subset)을 측정 비교한 바, 기관지 천식으로 진단 받은 환아들에서 만 IgE가 유의하게(P<0.01) 증가되었다. 메타콜린 유발 검사를 시행한 대상 환아들에게서 양성 반응을 보인 평균 메타콜린 양은 8.06 mg/mL로서 대부분 경도의 기도 과민성을 보여 기침이형천식임을 시사하고 있었다. 24시간 식도 pH 측정과 컬러 도플러 검사를 함께 시행하였던 51례에서 24시간 식도 pH 측정과 비교한 컬러 도플러 초음파 검사의 민감도는 88%, 특이도는 69%였으며, 양성 예견치는 85%, 음성 예견치는 73%의 결과를 보였다. 결 론 : 만성 기침의 원인 질환으로는 빈도상 기관지 천식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부비동염, 위식도역류증의 순이었다. 단독 질환에 의한 경우가 많았으나 두가지 이상 복합 질환에 의한 경우도 많아, 원인 질환을 규명할 때는 이를 염두에 두어야 되겠다. 또한 위식도 역류증 선별 검사법으로 외래에서 간단하게 실시 할 수 있는 컬러 도플러 검사가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역류성 식도염에 대한 천연 미네랄 워터의 효과 (Effects of Natural Mineral Water on Reflux Esophagitis)

  • 추병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5-87
    • /
    • 2022
  • 본 연구는 다량 미네랄 6종 및 미량 미네랄 8종이 함유된 천연 미네랄 워터의 기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역류성 식도염 유발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개선 효과를 분석하였다. RAW264.7에서의 세포 생존율 측정 결과를 통해 미네랄 워터는 세포에 대한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으며, 역류성 식도염 동물모델에서 위 내용물 역류에 의한 식도 손상을 감소시켰으며, 식도 점막 보호 작용으로 인해 세포 연접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였다. 따라서, 미네랄 워터의 식도 보호 작용은 조직 내 염증성 단백질 및 점막 재생 관련 단백질을 조절함으로써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미네랄 워터의 기능성을 확인함으로써 음용수, 식품 생산 등의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활용성과 가축 생산에 있어 면역증진 및 염증 관련 질병에 대처할 수 있는 친환경 기능성 사료첨가제로서의 미네랄 워터의 이용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왕우렁이 추출물의 역류성 식도염 억제 효과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Golden Apple Snail (Pomacea canaliculata) in Reflux Esophagitis Model)

  • 남현화;류승목;양선규;김욱진;문병철;서윤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85-96
    • /
    • 2021
  • 본 결과를 통해, 왕우렁이 추출물의 역류성 식도염 모델에서 위 내용물의 역류로 인한 조직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를 확인하였다. 식도 점막의 육안 소견과 조직병리학적 분석 결과 점막의 괴사, 염증세포의 침윤 등의 증상이 완화됨을 확인하였으며, 상피조직의 tight junction을 보호하여 위산과 펩신으로부터 점막을 보호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왕우렁이 추출물의 식도 보호효과는 NF-κB 기전의 조절을 통해 점막의 염증반응을 억제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왕우렁이 추출물이 역류성 식도염 완화를 위한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위식도역류질환과 인후두역류질환의 대한 최신지견 (Update of Pathophysiology in GERO/LPR)

  • 우정수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83-90
    • /
    • 2010
  • The pathophysiology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has been known that it is developed when the offense-primarily the gastric acid-pepsin content of the refluxate-overcomes a 3-tiered esophageal protective defense. consisting of antireflux mechanisms, luminal clearance mechanisms, and tissue resistance. Laryngopharyngeal reflux (LPR), which is known as an extraesophageal variant of GERD, has been considered to be developed by transient lower esophageal sphincter relaxation (TLESR), direct mucosal injury by gastric contents, more sensitive mucosa compared to esophagus, and absence of buffering effect and aggravation of the injury due to pepsin. However, hypothesis of the pathophysiology in both entities are numerous and still lack of understanding for being a theory. There is no conflict that understanding the pathophysiology is necessary for resolving the problems of these diseases and numerous studies and results have been releasing. This review could provide clinicians dealing with GERD and LPR with applicable new information and help for overcoming the clinical obstruction.

