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원수

검색결과 1,015건 처리시간 0.027초

살수여상 활성오니 연계방법에 의한 축산뇨요수 처리 (The Treatment of Animal Wastewater by the Combination of Trickling Filter System and Activated Sludge Process)

  • 류종원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81-86
    • /
    • 2004
  • 본 연구는 유지관리비가 적게 소요되고 관리가 용이한 에너지절감형 축산뇨오수 처리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목편 살수여상과 활성오니를 정화기술하는 처리기술을 연구하였다. 1. 스크레파 축사의 축산뇨오수 처리를 위한 목편칩 살수여상 활성오니 연계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처리공정은 축산뇨오수 원수$\to$스크린$\to$목편칩 살수여상$\to$활성오니$\to$침전/오존처리 공정으로 처리하였다. 2. 처리결과 축산뇨오수 원수의 BOD 8,620mg/$\iota$ 에서 최종처리수의 BOD는 58mg/$\iota$로 처리되었다. 또한 COD_{Mn},은 원수 4,290mg/$\iota$에서 232mg/$\iota$, SS 2,228mg/$\iota$에서 49.5mg/$\iota$, T-N 4,223mg/$\iota$에서 395mg/$\iota$, T-P 97.4mg/$\iota$에서 8.0mg/$\iota$로 처리되었다. 3. SS는 목편살수여상조에서 $71.1\%$가 제거되어 활성오니 처리 대비 슬러지 발생량이 $70\%$ 절감되었다.

  • PDF

하천 소류사 이동량의 산정 (Computation of Bed Load Transport in Rivers)

  • 유동훈;신승호;임학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3권6호
    • /
    • pp.711-723
    • /
    • 2000
  • 현재 사용되고 있는 소류사량 산정식들은 형식의 다양함과 관련변수들의 불일치로 각 공식의 특징을 파악하기 힘들며 사용된 관측자료가 다르기 때문에 상대적인 비교가 어렵다. 한편 산정식의 유도과정에서 사용되는 기본적인 가정들의 개선여지가 많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류사량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여러 무차원수들을 제시하고 그들간의 관계식을 도출하였으며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무차원수를 도입하여 형식의 통일을 기하였다. van Rijn이 제시한 관계식을 보다 간단한 형식으로 도출하여 새로운 소류사량 산정식을 개발하였다. Brownlie(1981)가 수집 정리한 관측자료와 개발식을 대비하여 경험 계수의 적합한 수치를 도출하였으며 광범위한 조건에서 유효하고 정밀도가 높은 조정식을 개발하였다.

  • PDF

막분리(NF, UF)를 이용한 자연유기물(NOM) 제거에 관한 연구(II) - NF, UF 운전특성과 HAA생성능 제거 -

  • 송양석;박용훈;조영관;조재원;박돈희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
    • /
    • pp.334-338
    • /
    • 2003
  • 막분리 공정을 모형시설에 도입 후 약 2년간에 걸쳐 막의 구성을 달리하여 운영하였으며, 원수 및 처리수의 수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원수의 수질특성은 친수성 물질이 53%, 소수성 물질 28% 나머지는 반친수성물질로 구성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UF 및 NF 처리수의 분자량 분포를 조사한 결과 원수와 달리 큰 분자량을 갖는 부분이 제거된 것을 볼 수 있었다. UF와 NF의 막분리 공정운전 결과를 종합해 본 결과, UF막인 GH(2500Da)와 GM(8000Da) 경우 GM이 생산량 및 운전특성에서 GH에 비해 우수한 결과를 보여 주었으며, NF막인 HL$(150{\sim}300Da)$과 GM의 비교 운전한 결과 NF막인 HL의 유기물 제거 효과가 우수한 것을 보여 주고 있다. 그러나 UF막인 GM의 경우 MWCO가 8000Da로 NF막인 HL에 비해 큼에도 불구하고 유기물 제거 면에서 상당히 우수한 유기물 제거 효과를 보여 주었으며, 소독부산물의 생성능 평가에서도 50%이상의 양호한 제거 효과를 보여 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