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우연성

Search Result 407,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The Contingent Approach to Landscape Aesthetics (조경미학에서의 우연적 접근)

  • Zoon, Kyon-Sa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15 no.2
    • /
    • pp.57-66
    • /
    • 1987
  • 본 연구는 경관선호에 관한 평가방법을 서술적으로 구명하면서 기존의 경관선호에 관한 평가방법이 자연적 요소를 많이 포함한 경관의 평가출 정착히 하는데 따르는 문제점을 제시하고 경관의 우연적 국면에 따라 경관선호의 우연성(Contingency in Landscape Preference)을 개관하면서 경관평가의 우연성(Contingency in Landscape Evaluation)에 의한 우연적 경관평가방법(Contingent Approach in Landscape Evaluation)의 가능성을 시사했다. 최근까지의 경관평가방법을 크게 분류하면 총체적(Universal) 접근방법, 개성적(Idiosyncratic) 접근방법, 조화적(Contrastic) 접근방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런데 경관성에서의 우연성을 강조함 으로써, 앞의 세방법만을 가지고서는 경관의 실체 파악이 어렵기 때문에 새로운 방법이 강구되어야 한다. 이의 한 대안으로 경관선호에 대한 평가를 우연적 접근방법으로 해결함으로써 평가영역과 평가요소를 확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학적 매트릭스가 가능하다는 시사를 본 연구에서 구시하면서 새로운 평가방법으로 우연적 경관평가방법을 제시했다. 우연적 경관평가방법은 우연적 경관성에 의한 심미성을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으나 우연적 영역을 의도적으로 설정하지 않는 한 현실적으로 재정적 흑은 시간적 제약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경관선호의 정도에 관한 평가보다는 경관의 본질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를 고려한 평가가 경관선호평가에 대한 종합성을 반영할 수 있다. 경관평가의 모호성에도 불구하고 경관의 본질은 우연성에 의존한다고 본다면 우연적 경관평가방법은 크게 무리가 없다. 결국 경관은 생명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현상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동시적이면서 산재적 이며 상황적 다양성으로 간주해야 하며 고러란 관점을 강조한 것이 우연적 경관선호 및 경관평가에 대한 접근이라 할 수 있다.도 나타났다. 직업간의 유의성은 학생과 타 직업간에 나타났다. 직업간의 유의성은 학생과 타 직업간에 현격하게 나타났으나, 개인차를 나타내는 속성적 변수는 상호보완적인 변수기능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행동의 설명력있는 이유로 볼 수 없다.때로는 민담에서도 풍수가 주제가 되는 경우가 있고, 일반적으로는 역사적 사실이나 인물을 통하여 취락민이지녀온 자연요소에 대한 인식관 또는 그러한 생활에서 나타나는 윤리관 등이 암암리에 표현되기도 한다. 민담을 통하여 우리는 주민들 의식 속에 남아있는 취락의 중요한 요소나 장소들을 찾아볼수 있고 더불어 이들을 중심으로 이루어 졌을지도 모를 생활모습들을 생각해볼 수 있다. 이러한 것들은 $\ulcorner$순응$\lrcorner$의 다른 일면 또는 때에 따라서는 극히 의도적인 $\ulcorner$표현$\lrcorner$적인 한 면모 - 그 대표적인 경우로 정원을 구성하는데 개재된 인간의 의미는 무언가를 표현 또는 표출하고자 함에 있다는 점 -라 볼수도 있을, 예로써 성리학적 사고관념으로써 집과 정사 그리고 주변 경관을 자신의 내적본직 또는 윤리적 영역으로 삼아 묘사.표현.구체화 시켜가기도 한다. 최소한 동족부락의 한두 예들에서 그러한 $\ulcorner$표현$\lrcorner$적 의도에 의한 경관구성의 일면을 확인할수 있지만 엄밀히 생각하여 보면 이러한 예의 경우도 최락의 총체적인 외형은 마찬가지로 $\ulcorner$순응$\lrcorner$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도 $\ulcorner$순응$\lrcorner$$\ulcorner$표현$\lrcorner$의 성격과 형태를 외형상으로 더욱이 공간상에서는 뚜렷하게