  • PDF

위식도역류질환과 인후두역류질환의 약물 요법에 대한 최신지견 (Update on Medical Treatment of GERD/LPR)

  • 김미나;김주성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7-104
    • /
    • 2010
  •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is a common disorder caused by the reflux of gastric contents into the esophagus. According to the recent classification, GERD can elicit esophageal and extraesophageal syndromes. Laryngopharyngeal reflux (LPR) is defined as laryngeal symptoms with laryngeal inflammation caused by the acid reflux. The prevalence of GERD and LPR is increasing during the past decades in Korea and management of GERD and LPR is a challenging issue in clinical practice. Proton pump inhibitor is the most effective drug in the treatment of GERD. Most patients with LPR are given a 2-month trial of a proton pump inhibitor (PPI), however, there is still little evidence on the diagnosis or the treatment of LPR. During the last years concern have been raised regarding the risk of averse events related to long-term use of PPI. We review the recent update on medical treatment of GERD/LPR.

  • PDF

위식도역류질환의 수술 (Antireflux Surgery)

  • 나국주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05-108
    • /
    • 2010
  • The prevalence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GERD) has been increased recently in Korea. Most patients who have GERD are well treated by medication. But patients who have suboptimal disease control under medical therapy are needed further treatment. Nowadays minimally invasive surgery using laparoscopy and thoracoscopy has become popular in the operation of GERD although antireflux surgery is vary. Antireflux surgery is a well-documented, effective therapeutic alternative to control GERD.

  • PDF

근위부 위절제술 후 재건 술식에 따른 경과 관찰 (Subjective and Functional Results after a Proximal Gastrectomy: Prospective Study for Comparison of Reconstruction Procedures)

  • 김지훈;육정환;김병식;오성태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6권1호
    • /
    • pp.1-5
    • /
    • 2006
  • 목적: 근위부 위절제술 후 식도-위 문합술을 시행받은 환자에서 문합부 협착, 역류성 식도염 등이 드물지 않게 발생한다. 저자들 역시 이러한 합병증을 경험하였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공장간치술을 시행하였으며 식도-위 문합술과 공장간치술 간의 경과 관찰을 통해 보다 나은 재건 술식을 찾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6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외과에서 상부위암 혹은 위상부의 위장관기질종양으로 진단받고 근위부 위절제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재건 술식에 따른 수술시간, 수술 후 증상, 체중변화, 추적관찰 시 시행한 내시경 소견 등을 비교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 총 33명의 평균연령은 59세였고, 남녀 비는 3 : 1이었다. 식도-위 문합술을 시행한 환자는 25명, 공장간치술을 시행한 환자는 8명이었다. 통과장애, 속쓰림, 신트림, 구토 등의 증상을 관찰하였으며 식도-위 문합술 환자에서 통과장애 12예, 구토 3예, 속쓰림 4예, 신트림 4예가 관찰되었으며, 공장간치술 환자에서는 통과장애 12예, 구토 3예가 있었고, 속쓰림과 신트림은 관찰되지 않았다. 수술 후 체중변화는 1개월 후 수술 전 체중의 90%까지 감소한 경우가 식도-위 문합술 환자에서 7예, 공장간치술 환자에서 없었다. 수술 후 추적 내시경 검사 결과 역류성 식도염이 관찰된 경우는 식도-위 문합술 환자에서 9예, 공장간치술 환자에서 0예였다. 문합부위 협착으로 인해 풍선 확장술이 필요하였던 경우가 식도-위 문합술 환자에서 4예, 공장간치술 환자에서 1예가 있었다. 결론: 상부 위절제 시 재건방법으로 역류성 식도염 및 여러 소화기 증상을 예방하기 위해 공장간치술이 식도-위문합술의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통계적 유의성을 가지기 위해 더 많은 대상군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위전절제술에서 자동단단문합기 사용 후 문합부 협착에 대한 고찰 (Anastomosis Site Stricture after Using Stapler Devices in a Total Gastrectomy)

