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원물질

검색결과 3,158건 처리시간 0.044초

입자상 PAHs의 시.공간적 분포와 건식 침적 연구 (Temporal and spacial variation of mean size distribution of paticulate PAHs and their dry deposition in Korea)

  • 배수야;이지이;이승묵;김용표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9-40
    • /
    • 2001
  • 최근 들어서 환경유해물질이 인체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특히 환경 중에 존재하는 발암성 물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이들 물질에 의한 인체에 미치는 위해성이 밝혀지고 있다.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PAHs)는 환경에 존재하는 중요한 발암물질, 돌연변이 유도체이다. PAHs는 여러 종류의 배출원이나 배출원 가까이 있는 환경에서만 발견되는 것이 아니라, 장기간에 걸쳐 대기 중에서 멀리 운반되어 전세계적으로 확산되어진다. 건식 침적은 대기중 PAHs의 주요 제거기작 중 하나이다. (중략)

  • PDF

LC-MS/MS를 이용한 농산물 중 살균제 Sedaxane의 잔류시험법 개발 및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Analytical Method for Fungicide Sedaxane Determination in Agricultural Products using LC-MS/MS)

  • 조성민;도정아;박신민;이한솔;박지수;신혜선;장동은;최영내;정용현;이강봉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0-39
    • /
    • 2019
  • 세닥산은 pyrazole carboxamide계 살균제로 광범위한 곰팡이 병원균을 억제하는데 효과가 있으며, trans-isomer와 cis-isomer 두 종류의 입체이성질체를 포함하고 이들은 유사한 독성학적 특징 및 살진균 활성을 가지고 있다. 세닥산의 잔류물의 정의는 농산물에서 미국(EPA)과 일본(JFCRF)에서 시스와 트랜스 이성질체의 합으로, 코덱스(Codex)와 유럽(EC)에서 모화합물로 설정되어 있다. 세닥산은 국내의 경우 2018년 수입식품 중 감자에 대한 잔류허용기준 신설이 최초 요청되었으며 국내 유통 농산물 중 잔류량에 대한 안전관리 확보를 위해 잔류물의 정의를 모화합물로 규정하고 적부판정을 위한 공정시험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세닥산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아세토니트릴을 이용하여 진탕추출 후 실리카 카트리지를 이용한 정제 조건을 확립하여 LC-MS/MS를 이용한 시험법을 확립하였다. 세닥산의 결정계수($r^2$)는 0.99 이상으로 높은 직선성을 보여 주었고,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는 각각 0.001, 0.005 mg/kg으로 높은 감도를 나타내었다. 대표 농산물 5종(현미, 감자, 대두, 감귤, 고추)에 대하여 정량한계, 정량한계 10배, 정량한계 50배 수준으로 회수율 실험한 결과 평균 회수율(5반복)은 74.5-100.8%이었으며 분석오차는 12.1%이하로 정확성 및 재현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국제식품 규격위원회 가이드라인(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CAC/GL 40)의 잔류농약 분석 기준 및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의 '식품등 시험법 마련 표준절차에 관한 가이드라인(2016)'에 적합한 수준임을 검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험법은 농산물 중 잔류할 수 있는 세닥산 안전관리를 위한 공정시험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LC-MS/MS를 이용한 농산물 중 Streptomycin 및 Dihydrostreptomycin 동시시험법 개발 (Development of Simultaneous Analytical Method for Streptomycin and Dihydrostreptomycin Detection in Agricultural Products Using LC-MS/MS)

  • 이한솔;도정아;박지수;박신민;조성민;신혜선;장동은;최영내;정용현;이강봉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3-21
    • /
    • 2019
  • 본 연구는 2018년 국내식품 중 신규 기준설정 예정 농약인 스트렙토마이신의 잔류 농약 검사를 위한 공정시험법을 마련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스트렙토마이신은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제로 소, 돼지, 닭 등 가축 및 가금에 동물용의약품으로 허가되어 세균성 질병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감귤, 매실, 참다래, 복숭아 등에 발병하는 세균성 병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농약으로 등록되어 있다. 국내에서는 스트렙토마이신의 잔류물의 정의를 스트렙토마이신과 디히드로스트렙토마이신의 합으로 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잔류허용기준은 동물용의 약품으로 사용 시 불검출부터 1.0 mg/kg까지 설정되어 있다. 농약으로 사용 시 농산물 중 잔류허용기준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며 식품공전의 시험법 역시 동물용의약품에 적용되는 시험법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농산물 중 잔류허용기준 설정을 위한 시험법 마련이 시급하여 본 연구에서는 식품공전에서 정하고 있는 대표농산물 5종(현미, 감자, 대두, 감귤, 고추)을 포함한 잔류시험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수용성 유기용매인 메탄올의 적용과 포름산을 이용한 pH 조절을 통한 추출법 및 HLB 카트리지를 이용한 정제법을 최적화하여 LC-MS/MS에 의한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스트렙토마이신과 디히드로스트렙토마이신의 시험법 정량한계는 0.01 mg/kg으로 PLS 제도에 맞는 잔류허용기준 수준을 만족하였다. 스트렙토마이신과 디히드로스트렙토마이신의 평균 회수율은 각각 72.0~116.5%와 72.1~116.0%이었고, 상대표준편차는 각각 12.3%와 12.5% 이하로 조사되어 이러한 결과는 국제식품규격위원회 가이드라인(CAC/GL 40-1993, 2003)의 잔류농약 분석기준 및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의 '식품등 시험법 마련 표준절차에 관한 가이드라인(2016)'에 적합한 수준임을 검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험법은 농산물 중 스트렙토마이신의 잔류검사를 위한 공정시험법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유사 농산물에 대한 적용도 가능하리라 판단되어 향후 국내 농산물 중 농약의 잔류허용기준 신설 및 잔류농약 검사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미세입자($PM_{2.5}$)의 배출원 구성물질 성분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ource Profiles of $PM_{2.5}$)