  • PDF

A Study on Aleatorism of Frontal-Flat Camera Angle (정평면적 카메라 앵글이 갖는 우연성에 관한 연구)

  • Lee, Yong-Soo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32
    • /
    • pp.263-288
    • /
    • 2013
  • This research is about effects which frontal-flat cameras have on narrative films. This kind of confined camera angles make the audience have a sense of tension which is barely defined logically. I think the tension comes from aleatorism. The paper is a research on how aleatorism is working on what kind of value, and what kind of effects it has on narrative films. Russian Formalism had argued they had to meet aesthetic values by totally excluding narratives. It can be said that this was a practice for Brecht's estrangement that a sensitive arousal prohibits the audience immersing into excessive empathy and then make them have a reflective thought. But occasionally, optical arousals in narrative films induce deeper immersion into contemplation rather than reflective thought. I intend to find cases regarding this textualising Front-flat camera angles in narrative films and analysing their contents. To do this, I suggest a more specified definition of 'aleatorism'. Because the concept of the aleatorism is different between an aspect of static image like paintings or photographs and narrative contents like cinema. It is divided into approach through form and approach through content. And I also suggest an operative definition about 'Frontal-flat camera angle' with a several confinements because its formal definition is very flexible depending on audience. The case analysis will be done with a form of discourse discerning two aspects of form and content. Conclusively, Frontal-flat camera angle in narrative film is basically have an effect of attention by optical stimuli. But it cannot be said that this always means deterioration of narrative value. Depending on causality of episodes in the whole story, aleatorism which Frontal-flat camera angle has can support immersed contemplation regarding following narrative rather than reflective thought regarding amusing aesthetics.

Contingent Interactivity of New Media Contents: Film Re-cut and Game Modding (뉴미디어 콘텐츠의 우연적 상호작용성: 영화 리컷과 게임 모딩)

  • Kim, Mookyu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6
    • /
    • pp.481-490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cognize and embody the implications of the concept of interactivity. Among the many types of interactivity already proposed, this paper sheds light especially on the so-called contingent interactivity. The contingency means a condition in which a particular performance or selection of a subject is considered neither necessary nor conclusive, and also the potential for various activities of this subject. The contingent interaction comes into being when the involvements of users in dealing with a message or content are experimental or creative. The interaction does not orient toward the completion of content or the immersion to a particular reality. Rather, the results of a user's contingent performance are not the finalized content and have characteristics that lead to the continuous modification. In order to embody this meaning of contingent interactivity, the paper examined the two example, the film re-cut and game modding. In both cases, it is comprehensive that the user of these two new media activities lies in the contingent situation.

Three Types of Alea Appearing in Digital Games (디지털게임에 나타나는 알레아의 세 층위)

  • Lim, Hae-Ryang;Lee, Dong-Eun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9 no.4
    • /
    • pp.65-76
    • /
    • 2019
  • In Korea, studies of Alea are limited to the discourse of gambling, and the chance itself is getting overlooked. This makes Alea subordinated to the concept of gambling, which causes the contingency itself to be devalue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meaning and function of 'chance' and 'play' according to the genealogy of Alea, dividing the subdivision of Alea into three categories: magical Alea, systematic Alea, and heroic Alea, and applied it to the digital case, CCG Hearthstone.