  • 구도훈;서병조;한원선;유항종;김진복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4권4호
    • /
    • pp.252-256
    • /
    • 2004
  • 목적: 최근 자동단단문합기를 이용한 위전절제술의 비율이 높아가고 있으나 술 후 식도공장문합부 협착의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키지는 않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자동단단문합기 사용과 식도공장문합부 협착 발생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방법: 1998년 9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만 2년 3개월 동안 인제의대 서울 백병원 한국위암센터에서 자동단단문합기를 사용하여 위전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 228예를 대상으로 연령 및 성별, 수술방법, 자동 단단 문합기의 지경과 그에 따른 수술 후 협착의 발생여부, 그리고 역류성 식도엽의 동반여부를 조사하였다. 결과: 전체 228예의 환자의 연령은 60대가 64예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50대와 40대 순이었다. 남녀성비는 2.3:1로 남자에서 많았다. 문합부 협착이 있었던 32예 모두는 looptlr 문합술을 시행한 경우에 발생하였고 Roux-en-Y 문합술을 사용한 경우에는 발생하지 않았다. 전체 228예 중 32예($14\%$)서 협착이 발생하였으며 자동단단문합기 25mm에서는 69예 중 11예($15.9\%$), 28 mm에서는 159예 중 21예($13.2\%$)에서 발생하여 두 군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역류성 식도염은 228예 중 56예에서 발생하였으며, 이 중 7예($12.5\%$)에서 협착이 발생하였고, 역류성 식도염이 없었던 172예 중 25예($14.5\%$)에서 협착이 발생해, 두 군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협착의 발생시기는 6개월까지 16예, 이중 역류성 식도염이 동반된 경우는 4예($25\%$)이었으며 7개월에서 18개월까지는 14예, 역류성 식도염이 동반된 경우는 3예($21.4\%$), 19개월 이후에는 2예가 발생하여 위-식도 문합부 협착과 발생시기 또는 역류성 식도염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P>0.05). 결론: 위전절제술후에 발생하는 식도공장문합부 협착의 발생은 식도공장문합술식, 자동단단문합기의 크기, 그리고 역류성 식고염과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식도 공장문합부는 협착을 예방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해서 저자들은 적절한 크기의 자동단단문합기를 사용하여 문합부 긴장의 감소와 충분한 혈류의 공급을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 PDF

수유 종류 및 수유 후 자세에 따른 위 배출 시간의 초음파적 연구 (Ultrasonic Assessment of Gastric Emptying According to Feeding Types and Postprandial Postures)