  • 이학성;강병욱;이상권;강충민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7-108
    • /
    • 2003
  • 우리 나라 도시지역에 살고 있는 많은 사람들은 대기오염(특히 미세입자)에 대한 심각성을 경험해 왔다. 특히, 대기오염물질 중에서도 호흡기 계통의 질병, 산성비, 시정장애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미세입자(PM$_{2.5}$)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미세입자 저감대책을 세우기 위해서는 중요 배출원을 정성적으로 파악하고, 그 영향을 정량화하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배출원과 대기질의 관계를 정확히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미세입자 성분에 대한 계절별 화학적 및 물리적 특성, 미세입자의 배출원 특성 및 각 배출원 기여도 등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중략)략)

  • PDF

축분자원화물의 작물재배 농지 유출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livestock resources run-off from land for agricultural crop)

  • 한기봉;이영신
    • 유기물자원화
    • /
    • 제19권4호
    • /
    • pp.74-8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축분자원화물을 농지에 주입 시 유출 및 삭감되는 축분자원화물의 전환율을 산정하고자 현장 시험을 실시하여 조사 및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축분자원화물을 농지주입 시 토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작물재배된 시험구 수확량은 $0.437kg/m^2$이며, 수확물 내 영양물질 함량은 N가 $0.024{\pm}0.006%$, P이 $0.020{\pm}0.004%$로 나타났다. 대조구의 경우 수확량은 $0.153kg/m^2$이며, 수확물 내 영양물질 함량은 N가 $0.007{\pm}0.001%$, P이 $0.006{\pm}0.001%$로 나타났다. 농지로 전환된 퇴비 내 오염물질 거동을 파악한 결과, 재배기간 60일 경과 후까지 오염물질 농도는 계속 감소하여 축분자원화물 주입전의 수준까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우강도의 증가에 따라 농지로부터 유출유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시간당 10mm/h 이하의 강우강도에 대하여 농지유출비를 비교 조사한 결과, 강우강도 8mm/h 까지는 각 오염물질별 농지유출비가 강우강도의 증가에 따라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SS의 경우는 다른 오염물질항목보다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LC-MS/MS를 이용한 축·수산물 중 β-agonist계 시험법 개발 및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Analytical Method for β-Agonists in Livestock and Fishery Products Using LC-MS/MS)

  • 이태호;김유라;박수정;김지영;최장덕;문귀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35-151
    • /
    • 2022
  • BACKGROUND: The β-agonists known as phenyl ethanolamine derivatives have a conjugated aromatic ring with amino group. They are used as tocolytic agents and bronchodilator to human and animal generally, and some of them are used as growth promoters to livestock. METHODS AND RESULTS: β-agonists in samples were extracted by 0.4 N perchloric acid and ethyl acetate. The target compounds were analyzed by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tandem mass spectrometry (LC-ESI-MS/MS). Validation of method was performed according to CODEX guidelines (CAC/GL-71). The matrix matched calibration gave correlation coefficients>0.98, and the obtained recoveries were in the range of 62.0-109.8%, with relative standard deviation ≤ 20.1%. In addition, a survey was performed to inspect any residual β-agonist from 100 samples of livestock and fishery products and ractopamine was detected in one of the 100 samples. CONCLUSION(S): In this study, we established the analytical method for β-agonists through using the expanded target compounds and samples. And we anticipate that the established method would be used for analysis to determine veterinary drug residues in livestock and fishery products.

Bacillus subtilis에서 분비되는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생장 저해물질 생산에 미치는 배양조건의 영향 (Effect of Culture Parameters on the Production of Growth Inhibitory Substance of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from Bacillus subtilis)

  • 조수진;차병진;신광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8-141
    • /
    • 2004
  • 고추 탄저병균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의 생장을 저해하는 물질을 생산하는 세균인 Bacillus subtilis의 각종 배양조건을 달리하여 최적 생산 조건을 조사하였다. 병원균 생장 저해물질 생산을 위한 배지의 초기 산도는 pH 7.0이 최적이였으며, 탄소원으로는 glucose를 첨가했을 경우 다른 탄소원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활성을 보였다. 질소원으로는 유기 질소원일 경우 비교적 높은 병원균 생장저해활성을 보였으나, 무기 질소원인 ammonium sulfate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여러 가지 배지를 사용하여 조사한 결과, LB(Luria Bertani) 배지의 배양액에서 가장 높은 활성이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