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루관

Search Result 5, Processing Time 0.02 seconds

Designing everyday clothing for children with gastrostomy tubes (위루관 사용 아동의 일상복 디자인 개발)

  • Dasom Yoon;Makhliyo Soatova;Sun-Hwa Kim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
    • v.32 no.5
    • /
    • pp.686-695
    • /
    • 2024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clothing that enhances comfort for children using gastrostomy tubes while maintaining a design that is no different from that of non-disabled children. The discomfort experienced by children with gastrostomy tubes wearing regular daily clothing was investigated through medical papers and blogs of their parents. The designs were then created to address the issu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Because the location of the gastrostomy tube is in the upper body, four types of clothing items were developed: one sweatshirt for boys, two one-piece dresses for girls, and one windbreaker suitable for both boys and girls. Considering practicality for children's clothing, cotton fabric was prioritized. For sweatshirts and windbreakers, a patched pocket with a dog pattern was placed over the area containing the gastrostomy tube to hide it. Frills were used to conceal the gastrostomy tube in one-piece dresses and designed to allow easy access for eating or disinfecting the area. This study aimed to address the challenges children with gastrostomy tubes face when wearing the regular daily clothes of non-disabled children while also offering aesthetically pleasing designs that enhance convenience for those using gastrostomy tubes. We believe this study will not only raise public awareness of disabilities but also inspire research on future clothing for both children and adults using gastrostomy tubes.

Percutaneous Gastrostomy Tube Reinsertion after Accidental Dislodgement Using Modified Seldinger's Technique (이탈된 위루관에 대한 투시경하 변형 Seldinger씨 방법을 이용한 경피적 위루관 재삽입술)

  • Kim, Joo-Hee;Kim, Seong-Min;Oh, Jung-Tak;Choi, Seung-Hoon;Hwang, Eu-Ho;Han, Seok-Joo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v.12 no.2
    • /
    • pp.251-256
    • /
    • 2006
  • This case report describes a baby who received a laparoscopic gastrostomy tube insertion, which was dislodged accidentally at $16^{th}$ postoperative day. After the dislodgement, cutaneous tract rapidly closed, and reinsertion seemed to be impossible. However, gastrostomy tube was reinserted safely with fluoroscopy-guided Seldinger's technique under local anesthesia with sedation. This is the unique method of modified Seldinger's technique for reinsertion of gastrostomy tube under local anesthesia and sedation for accidentally dislodged gastrostomy tube. This method was thought to be safe, easy and useful technique for gastrostomy reinsertion after dislodgement of gastrostomy tube.

  • PDF

Hypertrophic Pyloric Stenosis Occurring in Fasting State with Gastrostomy After Surgery for Esophageal Atresia with Tracheoesophageal Fistula (선천성 식도 폐쇄 환자에서 출생 후 위루관 삽입술과 계속적인 금식상태에서 근본수술 후 발생한 비후성 유문 협착증 - 1예 보고 -)

  • Jung, Eun-Young;Choi, Soon-Ok;Park, Woo-Hyun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v.17 no.1
    • /
    • pp.88-92
    • /
    • 2011
  • The onset of hypertrophic pyloric stenosis in the postoperative course of esophageal atresia with tracheoesophageal fistula is rarely reported. The diagnosis could be delayed due to its mimicking symptoms of othe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cluding gastroesophageal reflux or anastomotic stricture. We present an infant who had surgery for esophageal atresia with tracheoesophageal fistula. He had never fed since birth. The infant presented with an increased amount of orogastric tube drainage and consistently distended gastric air on simple abdominal X-ray. Abdominal ultrasonography showed hypertrophic thick pyloric muscle. The diagnosis of pyloric stenosis was confirmed d is rarely reported. The diagnosis could be delayed due to its mimicking symptoms of othe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cluding gastroesophageal reflux or anastomotic stricture. We present an infant who had surgery for esophageal atresia with tracheoesophageal fistula. He had never fed. The infant presented with uring surgery, After pyloromyotomy, the patient's condition improved.

  • PDF

Tracheoesophageal Fistula Due to Endotracheal Intubation: a case Report of Requiring Tracheal Reconstruction (기관상관후 발생한 기관식도루의 교정 1 례)

  • 신원선;곽영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0 no.6
    • /
    • pp.636-640
    • /
    • 1997
  • The common cause of tracheoesophageal fistula(T-I fistula) after tracheal intubation is ulceration and necrosis of the posterior wall of trachea by compression pressure generated by cuff. We experienced a young woman sustaining a T-I fistula which was found on the 12th day of intubation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Because spontaneous closure of the fistula is far uncommon, operative closure should be aimed for and should be done as soon as diagnosis is conformed. We delayed ope ative closure because of poor general condition of the patient. In spite of delayed reconstruction, the tracheal reconstruction itself was successful, but the patient died of peritonitis induced sepsis on the postoperative 41th day.

