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월동난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3초

멸구 매미충의 기생성 천적에 관한 연구 I. Anagrus nr. flaveolus의 멸구류 난기생에 관하여 (Studios on the Parasites of the Rice Planthoppers I. Egg Parasitism Anagrus nr. flaveolus WATERHOUSB (Hymenoptera : Mymmaridae) on the Rice Planthoppers)

  • 김정부;유창영;김창효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87-94
    • /
    • 1982
  • 본 시험은 수도 멸구류의 난기생봉인 Anagrus nr. flaveolus의 월동후 반휴에 있어서 기생활동시기와 맥전에 있어서 기생율, 기주범위 그리고 본답에 있어서 기생활동등에 관하여 1977년부터 1979년까지 경남 진주에 위치한 본 시험국 시험포장을 중심으로 실시한 것으로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반휴에 있어서 Anagrus nr., flaveolus의 월동후 기생활동은 4월상순에 가장 활발 하였으나 4월중 이후는 맥전으로 이동됨에 따라 현저히 감소되었다. 2. 맥전에 있어서 Anagrus nr. flaveolus의 애멸구 (Laodelphax striatellus F.)의 난에 대한 기생율은 애멸구 산란 최성기인 4월 중하순경에 $47.2\~88\%$였다. 3. 본답에 있어서 A. nr. flaveolus의 기생범위은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 F.), 흰등멸구(Segatella furcifera H.) 및 벼멸구(Nilaparvata lugens S.)였으며 그 중에서 애멸구난에 대한 기생율이 가장 높았다. 4. 본답에 있어서 기생활동은 7월상순과 8월하순$\~$9월상순 사이에 가장 활발하였으며 농약을 많이 살포하는 시기인 7월$\~$ 8월은 살충제 무살포답이 살포답에 비하여 기생율이 현저히 높았으며 10월 이후부터 월동전까지는 반휴에서 기생활동이 활발하였다.

  • PDF

도토리나방(나비목, 솔나방과)의 생활사 (Life cycle of Kunugia yamadai Nagano (Lepidoptera, Lasiocampidae) in Korea)

  • 박철하;변봉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73-76
    • /
    • 1997
  • 본 연구는 최근 1987부터 1989년까지 충북 충주일대의 참나무림에 극심한 피해를 일으켰던 도토리나방의 생활사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결과 도토리나방은 년 1세대 발생하였고 기주식물로는 상수리나무, 밤나무, 졸참나무, 갈참나무 등이 재 확인되었으며 떡갈나무와 굴참나무가 새로이 추가조사되었다. 본 종은 난으로 월동하여 이듬해 4월 말경부터 부화하여 약 3개월 동안 참나무류를 식해하였다. 8월 중순에 노숙유충은 땅으로 내려와 수풀이나 지피물사이에 고치를 틀고 용화하였다. 성충은 9월 말부터 10월 말에 걸쳐 우화하며 대부분이 10월 중순경에 우화하였다. 산란은 대개 기주식물의 지상과 131 cm정도 높이의 수피틈이나 거친부분에 난괴상태로 산란하며 난괴당 평균 난수는 121개 정도 였다.

  • PDF

제주지역에서 버뮤다그라스 및 바히아그라스의 생육특성 및 사초생산성 평가 (Evaluation of Characteristics and Forage Production for Bermudagrass (Cynodon dactylon) and Bahiagrass (Paspalum notatum) in Jeju)

