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운전자격제도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1초

트램 운전자격제도 도입방안 연구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Tram Driving Qualifications)

  • 최양규;이종석;백주현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94-104
    • /
    • 2015
  • 트램은 1900년대 초중반 대중교통으로서 많이 이용되어 왔으나, 이 후 교통체계가 자동차 중심으로 발전됨에 따라, 도시교통난 유발과 도시환경미관을 저해하는 등의 이유로 활용성이 낮아졌다. 최근에는 친환경적 최첨단 트램기술이 개발되어 트램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트램 교통시스템이 철도와 도로교통의 두 가지 특성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관련 법령에 트램 운전자의 자격에 대해서 규정하고 있지 않다. 트램은 도로 교통과 인접하거나 연계되어 운영되기 때문에 자동차와의 사고발생 가능성이 높으므로, 우리나라에 효과적으로 도입하기 위해서는 운전자의 자격요건을 정립함으로써 사고 시 피해를 최소화하고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하여 해외 트램 운전자격제도를 조사, 검토하였고 이를 통해 철도안전법 및 하위법령 등 관련 법에 대한 보완방안을 고찰하였다.

AHP 분석에 따른 제2종 전기차량 운전면허 제도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ystem improvement of the electric vehicle driving licence according to AHP analysis)

  • 한기율;김형준
    • 한국도시철도학회논문집
    • /
    • 제6권4호
    • /
    • pp.401-410
    • /
    • 2018
  • 제4차 산업혁명은 철도분야에도 빠르게 자리 잡고 있다. 반면, 철도종사의 행동, 실제 근무여건 등을 고려한 과학적 분석 및 미흡한 대책으로 기관사의 인적오류로 인한 사고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철도차량 운전면허 자격시험에 인적오류와 관련된 문제 출제, 시뮬레이터용 소프트웨어 개발 등 여러 가지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한계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본 연구는 현재 가장 많은 인력을 양산하는 제2종 전기차량 운전면허를 전문가 인터뷰 및 설문조사에 대한 AHP 및 FGI 분석을 통해 제도 개선 방안을 연구하였다.

고령자의 자동차사고 위험도 분석 (Analysis on the Auto Accident Risks of the Old)

  • 김대환;허태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00-111
    • /
    • 2015
  • 주요국에서는 증가하는 노인운전자의 교통사고 경감을 위해 연령별 자동차 사고 위험도를 분석한 후, 위험도가 높은 고령자의 교통사고를 경감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 교통사고는 감소하고 있지만 65세 노인운전자의 교통사고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노인운전자의 자동차사고 위험도에 대한 실증연구가 부재하고, 관련제도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운전자들의 연령별 자동차사고 위험도를 분석하였는데, 25세 미만 연령층을 제외하고 65세 이상 노인운전자의 자동차사고 위험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어졌다. 세계에서 가장 빠른 인구고령화를 경험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도 주요국처럼 노인운전자에 대한 운전교육 및 운전면허 재발급 자격을 강화할 필요가 있겠다. 또한 노인운전자를 배려한 도로표지판 개선과 노인운전차량 스티커 부여, 그리고 자가운전 대신 대중교통을 운전하는 노인들에 대해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유인체계의 변화가 필요하다.

DACUM 방법에 의한 건설용 타워크레인 기능사 자격 교육과정 개발연구 (Curriculum Development for Training Tower Crane Drivers by DACUM Method)

  • 김정식;박문선;황욱선;김용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58-68
    • /
    • 2009
  • 본 연구는 기존 타워크레인 운전기능사 시험교과목의 미흡한 부분을 충족시키기 위해 DACUM방법을 활용하여 새로운 교육과정을 제안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행 타워크레인 운전기능사 교육제도 문제점 및 기존교과목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DACUM방법에 따른 새로운 교과목과 기존 교과목과의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기와 같은 목적과 방법에 따라 진행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기존의 타워크레인 운전기능사 교과목은 즉시 건설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어려운 실정이고 안전관리, 타워크레인 운전시 고장에 대한 교육이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2) DACUM방법으로 도출된 개선된 교과목은 7개이며 그 사항은 다음과 같다. 이론교과목 5개와 실기교과목 2개로 구성되었으며, 개발 및 제안된 교과목은 타워크레인 운전기능사가 이론과 실기면에서 건축공사현장에 즉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효과적인 철도차량운전면허 교육훈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Rolling stock driver's license training)

