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원추화서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9초

나도국수나무족(장미과)의 분류: 나도국수나무속 (Taxonomy of tribe Neillieae (Rosaceae): Neillia)

  • 오상훈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3-32
    • /
    • 2016
  • 나도국수나무족(Neillieae)은 전통적으로 나도국수나무속(Neillia), 국수나무속(Stephanandra), 산국수나무속(Physocarpus)의 3속으로 구성된 장미과의 분류군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국수나무속은 최근의 분자계통학적 연구에 근거하여 나도국수나무속에 포함되어, 나도국수나무족은 나도국수나무속과 산국수나무속의 2속으로 구성된 족으로 인식된다. 나도국수나무속은 난형 내지 피침형의 잎, 점첨두 내지 꼬리형의 엽선, 총상 또는 원추화서 및 단심피의 암술을 갖는 특징에 의해 산국수나무속과 뚜렷이 구분된다. 본 속의 식물은 히말라야에서 중국 및 한국을 거쳐 동쪽으로 일본, 남쪽으로 인도네시아에 걸쳐 분포한다. 본 연구에서는 나도국수나무족의 종속지적 연구의 일환으로 나도국수나무속의 분류를 제시하였다. 기준표본을 포함한 표본 조사 및 야외 조사를 바탕으로 형태형질 분석 결과와 현재까지 밝혀진 분자계통학적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각 종에 대한 검색표, 모든 학명에 대한 자세한 명명법적인 검증 및 처리를 포함하여 나도국수나무속 및 각 종에 대한 기재, 분포도 및 조사한 표본의 목록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나도국수나무속에 12종을 인식하였으며, 이 중 3종에서 총 10 변종을 인식하였다. 또한, N. sinensis f. glanduligera 및 N. thyrsiflora의 학명에 대한 선정기준표본을 지정하였다.

쉬땅나무속(장미과-조팝나무아과)의 미기록 식물: 좀쉬땅나무 (First record of Sorbaria kirilowii (Rosaceae-Spiraeoideae) from Korea)

  • 송준호;장진성;홍석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74-178
    • /
    • 2010
  • 경기도 포천시 내천면과 여주군 북내면에서 발견된 우리나라 장미과 내의 미기록 종인 Sorbaria kirilowii (Regel & Tiling) Maxim.을 확인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본 종은 근연분류군인 쉬땅나무(Sorbaria sorbifolia (L.) A. Braun var. stellipila Maxim.)에 비해서 잎과 화경에 털이 없고, 원추화서는 넓게 퍼져 아래로 처지며, 꽃은 5-8mm로 작고, 꽃받침은 반원형, 둔두이며, 수술의 수가 적고, 비교적 짧으며, 골돌은 작고 털이 없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국명은 꽃과 열매의 크기가 쉬땅나무에 비해 작은 특징을 고려하여 '좀쉬땅나무'로 명명하였다.

Echinochloa colona의 생장(生長), 발육(發育) 및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 (Growth, Development,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Echinochloa colona)

  • 전재철;키이스 무디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6
    • /
    • 1986
  • Echinochloa colona(L.) Link의 생장(生長), 발육(發育) 및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을 전생활환(全生活環)을 통(通)해서 조사(調査)하였다. E. colona는 파종후(播種後) 2~3일(日)에 발아(發芽)하며, 파종후(播種後) 8일(日)이면 2엽기(葉期)에 도달한다. 생장(生長)의 초기(初期)에는 근장(根長)이 초장(草長)보다 길지만, 파종후(播種後) 4주(週)간 경과(經過)되면서 이 관계(關係)는 뒤바뀐다. 분얼(分蘖)은 주경(主莖)의 제6엽(第6葉)이 출현(出現)될 때 주경(主莖)의 제3엽(第3葉)으로부터 시작된다. 영양생장기(營養生長期) 동안의 엽(葉) 및 분얼(分蘖)은 일정(一定)한 규칙성(規則性)에 따라 전개(展開)되어 14엽기시(葉時期)에는 19개(個)의 분얼(分蘖)(1차(次) 분얼(分蘖)5, 2차(次) 분얼(分蘖) 12, 3차(次) 분얼(分蘖) 1 및 절분얼(節分蘖 1)을 이루었다. 경엽(莖葉)/근부중량비(根部重量比)는 출수직전(出穗直前)에 가장 높았다. 원추화서(圓錐花序)중 가장 짧은 소수(小穗)는 상위(上位) 2번째의 것으로 가장 적은 수(數)의 종자(種字)를 생산(生産)한다. 이 소수(小穗)로부터 하위(下位)의 소수(小穗)로 내려갈수록 소수(小穗)의 길이와 소수당(小穗當) 종자생산수(種字生産數)는 증가(增加)된다. 종자(種字)의 무게는 하위소수(下位小穗)의 것이 상위소수(上位小穗)의 것보다 가벼웠으며, 발아력(發芽力)도 낮았다. 부정근(不正根)의 신장(伸張)은 화경(花硬)의 엽초기부에서 이루어지며, 그 신장력(伸張力)은 오래된 화경(花硬)에서 보다는 어린 화경(花硬)에서 더욱 컸다.

  • PDF

이랑높이가 안개초 생육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idge Height on the Growth and Flowering of Gypsophila paniculata)

  • 정동춘;임회춘;김갑철;송영주;김정만
    • 화훼연구
    • /
    • 제16권4호
    • /
    • pp.255-259
    • /
    • 2008
  • 준고냉지에서 안개초 'Bristol Fairy'를 실험재료로 이랑높이를 10, 20, 30, 40 cm로 하여 토양 물리성, 생육 및 개화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주간 지온, 토양 수분함량, 토양 경도, 용적밀도 및 고상률은 이랑이 높을수록 낮고, 공극률은 약간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여름과 가을 절화작형에서 30 cm, 40 cm 이랑에서 개화는 약간 지연되었으나, 뿌리활력, 화수폭과 절화량은 우수하였다. 여름을 경과하면서 발생한 고사주율 및 로젯트 발생률, 비원추화서률 등 생리장해 발생도 낮아지는 경향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