  • 박재옥;김종복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권1호
    • /
    • pp.65-73
    • /
    • 1999
  • 목 적 : 신생아의 식도 특히 하부 식도 괄약근의 발달은 해부학적으로 미숙하기 때문에 하부 식도 괄약근의 수축력이 낮아 신생아에서 역류와 구토가 잘 일어난다. 식도는 15개월이 되어야 성숙하게 되므로 그 동안 역류와 구토의 빈도가 적도록 돌보아 주어야 한다. 역류와 구토의 빈도를 줄이는 방안으로 섭취한 음식이 위에 머므르는 시간을 단축시킬수 있다면 도움이 될 것이므로 수유의 종류와 수유 후 자세에 따른 위 배출 시간의 영향을 알아 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신생아를 대상으로 초음파검사를 이용하여 수유 종류(모유 및 분유)에 따른 위 배출 시간을 비교하고, 수유 후 자세(앙와위 및 복와위)에 따른 위 배출 시간을 비교해 보았다. 수유 종류에 따른 비교에서 대상아는 모유수유아 15명, 분유수 유아 15명이었고 수유 후 자세는 앙와위를 취하였다. 수유 후 자세에 따른 비교에서는 분유 수유를 하였고 앙와위 15명, 복와위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위 전정부 면적은 상장간막 동맥과 대동맥이 지나는 위치에서 5 MHz 컨벡스 초음파 탐촉자로 종단스캔을 하여 초음파 기계에 내장된 컴퓨터에 의해 구하였다. 위 배출 시간은 금식 후 4시간에 위 전정부 면적의 기본 크기를 측정하고 수유 후 즉시, 그 후 30분마다 측정하여 기본 크기로 돌아올 때까지 추적하여 측정하였고 기본 크기로 두번 계속 측정되면 측정을 마쳤으며 처음 기본크기로 돌아온 시간을 위 배출 시간으로 정하였다. 결 과: 1) 수유 종류에 따른 위 전정부 면적 및 위 배출 시간의 비교; (1) 모유수유아를 앙와위로 누인 경우의 위 전정부 면적은 금식 시 $0.59{\pm}0.13\;cm^2$이었고 수유 후 즉시는 $0.70{\pm}0.17\;cm^2$이었으며 수유 후 30분에 최고치에 달하여 $0.82{\pm}0.19\;cm^2$이었고 금식 시 면적의 1.39배였다. 위 배출 시간은 $76.0{\pm}20.02$분이었다. (2) 분유수유아를 앙와위로 누인 경우의 위 전정부 면적은 금식 시 $0.52{\pm}0.08\;cm^2$이었고 수유 후 즉시는 $0.68{\pm}0.10\;cm^2$이었으며 수유 후 30분에 최고치에 달하여 $0.85{\pm}0.14\;cm^2$이었고 금식 시 면적의 1.63배였다. 위 배출 시간은 $96.0{\pm}20.28$분이었다. 3) 모유수유아 및 분유수유아를 앙와위로 누인 경우의 위 전정부 면적은 금식 시와 수유 후 경과시간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위 배출 시간은 모유수유아가 분유수유아 보다 유의하게 빨랐다(p<0.05). 2) 수유 후 자세에 따른 위 전정부 면적 및 위배출 시간의 비교; (1) 분유수유아를 앙와위로 누인 경우의 위 전정부 면적은 금식 시 $0.52{\pm}0.08\;cm^2$이었고 수유 후 즉시는 $0.68{\pm}0.10\;cm^2$이었으며 수유 후 30분에 최고치에 달하여 $0.85{\pm}0.14\;cm^2$이었고 금식 시 면적의 1.63배였다. 위 배출 시간은 $96.0{\pm}20.28$분이었다. (2) 분유수유아를 복와위로 누인 경우의 위 전정부 면적은 금식 시 $0.54{\pm}0.06\;cm^2$이었고 수유 후 즉시는 $0.63{\pm}0.13\;cm^2$이었으며 수유 후 30분에 최고치에 달하여 $0.81{\pm}0.12\;cm^2$이었고 금식 시의 1.50배였다. 위 배출 시간은 $85.0{\pm}22.43$분이었다. (3) 분유수유아에서 수유 후 자세를 앙와위 및 복와위로 취한 경우 위전정부 면적은 금식 시와 수유 후 경과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수유 후 30분에는 앙와위로 누인 경우 $0.85{\pm}0.14\;cm^2$이었고 복와위로 누인 경우 $0.81{\pm}0.12\;cm^2$로 앙와위인 경우가 컸다(p<0.01). 위 배출 시간은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결 론: 식도의 기능이 미숙하고 위의 연동운동이 덜 발달된 미숙아나 신생아는 역류와 구토의 빈도를 줄이고 경구 영양을 잘 진행해 나가기 위해서 위 배출 시간이 빠른 모유수유를 적극 권장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수유 후 자세는 위 배출 시간에 영향을 주지는 않으나 역류나 구토가 일어났을 때 흡인의 가능성이 적어 안전하고, 편안히 잠잘 수 있으며 전통적으로 선호하는 자세를 취하면 적절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반복성 구토 또는 역류증 환아에서 24시간식도 산도 측정의 의의 (The Significance of 24-Hour Esophageal pH Monitoring in Children with Recurrent Vomiting or Regurgitation)