  • 육심관;장성용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16-1932
    • /
    • 2008
  • 철도사고의 발생 확률은 적지만 한 번의 사고로 인하여 피해가 막대하고 빠르게 확산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예상치 못한 철도사고 예방을 위하여 열차안전운행의 최일선 접점에 있는 기관사의 역할은 무엇보다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할 것이다. 철도안전법 시행 이전 기관사 양성은 각 철도운영기관에서 자체적으로 정한 자격기준, 교육기간, 실무수습을 거쳐 양성하였으며 동일차종을 운전하는 기관사 양성에 있어 철도운영기관 별로 각기 다른 기준으로 선발 교육함에 따라 철도차량운전자에 대한 양성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 지지 않았다. 철도안전법 시행으로 철도차량 종류에 따라 면허의 종류를 분류하고 전문교육훈련기관을 지정하여 일정한 교육을 이수한 후 제3의 평가기관을 지정, 평가토록 함으로써 일정 수준이상 득점을 해야만 면허가 발급되는 체제를 갖추게 되었으며 교육훈련기관과 평가기관을 분리하여 운전자에 대한 능력을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교육대상자에 따라 과목별 이론교육 시간을 달리 배정하고 실기교육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운전시뮬레이터의 취급시간을 최대한 확보하여 철도차량운전자의 자질을 극대화하는 교육프로그램이 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본 논문을 통하여 면허취득을 위한 교육훈련의 효과를 극대화 하고 실용적인 교육을 위하여 필요한 제반 여건에 대하여 국내외 면허 교육훈련을 비교분석을 통하여 현행 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 PDF

우리나라 교통유도경비 도입방안의 연구 (The Study on the Plan to Introduce Traffic Inducement Security System in Korea)

  • 김태환
    • 시큐리티연구
    • /
    • 제23호
    • /
    • pp.21-39
    • /
    • 2010
  • 현재 도로의 공사뿐만 아니라 각종 공사 현장으로 인하여 자동차의 소통에 위험한 영향을 초래하고 있다. 나아가 공사지역의 주민과 통행자들에게까지 막대한 영향을 미치며 안전조치의 미흡으로 대형 사고를 야기할 가능성도 높다. 이러한 문제의 대안으로 선진국에서는 '교통유도경비'가 시행되고 있으며 특히, 일본의 경우 '교통유도경비' 제도의 시행 이후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크게 감소한 것으로, 교통유도경비가 상당한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교통유도경비 제도가 시행되고 있지 않으며, 일부 건설 공사장에서 한정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나 대부분 전문성이 결여된 상태에서 임시적, 임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이다. 우리나라에서 교통유도경비 제도의 도입으로 인하여 교통안전과 교통정체 등 안전문화를 한 단계 앞당길 수 있는 계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민들의 요구에 기초하여 선진사례를 분석하고 현행 우리의 제도의 비교분석 한 후, 합리적인 교통유도경비 제도의 도입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우리나라에서 교통유도경비의 도입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통유도경비 업무를 국내에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경비업무의 종류에 교통유도경비 업무를 추가하는 등 교통유도업무의 법적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교통유도경비는 교통안전의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제도로서 사회적 비용의 내부화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에 전문성과 안전지식, 표준화된 교통안전지도가 필요한 교육과 이를 위한 교육 시스템과 커리큘럼, 교재의 제작 등 자격신설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셋째, 교통유도경비원의 교육은 구체적인 교육과목을 갖추어 이론교육과 기능교육(실기)으로 구분하여 실시해야 할 것이다. 넷째, 시행방안을 위해서는 교재개발, 실기교육 내용 확정과 전문강사 양성, 운전학원 등 실기교육 공간의 확보가 필요하다. 나아가 교통유도경비 전반에 걸쳐 체계적인 발전을 위한 표준화 노력이 중요하며, 경비업계, 학계, 관련전문가, 관련 연구기관 등 각계의 참여 아래 표준화를 위한 지속적인 협의와 합의 도출이 요청된다. 다섯째, 교통유도경비는 일자리 창출 규모가 크며, 사회적인 파급력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향후 추진사항으로는 다양한 관계기관과의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