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성 증발산량

Search Result 71,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The Application of Satellite Imagery in Droughts Analysis of Large Area (광역의 가뭄 분석을 위한 위성영상의 활용)

  • Jeong, Soo;Shin, Sha-Chul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4 no.2 s.36
    • /
    • pp.55-62
    • /
    • 2006
  • Droughts have been an important factor in disaster management in Korea because she has been grouped into nations of lack of water. Satellite imagery can be applied to droughts monitoring because it can provide periodic data for large area for long time.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process to analyze droughts in large area using satellite imagery. We estimated evapotranspiration in large area using NDVI data acquired from satellite imagery. For satellite imagery, we dealt with MODIS data operated by NASA. The evapotranspiration estimated from satellite imagery was combined with precipitation data and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data to estimate water balances. Using water balances we could analyze droughts effectively in our object area. As the result of this study, we could increase the usability of satellite imagery, especially in droughts analysis.

  • PDF

Estimation of Actual Evapotranspiration using Multi-Satellite Data over Korea Peninsula (다중 위성 자료를 이용한 한반도에서의 실제 증발산량 산출에 관한 연구)

  • Lee, Min-Ji;Han, Kyung-Soo;Kim, In-Hw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9 no.4
    • /
    • pp.145-151
    • /
    • 2011
  • Evapotranspiration (ET) is an important process acrossa wide range of disciplines, including ecology, hydrology and meteorology.In this study, daily actual evapotranspiration (ETa) is based energy balance equation and considering high surface roughness length to estimate. This study was used variety of satellite data and ground observation data in Korea Peninsula from 1 January to 31 December 2009. In this study, sensible heat flux is one of the important parameters of ETa. Measurements of sensible heat flux are, however, complex and can't be easily obtained. So this study was used an empirical coefficient B to simplify estimate of sensible heat flux. The coefficient B in the ETa model requires a careful definition of aerodynamic resistance. So this study proposed ETa model considering aerodynamic resistance and high surface roughness length. This study was conducted validation in comparison of the proposed daily ETa results with Priestley-Taylor ETp.

Spatial Estimation of Satellite-based Evapotranspiration by Energy Balance (에너지 수지에 의한 인공위성 데이터 기반 공간 증발산량 산정)

  • Hwang, Kyo-Taek;Choi, Min-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585-1590
    • /
    • 2010
  • 토양으로부터 발생하는 증발과 식물에서 일어나는 증산을 모두 포함하는 증발산은 일반적으로 연구된 물리식과 경험식 등을 이용하여 산정하고 lysimeter 실측 자료를 이용하여 지역 특성에 맞게 검증하는 방법을쓰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은 어느 한 점에만 국한되어 적용되기 때문에 공간적인 제약이 있으며 외부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는 증발산의 특성상 이를 일반화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이러한 점들을 보완하고 해결하기 위해 원격탐사 (Remote Sensing)를 이용하여 넓은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증발산량을 공간적으로 산정하고자 한다. 증발산량은 크게 물수지, 에너지수지 방법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수지 방법을 기반으로 한 원격 이미지 처리 모형을 이용하여 에너지 수지식의 각 항을 이루는 순복사 에너지, 토양열 플럭스, 현열 플럭스와 함께 증발산을 나타내는 잠열 플럭스를 통합적으로 처리하여 산정, 이를 지도로 나타내고 기본적인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작성된 지도는 유역 내 토지 피복, 식생 분포, 고도 등 외부 인자들의 변화에 따라 증발산량이 공간적으로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알아볼 때 유용하게 쓰일 것이며, 다른 증발산 지도와의 비교를 통해 연구지역에서의 시간 변동성을 파악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Estimation of Evapotranspiration Distribution using LAI (LAI를 고려한 유역 증발산량 분포 분석)

  • Kim, Joo Hun;Kim, Kyung Tak;Park, Jung So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276-1279
    • /
    • 2004
  • 수문순환 과정에서 증발산은 물이 유역으로부터 제거되는 주요 기작으로서, 증발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식물은 지구 육지 표면의 약 $70\%$ 정도를 점유하고 있으며, 생태계의 가장 중요한 구성인자로서, 식물의 종류 및 군집의 공간적 분포유형, 생육주기 및 형태적 변화 등과 같은 정보들은 그 지역의 기후, 토양, 지질, 지리적 특성을 밝히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식생관련 정보 중 엽면적 지수란 단위지표면적당 총 엽면적의 비를 나타내는 것으로 환경생태, 기상, 수문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Landsat 위성영상과 DEM 등의 GIS 자료를 이용하여 지형적인 요소를 고려하여 유역의 증발산량을 분포형으론 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대상유역은 한강의 제1지류인 경안천유역으로 하였고, 증발산량 산정에 필요한 기상자료는 월평균기온, 수평면일사량, 상대습도를 이용하였고, 일사량비와 일조시간비 계산을 위해 위도별에 따른 총일조시간과 월평균일사량을 계산하였다. 잠재증발산량 산정은 Penman-Monteith식을 이용하여 산정하였으며, 식생지수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LAI를 고려하여 산정하였다.