  • PDF

Therapeutic Endoscopy-related Gastrointestinal Bleeding and Thromboembolic Events in Patients Using Warfarin or Direct Oral Anticoagulant (와파린 및 새로운 경구용 항응고제를 복용하는 환자에서의 치료 내시경과 관련된 위장관 출혈 및 혈전색전증의 위험)

  • Na, Hee Kyong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
    • v.72 no.5
    • /
    • pp.271-273
    • /
    • 2018
  • 내시경 시술 전 일시적으로 항응고제를 중단하는 것은 위장관 출혈의 위험과 혈전색전증의 위험 사이에 적절한 균형을 잡기 어렵기 때문에 논란의 여지가 많다. 와파린은 새로운 경구용 항응고제(direct oral anticoagulant agent, DOAC)보다 임상의에게 더 친숙하고, 효과를 쉽고 빠르게 전환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복잡한 약역동학 특징과 좁은 치료적 범위 때문에 관리가 어렵다. 반면, DOAC는 약물의 모니터링 및 용량 조절 없이 정해진 용량으로 처방이 가능하며, 빠르게 작용하고, 반감기가 짧아 관리가 쉽지만 해독제가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전 연구들에서 DOAC를 복용한 환자들은 와파린을 복용한 환자들보다 시술과 관련되지 않은 위장관 출혈의 위험이 높았다고 보고한 바 있다. 하지만 시술과 관련된 위장관 출혈 위험에 대하여는 알려진 바가 없는 실정이다. 미국이나 유럽 내시경 가이드라인들에서는 저위험 내시경 시술을 받는 환자들에서는 와파린과 DOAC를 유지하도록 권고하고 있으며, 고위험 시술의 경우에는 와파린를 사용하는 환자들에서 헤파린 교량 요법(heparin bridging)을 시행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임상적으로 DOAC를 사용하는 환자들 또한 혈전색전증을 예방하기 위하여 헤파린 교량 요법을 시행해볼 수 있는데, 와파린 및 DOAC의 헤파린 교량 요법과 관련된 출혈 및 혈전색전증 위험의 차이 또한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저자들은 1) 와파린과 DOAC 치료를 받는 환자들에서의 출혈, 혈전색전증 및 사망의 위험을 비교하고자 하였으며, 2) 13종류의 고위험 내시경 시술 중에서 시술별 위험을 비교하고, 3) 헤파린 교량 요법이 합병증의 발생을 증가시키지 않는지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일본 대규모 국가 입원 환자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2014년 4월부터 2015년 5월까지 시술 전 와파린 또는 DOAC(rivaroxaban, apixaban, dabigatran, edoxaban)를 복용하고, 13종류의 고위험 내시경 시술을 시행받은 20세 이상의 성인 환자 총 16,977명을 확인하였다. 고위험 시술은 용종 절제술, 내시경 점막절제술, 내시경 점막하박리술, 협착 부위의 풍선확장술, 내시경 지혈술, 내시경 정맥결찰술, 내시경 주사 경화요법, 내시경 괄약근절개술, 내시경 초음파 유도하 미세침 흡인 검사, 경피적 위루술을 포함하였다. 일대일 성향 점수 매칭 분석(propensity score matching, 나이, 성별, 체질량 지수, 기저 질환, 병원의 규모, 시술의 종류, 약물의 종류를 매칭)을 시행하여 와파린군과 DOAC군에서 시술 위장관 출혈 및 혈전색전증, 사망의 발생을 비교하였다. 또한 경구항혈전제와 헤파린 교량 치료 시행 유무에 따라, DOAC 단독군, 와파린 단독군, DOAC와 헤파린 교량 요법군, 와파린과 헤파린 교량요법군으로 나누어, 하위군(subgroup) 분석을 시행하였다. 5,046쌍이 성향 점수 매칭 분석에 포함되었으며, 와파린군에서 DOAC군보다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위장관 출혈의 비율이 높았다(12.0% vs. 9.9% p=0.02). 혈전색전증 발생률(5.4% vs. 4.7%)과 입원중 사망률(5.4% vs. 4.7%)은 양 군에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DOAC 종류별로 나누어 하위군 분석을 시행하였을 때, 와파린군은 rivaroxaban군에 비하여 위장관 출혈의 비율이 높았으며, rivaroxaban군, dabigatran군에 비하여 혈전색전증의 비율이 높았고, 입원 중 사망률에서는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내시경 시술의 종류로 보정하였을 때 위장관 출혈 및 혈전색전증, 사망률은 DOAC 단독으로 치료한 환자에서보다 와파린과 헤파린 교량 요법(bridging) 또는 DOAC과 헤파린 교량 요법을 시행한 환자에서 높았다. 시술 종류 중에서는 위루관 삽입술에 비하여 내시경 점막하박리술, 내시경 점막절제술 및 내시경 정맥류결찰술, 내시경 주사경화요법을 시행한 환자에서 위장관 출혈의 위험이 가장 높았으며, 하부 내시경 점막절제술, 하부 용종 절제술, 내시경적 유두괄약근절제술 또는 내시경 초음파 유도하 미세침 흡인 검사는 중등도 위험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