  • 이소현;이창한;정기섭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권2호
    • /
    • pp.139-146
    • /
    • 1999
  • 목 적: 소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반복적 구토 또는 게우기는 대부분 생리적 위식도 역류에 기인하지만 치료가 필요한 병적인 역류와 감별이 필요하다. 병적 역류의 진단에 이용되는 24시간 식도산도 측정의 임상적 의의와 더불어 역류지표들을 평가해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반복적 구토 또는 게우기를 주소로 내원한 환아들 중 glass electrode 및 GastrograpH (MIC, Switzerland)를 이용하여 24시간 식도 산도측정을 시행한 87례를 대상으로 병적 역류의 연령별 빈도를 알아보고, 생리적 및 병적 역류군의 역류 지표들의 평가와 더불어 두 군내에서의 하루중 시간대 별 역류 지수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 과: 총 87명 중 병적 역류 환아는 32명(36.8%) 였으며, 연령별로는 6개월 미만에서 32.5%, 6개월~1세 사이 13.3%, 1~2세 사이 61.5%, 2~3세 사이 14.3%, 3세 이상에서는 66.7%에서 병적역류를 보였다. 생리적 역류군에서 총 역류지수는 1세미만에서 $3.7{\pm}2.9%$, 1세 이상에서 $1.8{\pm}1.5%$로 1세 전후에서 유의한 차이(p=0.02)를 보였으며, 하루 시간대별 1세 전후의 역류지수는 아침시간대에서만 1세 이하군이 의의 있게(p=0.04) 높았다. 역류횟수는 각각 $118{\pm}150$, $108{\pm}104$회로 1세 전후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5분 이상 지속된 역류횟수는 1세 전후에서 각각 $1.7{\pm}1.9$, $0.8{\pm}1.0$회로 1세이하에서 유의하게(p=0.03) 많았으며, 가장 긴 1회 역류시간은 1세 전후에서 각각 $604{\pm}551$초, $275{\pm}296$초로 1세 이하에서 유의하게(p=0.007) 길었다. 병적 역류군에서 총역류지수는 1세 미만에서 $17.7{\pm}11.6%$, 1세 이상에서$7.7{\pm}2.9%$였고 역류횟수는 1세 전후에서 각각 $365{\pm}224$, $294{\pm}202$회였으며, 5분 이상 지속된 역류횟수는 $8.9{\pm}4.6$, $3.2{\pm}1.8$회였다. 가장 긴 1회 역류시간은 1세 전후에서 각각 $1955{\pm}2190$초, $1093{\pm}706$초였다. 생리적 및 병적 역류군 각각에서 하루 시간대 사이의 역류 지수를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반복적 구토 또는 게우기를 주소로 내원한 환아에서 glass electrode 및 GastrograpH를 이용한 24시간 식도 산도 측정 검사상 1세 미만에서는 역류 지수 10%, 1세 이상에서는 5%를 기준으로 했을 때 병적 역류는 36.8%에서 관찰되었다. 생리적 및 병적 역류군의 시간대별 역류 지수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병적 역류군의 역류발생빈도가 연령에 따라 차이가 크며, 특히 1~2세 사이의 환아에서 그 비율이 현저히 높았고, 또한 1세 전후의 역류지수도 현저한 차이를 보이므로, 향후 보다 많은 영유아들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하여 1~2세 사이의 병적 역류의 기준 역류 지수를 5~10% 사이에서 더 세분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