  • 박형수;박남건;김종근;최기춘;임영철;최기준;이기원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1-138
    • /
    • 2012
  • 본 연구는 제주지역에서 난지형 목초의 도입을 위한 버뮤다그라스와 바히아그라스의 생육특성 및 사초생산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국립축산과학원 난지축산시험장 조사료 시험포장 (해발 200 m)에서 2007년 4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수행하였다. 난지형 영년생 화본과 목초인 버뮤다그라스 "Common", "제주 자생형 (Ecotype)" 품종과 바히아그라스 "Argentine", "Tifton 9" 품종을 2007년 4월 22일에 파종하였다. 버뮤다그라스의 출현일은 5월 8일로 파종 후 16일정도 소요되었으며 바히아그라스는 파종 후 24~28일 정도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수기는 버뮤다그라스 Common은 5월 28일, 바이하그라스 Tifton 9은 7월 4일에 출수기에 도달하였다. 버뮤다그라스의 3년간 평균 건물수량은 Common이 16,749 kg/ha으로 Ecotype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바히아그라스에 있어서는 Tifton 9이 23,695 kg/ha으로 Argentine 보다 높게 나타났다. 조단백질 함량은 버뮤다그라스의 Ecotype이 13.8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ADF 함량은 버뮤다그라스 common이 27.97%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 가소화영양소 (TDN) 함량은 버뮤다그라스가 65.48%로 바히아그라스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in vitro 건물소화율은 각각 70.90%, 70.44%로 두초종이 모두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제주지역에서 버뮤다그라스와 바히아그라스는 월동이 가능하여 여름철 조사료자원으로 활용이 가능하고 또한 지하경과 포복경을 가지고 있어 말의 제상에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여름철 방목용 초종으로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유자에서 귤응애의 발생소장, 온도별 발육특성 및 방제밀도별 피해정도 (Population Fluctuation, Developmental Character of Panonychus citri and Damage Degree as its Control Density on Young Yuzu (Citrus junos))

  • 최덕수;김규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93-198
    • /
    • 1998
  • 유자(Citrus junos T.) 과원의 주요 해충의 귤응애(Panonychus ?갸 M.)의 발생소장, 온도별 발육기간, 산란수, 부화율 및 유자유목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1996년부터 1997년까지 2년간 조사한 결과, 귤응애는 5월부터 11 월까지는 발생하였는데 년 2회의 발생최성기를 이루었다. 1차 발생최성기는 7~8월이고, 2차발생최성기는 10월이었다. 2차 발생최성기에는 잎당밀도 9.5마리로 연중 최대발생량을 보였다. 유자 잎에서 귤응애의 각 태별 구성비는 난, 약충, 성충이 각각 85, 9, 6%로 난의 비율이 월등히 높았다. 15, 20, 25, $\pm$1$^{\circ}C$(RH 60 $30\pm$10%, 14L-10D)의 항온조건에서 난부터 성충까지 발육기간은 각각 41.1, 15.5, 11.0, 9.4일이고 성충수명은 23.3, 8.3, 6.3, 6.1일로 온도가 높을수록 발육기간과 성충수명은 짧아지는 경향이고 부화율은 $30^{\circ}C$에서 94.7%로 가장 높았다. 일평균 산ㄹ나수는 $25^{\circ}C$에서 4.5개로 가장 많았다. 또, 귤응애 방제밀도에 따른 유자유목의 생육상황은 방제밀도가 낮을수록 간주 및 수관용적 증가량이 많았고 엽록소함량도 많았다. 월동후 낙엽율은 1, 3, 6마리/잎, 무방제에서 각각 13.5, 20.6, 53.1, 72.6%로 잎당 성충밀도 3마리 이하에 방제하는 것이 낙엽율이 낮았다.

  • PDF

국내 단감원에서 식나무깍지벌레의 계절적 발생과 화학적 방제 (Seasonal Occurrences and Chemical Control of Oyster Scale, Psuedaulacaspis cockerelli (Hemiptera: Diaspididae) in Sweet Persimmon Orchards in Korea)

