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웹 통계

검색결과 405건 처리시간 0.026초

대학생들의 웹 기반 OPAC 검색기법 선호도와 혈액형에 대한 실험적 연구 (College Students' Preferences of Web-based OPAC Retrieval Techniques and their Blood Types: An Empirical Study)

  • 김희섭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81-102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웹 기반 OPAC 검색기법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고 더불어 ABO식 혈액형에 따른 검색기법 선호도의 차이가 있는지를 실험적 연구를 통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데이터 수집은 자체개발한 설문지를 통하여 이루어졌고, K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재학생 101명으로부터 응답을 받았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Windows Ver. 17.0을 사용하여 검색기법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기술통계를, 혈액형에 따른 검색기법의 선호도를 분석을 위해서는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각각 사용하였다. 데이터분석 결과 대학생들은 접근점으로 자료명을, 블리언 연산자로는 AND를, 제한검색으로는 발행연도와 주제분류를, 결과출력으로는 페이지당 출력건수 제한검색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검색기법 선호도와 서로 다른 ABO 혈액형 유형간의 차이에 대한 가설검정결과 전체 22가지 항목 중 3가지 항목이 채택되었다.

TTT 타점법을 이용한 웹서버 파일 분포의 후미성 분석 (A Analysis of Heavy Tailed Distribution for Files in Web Servers Using TTT Plot Technique)

  • 정성무;이상용;장중순;송재신;유해영;최경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0A권3호
    • /
    • pp.189-198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TTT 타점법을 이용하여 웹 서버가 서비스하는 파일의 크기에 대한 통계적 분포는 꼬리부분이 두꺼운 분포라는 것을 판단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TTT 타점법은 신뢰성 공학에서 사용되는 방법으로써 TTT 통계량 타점결과의 직선성으로 지수분포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모의실험과 실제 운영중인 웹서버의 자료를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기존의 방법인 Hill 추정법과 LLCD 타점법에 비하여 후미성을 정확하게 판단하고 있으며, 판단의 효율성 면에서도 그들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제안하는 방법은 기존의 방법이 웹서버의 파일 분포판정이나 통계학에서의 파레토 분포 판정시 나타날 수 있는 판정의 오류 가능성을 개선할 수 있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디자인 패턴을 이용한 웹기반 통합설비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Integrated Manufacturing Management System using Design Patterns)

  • 김경종;순현순;김길천;심춘보;유강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80-583
    • /
    • 2009
  • 철강 및 제조분야의 생산과 물류의 글로벌화를 위해 생산정보화 시스템에서 접근성 용이와 생산공정 라인의 변화와 시스템 확장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의 최소화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 간의 통합이나 업무 확장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을 감소시키고 시스템 사용자의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객체지향의 디자인 패턴 기법 적용하여 설계하고 JSP를 이용하여 웹 기반 통합설계 관리 시스템을 구현한다. 아울러 제안된 MES 시스템은 세부적으로 설비마스터 코드관리, 설비관리, 점검관리, 수리관리, 고장관리, 통계관리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 PDF

웹 스크래핑 및 텍스트마이닝에 기반한 중소규모 건설현장 사고유형 분석 (Analysis of accident types at small and medium-sized construction sites based on web scraping and text mining)

  • 윤영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609-615
    • /
    • 2024
  • 건설업의 사고사망자 수는 402명으로 전체 산업의 약 46%이다. 이 중 50억원 미만의 건설현장이 약 69%를 차지하고 있어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안전관리 강화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웹 스크래핑을 이용하여 19,511건의 사고조사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정형 데이터에 대한 통계분석, 비정형 데이터에 대한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통해 50억원 미만의 현장의 공사금액별 사고유형과 사고원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공사금액별로 사고유형과 원인에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중소규모 건설현장 맞춤형 안전관리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웹 기반 학습에 있어서 공간 지각력과 정보제공 창의 형태 간의 관계 분석 (A STUDY OF SPATIAL ABILITY AND WINDOW PRESENTATION STYLES IN WEB-BASED INSTRUCTION)

