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웹 2.0 패러다임

Search Result 38,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A Study on Public Sector Information Services in the Government 2.0 Era (거버먼트 2.0 기반의 공공정보서비스에 관한 연구 - 국내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

  • Kim, You-Seung;Jeon, Jin-H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11 no.1
    • /
    • pp.47-66
    • /
    • 2011
  • An exclusive monopoly on public sector information has been faced with dramatic changes. The movement of Government 2.0, which is described as meeting of Web 2.0 technologies and public services, provides a new paradigm for public information services, and spreads rapidly into many western countries. However, due to the absence of domestic Government 2.0 cases, our academic discussion on Government 2.0 ends up in the introduction of oversea cases and in a theoretical diagnosis. In the context, this study focuses on the first two cases of Government 2.0 in South Korea; Gwacheon Parliament's 'Local Parliament 2.0' and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s 'Seoul Education 2.0' along with theoretical debates on concepts of public sector information and Government 2.0. The case study reveals the role of Freedom of Information Center not only as a think tank, but also a policy coordinator for implementing Government 2.0 movements. As a conclusion, the study presents elements for public sector information services and proposes a planning model of Government 2.0.

A Study on SNS Records Management (기록관리 대상으로서 SNS 연구)

  • Song, Zoo-Hyung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39
    • /
    • pp.101-138
    • /
    • 2014
  •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and meaning of SNS as the hot topic of our time from the archival perspective and also studied the 'SNS records management'. The many users mean a high accessibility and utilization of SNS, which increase the influence and value of SNS as a record. Politically, SNS is a tool that strengthens the communication among the voters, politicians and the public while economically, it is a window to accept the complaints of the customers and a marketing tool. In addition, the voices of social minorities are also recorded unlike in the traditional media, which makes the SNS record a method to gain the social variety and diversity. SNS is a place of formation of collective memory and collective memory itself. Furthermore, it can play the role of public sphere. It also is a place for generation of 'big data' in an archival sense. In addition, this study has classified the SNS records management into primary and secondary management that include record management entities, subjects, periods, methods, and causes. This study analyzed the history, status, and the meaning of SNS to assess the values and meanings as the preliminary study for the future SNS record management studies.

An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Use Social Network Services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Kim, Jongki;Kim, Jinsung
    • Informatization Policy
    • /
    • v.18 no.3
    • /
    • pp.25-49
    • /
    • 2011
  • As a way to gather diverse information required for everyday living, the importance of social networks has been growing. Social network services have been spreading rapidly because of diffusion of the Internet, evolution of social network sites, and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social networks. Recently, the social network service has been evolved based on a new paradigm, Web 2.0, pursuing participation and openness. Following the adoption of Web 2.0 technologies, the social network service allows users to make and maintain new relationships in a more convenient way. Users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tend to reveal their personal information, and share their ideas and content with other people; in the process they become aware of their existence, feel satisfaction with life and exert influence to others as a member of the society. This study uses higher order factor analysis to analyze factors that affect the intention of using the social network service. A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with second-order factors including perceived social presence, perceived gratification and perceived social influence. First-order factors are grouped by technical, individual and social factors. Smart PLS 2.0 was used to conduct empirical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supported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model.

  • PDF

Reconstruction of e-Learning Contents based on Web 2.0, and the Level Diagnosis (Web 2.0 기반 e-러닝 콘텐츠 재구성 및 수준 진단)

  • Lim, Yang-Won;Lim, Han-Kyu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7
    • /
    • pp.429-437
    • /
    • 2010
  • As Web technology and functions have recently changed to a user-focused paradigm, new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construct dynamic learning content that enables the learner's participation and continuous learning in the field of e-learning research and design. This paper covers a study on the degree of difficulty in learner-focused dynamic learning contents to provide efficient learning environments for its adaptation to e-learning 2.0. This study suggests DLA (Dynamic Level Adjustment) to provide learner-focused contents. The suggested system will be a guideline to control and adopt learning content that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environmental change, and more in-depth future research can be performed by using the system. A dynamic learning content model was made to recognize various learning patterns of learners as a result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Factors affecting participation and achievement in wiki-based online learning (위키 기반 협력학습에서 자기효능감과 위키에 대한 불안이 참여도 및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Lim, Kyu Yon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5 no.6
    • /
    • pp.65-74
    • /
    • 2012
  • Wiki is an online-based collaborative tool, and has been frequently used more recently as it realizes the paradigm of web 2.0 in educational context. Especially, wiki promotes collaborative knowledge building which is the major interest of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academic self-efficacy, self-efficacy for group work, wiki anxiety, participation in wiki activity, and learning achievement. Fifty nine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wiki activity, and the data from fifty three were used for the multiple regression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reported that academic self-efficacy and wiki anxiety affected participation in wiki activity, and these two variables also had indirect effects on learning achievement, mediated by participation.