  • 정부근;이흥수;강동완;권진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97-105
    • /
    • 2017
  • 단감원에서 식나무깍지벌레의 발생을 최소화하고자 시기별 발생특성과 우수 방제약제를 선발하였다. 가지에서 월동한 약충이나 암컷 깍지는 9월 중순경에 교미 후, 월동에 들어가며 다음 해 봄철에 기온상승과 더불어 포란과 산란의 과정을 거쳐, 5월 중하순까지 산란을 마친 후 죽었다. 수컷은 대부분 9월 말까지 우화하여 암컷과 교미하고 죽었으나 낙엽에서 월동하는 개체의 경우 모두 사멸하였다. 식나무깍지벌레의 산란 특성은 매년 기상상황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4월 중순부터 5월 중 하순까지 산란하고, 5월 초 중순에 산란 최성기를 보였다. 산란 량은 160개 정도로 추정되며, 산란 최성기로부터 약 1주일 경과 후 부화 최성기를 보였다. 여름철에는 7월 초 중순에 시작하여 8월 중 하순까지 산란하고, 7월 말과 8월 초에 산란 최성기에 도달하며, 암컷 한 마리당 산란수는 봄철보다도 다소 적은 130개 정도이고, 난 기간은 약 4일로 추정되었다. 가는 가지에서 월동한 성충이 산란한 알로부터 부화한 1세대 약충은 가지와 잎에서 각각 10%, 90% 정도의 비율로 관찰되었다. 가는 가지에서 대부분 암컷 깍지로 발육하고 2009년 7월 27일 2세대 약충 발생 최성기에 도달한 다음 8월 중 하순경부터 월동처로 정하고 살아간다. 암컷과 수컷 깍지는 8월 이전까지 잎에서 거의 비슷한 비율로 발육하다가, 2009년 8월 12일 이후 잎에서 수컷의 약충 발생 최성기를 시작으로 8월 27일 수컷 깍지벌레 발생 최성기, 9월 14일 전후로 수컷 성충의 발생에 이르기까지 일관된 발생관계를 관계를 보여주었다. 8월 12일 잎에서 관찰되는 약충 중 75% 정도는 발육하여 수컷으로 우화하여 교미하고 죽는 것으로 나타났다. Buprofezine+dinotefurn (20+15) WP로 6월 9일과 16일 2회 방제하고 7주 후에 생사충을 판정한 결과 방제가가 90.6%로 나타났다.

온실가루이의 저온장애에 관한 연구 (Effects of Low Temperature on the Development of Greenhouse White Fly, Trialeurodes vaporariorum (Westwood) (Homoptera: Aleyrodidae))

  • 최광열;박중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33-236
    • /
    • 1983
  • 시설원예의 중요해충인 온실가루이의 국내에서의 정착가능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된 각태별 저온처리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난은 $-5^{\circ}C$, 3시간처리에서 부화율이 현저히 떨어졌으며 $-10^{\circ}C$, 3일간처리에서 부화능력을 완전 상실하였다. 2. 유충은 $-5^{\circ}C$, 3일간처리에서 용화율이 현저히 떨어졌으며 $-20^{\circ}C$, 3일간처리에서 용화능력을 완전상실하였다. 3. 용은 $-15^{\circ}C$, 3일간처리에서 우화율이 현저히 떨어졌으며 $-20^{\circ}C$, 3일간처리에서 우화능력을 완전상실하였다. 4. 성충은 $-7.5^{\circ}C$ 3일간처리에서 생존율이 현저히 떨어졌으며 $-10^{\circ}C$, 3일간처리에서 완전사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보아 국내의 중남부지역에서는 용태로 월동이 가능하고 제주도 및 남해안지역에서는 각태모두 월동이 가능할 것으로 고려된다.

  • PDF

중남부지역 적응 내한 다수 조사료용 월동귀리 신품종 '광한' ('Gwanghan', A New Forage Winter Oat Cultivar for the Mid-Southern Regions of Korea)

  • 한옥규;박태일;서재환;박기훈;박형호;김경훈;김기종;주정일;장영직;박남건;김정곤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26-230
    • /
    • 2010
  • '광한'은 출수기가 빠르면서 월동이 가능한 조사료용 귀리 품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1996년에 조숙이면서 종실이 대립인 '아리80'을 모본으로 하고, 출수기가 중생 정도이고 대립종인 '귀리23호'를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집단 및 계통육종법에 의해 계통을 선발한 후 2004년부터 생산력검정시험 및 지역 적응시험을 거쳐 2009년에 육성된 품종으로써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광한'은 잎폭이 좁고, 이삭형은 산수형이며, 종자색은 황갈색이다. 2. '광한'은 출수기가 평균 5월 4일, 출수 후 20일에 평가한 생초수량이 ha당 평균 55.1톤, 건물수량이 평균 16.4톤으로써 기존 품종인 '삼한'보다 출수기가 3일 빠르고 조사료 수량도 많았다. 3. '광한'의 조사료 품질은 조단백질 함량이 7.8%, TDN 함량이 59.7%로 표준품종인 '삼한'에 비해 양호하였다.