  • 임연욱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649-659
    • /
    • 2005
  • 공간적 표현에 대한 지식은 공간적 배열의 특징과 그 특징들 사이의 관계를 그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인지하는 방식과 연관이 있는 바, 본 연구에서는 웹기반 교육에 있어서 두 가지의 정보제공 창의 형태(타일창, 단일창)를 학습자의 공간지각력과 연관지어서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공간지각력과 정보제공 창의 형태에 대한 상호작용을 학생들의 인지적 지식의 습득도를 통해 조사, 연구하기 위해 미국 펜실베니아 주의 Falk School에 재학 중인 71명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공간지각력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두 실험 집단으로 나누어 과학내용에 관한 웹기반 수업을 실시하였다. 사후검사를 통해 학생들의 인지적 지식의 습득도가 측정되었고 이는 다변량 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한 바에 의하면, 공간 지각력은 사후 검사 점수에 명백하게 통계적으로 유의한 주효과를 보였다. 이 같은 결과는 전체표본과 부표본에서 모두 나타났다. 웹 기반 학습에서의 아동들의 인지적 지식의 습득도는 그들의 공간지각력과 정(+)의 관계가 있으며, 공간지각력과 정보 제공 창의 형태 사이에 상호 작용의 패턴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웹 기반 학습에 있어서 공간지각력이 낮은 학생들은 타일창에서 인지적 지식의 습득도가 더 높게 나타났고 공간지각력이 높은 학생들은 단일창에서 인지적 지식의 습득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 PDF

웹기반 시뮬레이션 수행 데이터 검색 API 설계 (Design of Retrieval API to Analyze Web based Simulation Execution Data)

  • 정영진;서정현;유정록;진두석;이준형;이종숙;조금원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08-710
    • /
    • 2013
  • 네트워크 및 인터넷 서비스의 발달로 초고속 컴퓨팅 자원을 쉽게 활용하여 실세계의 여러 물리적 현상을 분석할 수 있는 웹기반 시뮬레이션 서비스가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보다 편리한 시뮬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 데이터 분석을 통해 서비스를 개선할 수 있다. 특히 분석하는 전문가에 따라 필요한 정보가 다르기 때문에 편리한 데이터 검색을 위해 API를 설계한다. 이 논문에서는 열유체 및 화학분야에 사용된 웹 기반 시뮬레이션 수행 데이터를 사용자가 쉽게 분석할 수 있는 검색 API를 설계한다. 설계된 검색 API는 사용자,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사이버랩(cyberlab) 정보를 중심으로 사용자, 사용기간, 소속에 따른 시뮬레이션 수행 내역을 손쉽게 검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 API를 활용하여 웹 시뮬레이션 통계 서비스, 시뮬레이션 수행 경향 분석, 자주 발생하는 오류 파악, 등 사용자가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기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PDF

학교 교육과정 편성을 위한 오픈 소스 온라인 설문조사 시스템 Limesurvey 활용 방안 (A Study on Limesurvey in the Form of Open Source Online Survey System for Curriculum Organizing)

  • 한기순;전석주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1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91-101
    • /
    • 2011
  • 본 연구는 학교 교육과정 편성을 위한 학부모, 교사, 학생, 지역사회의 요구와 의견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이를 분석하여 학교 교육활동 및 운영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온라인 설문조사 시스템 구현을 그 목적으로 한다. 온라인 설문조사 시스템은 프로그램 설치 비용이나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오픈소스 설문조사 프로그램 Limesurvey을 기반으로 구현하도록 한다. Limesurvey는 설문조사를 위해 별도의 프로그램 개발 없이도 사용 가능하며 웹기반 템플릿 시스템 형태로 전체 디자인과 레이아웃을 제공하고 설문결과에 대한 기본적인 통계 분석 자료도 제공해 준다. 또한 Limesurvey는 웹호스팅에 간단히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DB정보만을 입력하여 실행 가능하다. Limesurvey는 통계 결과를 간단히 그래프화 시킬 수 있으며 HTML, Word, Excel, CSV File, PDF 파일 형태로 저장 가능하고 SPSS나 PASW, R data등 다른 통계 처리 프로그램 위한 기본 데이터로도 저장이 가능하다. 초등학교 현장에서 교육과정 편성 기초조사 단계나 평가단계에서 활용되는 설문조사 시스템은 학교 홈페이지 운영업체나 기업에서 제공하는 상용화 프로그램을 이용하거나 회원가입을 통한 제한적인 형태의 온라인 설문조사 시스템을 운영할 수 밖에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오픈소스 기반 형태의 Limesurvey 설문조사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면 통제처리에 대한 교사의 업무를 경감시킬 수 있으며 오프라인 수집 형태의 설문조사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고차원 대용량 자료의 시각화에 대한 고찰 (A study on high dimensional large-scale data visualization)