창업 기회 역량에 관한 연구 - 행운 신념과 우연기술을 중심으로

  • Kim, Hong-Tae;Hwang, Bo-Y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04a
    • /
    • pp.30-30
    • /
    • 2017
  • 성공한 창업가들이나 저명인사들에게 성공의 요인을 물어보면 운이 좋았다고 이야기를 한다. 새해가 되면 신년 운세를 보거나 중요한 사업에 대한 의사결정을 앞두고 운세를 알아보는 사람도 많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토머스 J. 스탠리가 20년간 백만장자 733명을 분석하여 저술한 <부자들의 선택>을 보더라도, 백만장자의 12%가 자신들의 경제적 성공요인으로 '운'을 뽑았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지배적인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행운에 대한 과학적 검증이 많지 않았다. 운에 대한 전통적인 관점은 운을 외부 요인으로 보고 무작위하고 통제 불가능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통제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미래를 예측 하는 데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있었다. 행운은 운명처럼 정해져있는 것일까? 왜 운이 좋은 사람들은 자신에게 유리한 기회를 잘 인지하고 포착하는 것일까? 현실 속에 운이라는 개념이 존재한다면 이런 현상이 벌어지는 이유에 대해 과학적 탐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행운은 외부 환경에 의해서 무작위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내적 속성으로 운을 통제 할 수 있다는 것으로 보았다. 행운에 대한 신념이 있는 사람은 우연한 사건에 대해 우연기술을 통하여 기회역량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총 3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행운의 신념이 우연기술의 매개역할로 창업 기회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행운의 신념은 기회 역량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행운의 신념은 우연기술의 하위요인인 호기심, 인내성, 유연성, 낙관성, 위험감수 모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연기술의 하위요인 중 인내성, 낙관성, 위험감수만이 기회역량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났다. 넷째, 우연기술의 하위요인인 인내성, 낙관성, 위험감수는 행운신념과 기회역량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행운에 대한 높은 신념을 갖고 우연 기술을 더 개발한다면 창업 기회 역량을 더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Happenstance Factors on the Perception of Means-Goal Relationship (우연 요인이 수단-목표 관계의 지각에 미치는 효과)

  • Lee, Byung-Kwan;Kim, Sung-Eun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9 no.1
    • /
    • pp.11-20
    • /
    • 201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how intrinsic acceptance for happenstance(IAH) affects evaluation of the means to achieve additional goals when the additional goals are happened to be added to the original means-goal link. Specifically, participants were ask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means(e.g., exercise and saving) to achieve additional goals which are either more or less relevant to the means. The result showed that participants with high IAH were more likely to think that the original means is effective to accomplish additional goals than those with low IAH. This pattern, however, was found only when the additional goals are relevant to the means. When the relevance of the additional goals to the means was low, there was no difference in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means to achieve additional goals between participants with high and low IAH. Future research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goal-systems theory and intrinsic acceptance for happenstance were discussed.

Contingency and the Argument of Explanation-Requirement (우연성과 설명의 요구 논증)

  • Kim, Sea-Hwa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14 no.1
    • /
    • pp.103-118
    • /
    • 2011
  • In his paper "The Existence of Mathematical Objects and Contingency" Professor Choi deals with the debate between Hartry Field and Hale/Wright. In this famous debate, Hale/Wright and Field argue back and forth about whether some explanations for the contingency of mathematical objects need to be provided or not. In this paper, I raise 3 objections to Professor Choi's critical analysis of this debate.

  • PDF

Mediating Effect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Adaptability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계획된 우연기술의 매개효과)

  • Park, Yun-He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5
    • /
    • pp.89-98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 to strengthen career adaptability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adaptability of college students. The data collected from 256 students in junior and senior at University in Seoul were verified by mediating effect through regression analysis. Research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planned happenstance skills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planned happenstance skill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adaptability. Based on the results, it was proposed to improv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planned happenstance skills to enhance career adaptability of college students.

The Existence of Mathematical Objects and Contingency (수학적 대상의 존재와 우연성)

  • Choi, Won-Bae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12 no.2
    • /
    • pp.1-29
    • /
    • 2009
  • According to Field, mathematical objects do not exist but they might have existed. In this paper I examine how persuasive this 'contingent' nominalism could be. For this I give a detailed analysis of the recent debate on the contingency of mathematical objects. I argue that the putative connection between contingency and explanation could still be sustained, but an independent argument is needed in order to support a general principle underlying the connection. I show that the attacks based on the anti-insularity principles already reflect their own positions on the modal status of the existence of mathematical objec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