한국에서 날개매미충알벌(Phanuromyia ricaniae)의 분포 및 월동 (Distribution and overwintering of Phanuromyia ricaniae (Hemiptera: Platygastroidea), an egg parasitoid of Ricania sublimata(Hemiptera: Ricaniidea), in Korea)

  • 전성욱;공민재;최병렬;김지은;김광호;서보윤;이관석;조점래
    • 환경생물
    • /
    • 제39권4호
    • /
    • pp.407-41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갈색날개매미충(R. sublimata)의 생물적 방제를 위한 기초정보를 마련하고자 알 기생천적인 날개매미충알벌(P. ricaniae)의 분포확산 및 월동 특성을 조사한 결과를 보고하였다. 날개매미충알벌은 경기도, 충청남북도, 전라남북도 및 경상남도 일부 지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날개매미충알벌은 서남쪽 평야지대에 더 많이 발생하였으나,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갈색날개매미충의 확산에 맞춰 점차 동북쪽 지역으로 발생 범위가 확산하는 경향을 보였다. 날개매미충알벌의 야외 기생율은 1~8% 정도로 순천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구례, 공주 순으로 나타났다. 날개매미충알벌은 9월부터 갈색날개매미충의 난 속에서 알 상태로 겨울을 보내고, 다음 해 6월부터 발육을 시작하여 성충으로 우화하였다. 날개매미충알벌의 내한성은 알 상태에서 가장 높았다.

Tetradifon에 대한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 저항성의 유전양식과 교차저항성 (Inheritance of Tetradifon Resistance in Two-spotted Spider Mite (Acari: Tetranychidae) and Its Cross Resistance)

  • 박정규;이상계;최병렬;유재기;이정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60-265
    • /
    • 1996
  • Tetradifon에 저항성인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계통을 얻기 위하여, 1995년 3월 경북 안동의 농가 사과원에서 채집한 월동성충을 실험실에서 Tetradifon으로 4개월 동안 누대 도태시켰다. 5회 도태시킨 계통(Td5계통; 저항성배수 371.8배)으로써 Tetradifon 저항성의 유전양식과 8종의 살란성 살비제에 대한 교차 저항성 정도를 生妹殘留法(wholeplant residual method)으로 검정하였다. $F_{1}$난(RS 교배; Td5female$\times$Smale, 또는 SR 교배; Sfemale$\times$Td5male)의 log농도-미부화율 선이 S계통 보다는 Td5계통에 치우쳐 있어 점박이 응애 난의 Tetradifon에 대한 저항성은 우성으로 유전된다고 할 수 있으며, 저항성의 우성도는 RS난이 0.998이고, SR난이 0.262이어서 이 저항성의 유전에는 세포질적인 요소 또는 어미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즉 RS 교배의 경우에는 완전우성으로, SR 교배의 경우에는 불완전우성으로 유전되는 것 같다. Td5 계통은 clofentezine . benzoximate . chlorfenson에 대해서 교차 저항성을 나타내었고, fenazaquin . pyridaben . flufenoxuron . tebufenpyrad . fenothiocarb 등에 대해서는 비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다.

  • PDF

동백가는나방(Caloptilia theivora)의 생활사, 발생소장 및 천적의 종류 (Life History, Seasonal Occurrence and Natural Enemies of Caloptilia theivora (Lepidoptera: Gracillariidae) at Tea Tree Plantation)

  • 이승찬;김상수;김도익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29-233
    • /
    • 1995
  • 우리나라 주요 녹차재배지에 발생하는 동백가는나방(차굴나방 전가칭. Caloptilia theivora (Walshingham))의 생활사와 발생소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백가는나방은 야외 사육상 조건에서 년 6세대 경과하였는데, 난에서 우화까지의 평균기간은 봄.가을에는 32.1~38.6일, 여름에는 24.8~32.7일이었으며, 성충수명은 봄.가을에 8.4~14.5일, 여름에는 6.3~8.6일이었고 산란수는 55~71개였다. 유충의 연중 발생소장을 보면, 1992~1993년에는 5월 중순에 발생 peak를 보이기 시작하여 3~4회의 peak가 나타났으나 1994년에는 발생량이 감소하여 초기에는 뚜렷한 발생 peak가 나타나지 않다가 9월 하순~10월 초순에 발생량이 가장 많았으며, 잎에서 용태로 월동하였다. 동백가는나방의 유증기생봉으로는 Stenomesius japonicus (Ashmead). Sympiesis ringoniellae Kamijo, S. dolichogaster Ashmead와 Elasmus sp.등 4종이 채집 동정되었으며, S. dolichogaster가 우점종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