  • PDF

Evaluation of satellite-based evapotranspiration and soil moisture data applicability in Jeju Island (제주도에서의 위성기반 증발산량 및 토양수분 적용성 평가)

  • Jeon, Hyunho;Cho, Sungkeun;Chung, Il-Moon;Choi, Minha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4 no.10
    • /
    • pp.835-848
    • /
    • 2021
  • In Jeju Island which has peculiarity for its geological features and hydrology system, hydrological factor analysis for the effective water management is necessary. Because in-situ hydro-meteorological data is affected by surrounding environment, the in-situ dataset could not be the spatially representative for the study area. For this reason, remote sensing data may be used to overcome the limit of the in-situ data. In this study, applicability assessment of MOD16 evapotranspiration data, Globas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 (GLDAS) based evapotranspiration/soil moisture data, and Advanced SCATterometer (ASCAT) soil moisture product which were evaluated their applicability on other study areas was conducted. In the case of evapotranspiration, comparison with total precipitation and flux-tower based evapotranspiration were conducted. And for soil moisture, 6 in-situ data and ASCAT soil moisture product were compared on each site. As a result, 57% of annual precipitation was calculated as evapotranspiration,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MOD16 evapotranspiration and GLDAS evapotranspiration was 0.759, which was a robust valu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434, indicating a relatively low fit. In the case of soil moisture, in the case of the GLDAS data, the RMSE value was less than 0.05 at all sites compared to the in-situ data,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was obtained as a result of the significance test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However, for satellite data, RMSE over than 0.05 were found at Wolgak and there was no correlation at Sehwa and Handong points. It is judged that the above results are due to insufficient quality control and spatial representation of the evapotranspiration and soil moisture sensors installed in Jeju Island. It is estimated as the error that appears when adjacent to the coast. Through this study, the necessity of improving the existing ground observation data of hydrometeorological factors is emphasized.

Mapping of Water Use Efficiency Using Satellite Imageries in South Korea (인공위성 영상자료를 이용한 남한지역 수분이용효율 지도 작성)

  • Sur, Chan-Yang;Kim, Hyun-Woo;Choi, Min-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62-365
    • /
    • 2011
  • 단위면적당 증발산량 중 일부가 식생의 물질 생산에 이용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인 수분 이용효율 (Water Use Efficiency, WUE)은 총 일차생산성(Gross Primary Productivity, GPP)과 단위면적당 증발산량(Evapotranspiration, ET)의 비로 산출된다. 이전 연구들에서의 수분 이용효율의 적용은 수분 스트레스에 대한 작물의 생산성 차이 분석과 같은 작물학과 농림학 분야의 연구들이 대부분이었지만. 기후 변화가 생태계 생산성 또는 에너지 수지에 영향을 미치는 등의 전 지구적 규모의 수문학적 연구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영상자료에서 1km 해상도로 8일 단위의 총 일차생산성과 증발산량을 산정함으로써 수분 이용효율을 구하였다. 향후에는 산정된 이 지표를 남한지역에 적용하여 수분 이용효율에 대한 지도를 작성하고, 실측된 총 일차생산량과 증발산 값을 이용하여 검증한 후 알고리즘을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 PDF

Impact of arctic fire on the water cycle using GFED datasets and Community Land Model (화재 자료와 CLM 모형의 융합을 통한 화재의 극지방 물순환 영향)