  • PDF

A Conceptual Framework for Knowledge Enhanced E-government Portal (지식강화 전자정부포털의 개념적 프레임워크)

  • Kim, Sun-Kyung
    • Informatization Policy
    • /
    • v.20 no.2
    • /
    • pp.39-59
    • /
    • 2013
  • Majority of knowledge management(KM) studies in e-government have been confined to facilitate KM within an organization. But due to citizen-centric(citizen-driven) paradigm shift and advance of web 2.0 communication in recent years, KM between governments and citizen in e-government portals is becoming an important consideration. So a series of studies on knowledge enhanced e-government portal get under way by considering that it is necessary to enhance knowledge of e-government portal and assuming it improves the usability of portal. While the topics of knowledge enhancement and e-government(portal) are widely discussed in their own domains there is a paucity of studies that address these constructs in a joint context. This paper aims to propose conceptual framework of knowledge enhanced e-government portal through structuralization of theoretical discussion with holistic approach. This framework presents an evolutional path of knowledge enhanced e-government portal that consists of three phases and it will be used for realizing the knowledge enhanced portal project as a basic reference model.

  • PDF

A Scalable Index for Content-based Retrieval of Large Scale Multimedia Data (대용량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내용 기반 검색을 위한 고확장 지원 색인 기법)

  • Choi, Hyun-HWa;Lee, Mi-Young;Lee, Kyu-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726-730
    • /
    • 2009
  • The proliferation of the web and digital photography has drastically increased multimedia data and has resulted in the need of the high quality internet service based on the moving picture like user generated contents(UGC). The keyword-based search on large scale images and video collections is too expensive and requires much manual intervention. Therefore the web search engine may provide the content-based retrieval on the multimedia data for search accuracy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distributed index structure based on multiple length signature files according to data distribution. In addition, we describe how our scalable index technique can be used to find the nearest neighbors in the cluster environments.

  • PDF

'Collective intelligence Structure' Analysis (지식 생산 방식에 따른 집단지성 구조 분석 -네이버 지식IN과 위키피디아를 중심으로-)