  • 이은경;황나영;이윤동
    • 응용통계연구
    • /
    • 제29권6호
    • /
    • pp.1061-1075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고차원 대용량 자료의 시각화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이에 대하여 개발된 방법들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고차원 자료의 경우 2차원 공간상에 표현하기 위하여 중요 변수를 선택해야하며 다양한 시각적 표현 속성과 다면화 방법을 이용하여 좀 더 많은 변수들을 표현할 수 있었다. 또한 관심있는 뷰를 보이는 낮은 차원을 찾는 사영추정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대용량 자료에서는 점들이 겹쳐지는 문제점을 흩트림과 알파 블렌딩 등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었다. 또한 고차원 대용량 자료의 탐색을 위하여 개발된 R 패키지인 tabplot과 scagnostics, 그리고 대화형 웹 그래프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R 패키지들을 살펴보았다.

웹 기반 네트워크 트래픽 분석 시스템 (Web-Based Network Traffic Analysis System)

  • 최재원;전환식;배진호;송용주;배진우;김태수;이광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673-676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트래픽 분석은 물론 자원을 관리하고 서버 및 특정 서비스에 대하 분석 자료를 제공하는 통합 시스템을 자바 언어로 구현하였다. SNMP 지원 모듈과 TCPdump 모듈, 그리고 시스템 관리 명령 모듈 등을 이용하여 구성 관리, 성능 관리, 장애 관리 및 시스템 자원 관리와 같은 상세 정보의 제공과 함에 다양한 자료 수집과 통계 분석을 통해 상세 보고서를 생성한다. 뿐만 아니라, 관리 대상 범위를 도메인 별로 구분하여 자료 수집을 독립시킴으로써 관리를 위한 트래픽이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설계하였고, 실시간 모니터링은 물론 DB 에 최소화된 자료를 유지함으로써 네트워크 및 시스템에 대한 영속적인 관리 및 통계가 가능하도록 하여 운영의 항구성과 안정성, 분석의 정확성과 일치성, 사용의 편의성과 효용성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PDF

지지벡터기계를 이용한 스팸 블로그(Splog) 판별 시스템 (A Splog Detection System Using Support Vector Systems)

  • 이성욱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63-168
    • /
    • 2011
  • 블로그는 인터넷 공간에서 가장 손쉽게 정보 출간, 토론 참여, 커뮤니티 형성하는 수단이다. 그러나 최근에 광고를 유치하거나 페이지 순위를 올리기 위한 목적의 다양한 스팸 블로그가 범람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웹 환경에서 이러한 스팸 블로그(Splog)를 자동으로 판별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먼저 블로그의 HTML을 제거한 후 품사를 부착하였다. 어휘/품사 쌍을 자질로 사용하였으며 카이제곱 통계량을 이용하여 유용한 자질을 선택하였다. 선택된 자질의 가중치를 벡터로 표현한 후, 지지벡터기계(Support Vector Machines)를 학습하여 자동으로 스팸 블로그를 판별하는 시스템을 제안하였으며, SPLOG 데이터 집합으로 실험한 결과 F1척도로 90.5%의 정확률을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