  • Seo, Hocheol;Kim, Yeo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00-100
    • /
    • 2021
  • IPCC 5차 보고서에 따르면 지구 평균 기온상승은 저위도 보다 극지방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며 이러한 기후변화는 극지 생태계의 변화를 초래한다. 이러한 기후변화에 따른 극지 생태계의 변화를 분석 및 예측하기 위하여 지면-생태계 모형을 구축하고 극지방 생태계, 수문 및 탄소 순환 등을 모의하는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최근 극지 지역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하여 화재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극지 생태계뿐 아니라 물순환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하지만 지면-생태계 모형안의 화재 시뮬레이션은 화재의 원인 파악의 부족, 입력자료의 부족, 화재 역학 이해의 부족 등의 한계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2001~2012년 동안 위성에서 관측된 화재면적 자료인 Global Fire Emissions Database (GFED) v4 자료와 지면-생태계 모형인 NCAR Community Land Model (CLM)-biogeochemistry (BGC) 와의 실시간 융합을 통하여 기존 화재 시뮬레이션의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기존 CLM-BGC 모형을 통한 증발산량, 화재 자료-모형의 융합을 통한 증발산량 결과와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증발산량 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증발산량 모의에 화재의 중요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유출량 뿐만 아니라 토양수분의 변화를 시·공간적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화재가 극지방 물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극지방의 생태계 및 물순환을 모의하기 위하여 화재 시스템 구축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 PDF

MODIS-based crop coefficient as the indicator of drought index (MODIS 기반 작물 계수를 통한 가뭄 분석 가능성)

  • Park, Jongmin;Jeong, Jaehwan;Baik, Jongjin;Choi, Min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24-524
    • /
    • 2015
  • 식물의 작물 계수는 실제 증발산량과 잠재 증발산량의 비로 정의되어지며, 이 인자는 식생의 종류, 성장 단계 및 다양한 기후 조건에 따른 작물 재배를 위한 관개에 필요한 물의 양을 예측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지점 기반의 작물계수는 다음과 같이 FAO-56 Irrigation and Drainage에서 제시한 Single 과 dual crop coefficient 접근법을 활용하여 계산되어 진다. Single crop coefficient는 하나의 계수에 지표면에서의 증발 및 식생에서의 증산에 대한 영향을 모두 고려한 접근법이며, dual crop coefficient는 지표면에서의 증발 및 식생에서의 증산에 의한 효과를 각각 상이한 계수로 정의하여 그들의 합을 통해 작물계수를 추정되어진다. 이러한 작물계수는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를 위해서 광범위한 지역에 대한 작물 계수 산출 및 분석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지점 기반의 작물 계수는 공간적인 대표성을 갖지 못하기 때문에, 실제적인 적용을 위해서는 주변의 환경적 조건을 고려한 local calibration 작업이 추가적으로 수행되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시공간적인 연속성을 가지는 인공위성을 활용하여 작물 계수를 산정하였으며, 지점 기반 작물 계수와의 비교를 통해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인공위성 기반의 작물계수와 가뭄 분석에 널리 쓰이고 있는 식생상태지수 (Vegetation Condition Index) 와의 비교를 통하여 작물 계수를 통한 광범위한 지역에서의 가뭄 분석의 가능성 또한 분석하였다

  • PDF

Assessment of MODIS Leaf Area Index (LAI) Influence on the Penman-Monteith Evapotranspiration of SLURP Model (MODIS 위성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엽면적지수(LAI)가 SLURP 모형의 Penman-Monteith 증발산량에 미치는 영향 평가)

  • HA, Rim;SHIN, Hyung-Jin;Park, Geun-Ae;KIM, Seong-Jo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8 no.5B
    • /
    • pp.495-504
    • /
    • 2008
  • Evapotranspiration (ET) is an important state variable while simulating daily streamflow in hydrological models. In the estimation of ET, for example, when using FAO Penman Monteith equation, the LAI (Leaf Area Index) value reflecting the conditions of vegetation generally affects considerably. Recently in evaluating the vegetation condition as a fixed quantity, the remotely sensed LAI from MODIS satellite data is available, and the time series values of spatial LAI coupled with land use classes are utilized for ET evaluation. Four years (2001-2004) of MODIS LAI was prepared for the evaluation of Penman Monteith ET in the continuous hydrological model, SLURP (Semi-distributed Land Use-based Runoff Processes). The model was applied for simulating the dam inflow of Chungju watershed ($6661.3km^2$) located in the upstream of Han river basin. For four years (2001-2004) dam inflow data and meteorological data, the model was calibrated and verified using MODIS LAI data. The average Nash-Sutcliffe model efficiency was 0.66. The 4 years watershed average Penman Monteith ETs of deciduous, coniferous, and mixed forest were 639.1, 422.4, and 631.6 mm for average MODIS LAI values of 3.64, 3.50, and 3.63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