  • Han, Chang-Ji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1363-1373
    • /
    • 2009
  • 본 연구는 두 집단지성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인 네이버 지식iN과 위키피디아의 구조적, 경험적 차이를 바탕으로 생산의 차원에서 생산 주기, 생산 참여자, 생산물의 모델을 설정하고, 새롭게 탄생하는 지식을 중심으로 검증함으로써 최종 지식 소비 행위를 반영한 각각의 종합모델을 도출하였다. 우리는 웹에서 집단지성의 일상화를 확인할 수 있다. 지식 획득 매체가 매스미디어에서 인터넷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등장한 포털 및 검색사이트는 지식의 생산이 전문가패러다임에서 소비자 중심으로 재편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그리고 이러한 생산 방식의 변화는 '지식'의 개념 역시 변화시키고 있다. 즉, 집단지성이라는 새로운 웹2.0의 현상이 지식생산방식을 변화시키고 변화된 지식생산방식은 '지식'자체를 변화시킨다는 이론적 가설을 도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새로운 현상들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먼저 보다 엄밀하게 집단지성의 개념을 규정할 필요성에 출발하였다. 현재 집단지성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면서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위키 방식의 인터넷 서비스와 지식검색 방식의 인터넷 서비스를 비교함으로써 보다 정교한 집단지성의 모델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위키형 집단지성과 지식검색형 집단지성의 차이점은 경험적으로도 뚜렷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경험적 차이와 기존의 문헌에서 밝혀진 사실들을 바탕으로 두 서비스의 지식생산 방식을 생산플로우, 생산참여자 성향, 생산물(지식)의 성향과 같이 세 영역으로 나누어 각각의 가설 모델을 설정하고 이 모델을 선정된 질의어를 바탕으로 검증한 뒤에 최종적인 모델을 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지식검색형 집단지성은 '질문-답변-채택'의 구조이고, 그 구조 속에서 '질문기-답변기-순서화기'를 거쳐 하나의 지식 덩어리인 'K-let'을 생산한다. 생산된 'K-let'들은 지식검색서비스의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고, 이는 공통된 질의어를 기준으로 소비자들에 의해서 검색되어 소비된다. 하나의 질문에 대해 여러 개의 답변들이 존재하고, 답변자의 성향은 크게 전문성과 체계성을 바탕으로 한 전문가형 답변자와 경험적이고 의견지향적인 대화형 답변자로 나눠진다. 다수의 네티즌들의 참여에 의해서 지식의 생산이 진행되므로 질문의 성향 역시 사실, 의견, 경험 등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지는 모델로 설정하였다. 반면에 위키형 집단지성은 개방형 플랫폼을 바탕으로 한 백과사전의 형식이며, 이러한 형식 속에서 최초의 개념어 등록과 다수의 편집활동을 거치면서 완성되지 않는 하나의 아티클인 'W-let'을 생산한다. 이러한 'W-let'은 생성 초기에 소수에 의한 활발한 내용 입력 활동으로 어느 정도의 안정화를 거친 후에는 꾸준한 다수의 수정활동을 통해서 'W-let'의 생명력을 유지함으로써 지식의 실제적인 변화를 반영한다. 생산된 'W-let'들은 위키형 집단지성 서비스의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고, 이것들은 내부링크를 통해서 모두 연결되어 있다. 백과사전 형식으로 하나의 개념어를 설명하는 하나의 아티클은 오로지 사실적인 지식들로만 구성되나 내부링크와 외부링크를 통해서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지는 모델로 설정하였다. 위와 같이 설정된 모델을 바탕으로 공통된 질의어 및 개념어를 선정하여 각각의 서비스에 노출시켰다. 이를 통해서 얻어진 각 서비스의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모든 데이터들 중에서 일정한 기간을 기준으로 각각의 모델 검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그 결과 지식검색형 집단지성에서는 '질문-답변-채택'의 생산 구조 속에 다수가 참여하여 질문-채택답변-기타답변으로 배열되어 있는 완성된 형태의 K-let들을 지속적으로 생산하며 비슷한 성향을 가진 K-let들이 반복적으로 생산되어 지식검색 데이터베이스에 누적된다. 지식 소비자들은 질의어 검색을 통해서 다양한 K-let들을 선택하여 비교, 검토한 후에 선택된 K-let들의 배열은 해체되어 소비자들에 의해서 재배열됨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지식검색형 집단지성이란 다수의 의해서 생산되고 누적된 지식들이 소비자의 검색과 선택에 의해 해체되어 재배열되는 지식의 맞춤화 과정이라고 정의내릴 수 있었다. 반면에 위키형 집단지성에서는 '내용입력-미세수정' 구조 속에서 생명력 있는 W-let을 생성한다. W-let은 백과사전처럼 정리되어 내부링크를 통해서 서로 연결되고, 외부링크를 통해 확장되고, 지식소비자들은 검색을 통해 최초의 W-let에 도달한 후에 링크를 선택함으로써 지식을 확장시킴을 검증할 수 있었다. 따라서 위키형 집단지성이란 다수의 의해서 생산되고 정리된 지식들이 소비자의 검색과 링크에 의해 무한히 확장되는 지식의 확대 재생산되는 과정이라고 정의 내릴 수 있다. 결국, 현재의 집단지성이란 지식이 다수의 참여로 생산됨으로써 개인에게 맞춤화되고, 끊임없이 확대 재생산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러한 집단지성의 방식은 지식이라는 현재의 차원을 넘어서 정치, 경제를 비롯한 사회의 전 영역으로 점차적으로 확대되어갈 것이다. 앞으로 연구들은 두 가지 모델이 혼재되어 있는 현재의 집단지성이 어떠한 새로운 모델을 만들면서 다른 영역으로 확장되어갈 것인지에 대해서 초점을 맞춰 나가야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