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우수유출관리

Search Result 150,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Comparison and Management of Water Purification Efficiency of Artificial Wetland according to Inflow Water Conditions: Focusing on the Gyeongancheon Basin (유입수 조건에 따른 인공습지 수질 정화효율 비교: 경안천 유역을 중심으로)

  • Seol Jun Lee;Beomjin Eun;Jong Hwan Kim;I Song Choi;Jong-Min Oh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57 no.1
    • /
    • pp.28-38
    • /
    • 2024
  • In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the water purification efficiency according to the influent water conditions of artificial wetlands, the purification efficiency was compared at two points where sewage treatment water flows in and one point where good effluent flows in.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influent and effluent and the removal efficiency, the T-N and T-P removal efficiency was calculated at 54.7% and 77.4%, respectively, for the two points where sewage treatment water was treated, the treatment efficiency of SS 90.8%, BOD 51.1%, TOC 30.6%, T-N 38.8%, T-P 55.3% was shown. As a result, the efficiency of removing pollutants in the artificial wetland was found to be proportional to the concentration of influent water, and in order to create an efficient artificial wetland, it is judged that thorough review and management at the design stage are necessary considering that the removal efficiency of high-concentration contaminated water was high.

A study on the derivation and evaluation of flow duration curve (FDC) using deep learning with a long short-term memory (LSTM) networks and soil water assessment tool (SWAT) (LSTM Networks 딥러닝 기법과 SWAT을 이용한 유량지속곡선 도출 및 평가)

  • Choi, Jung-Ryel;An, Sung-Wook;Choi, Jin-Young;Kim, Byung-Si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4 no.spc1
    • /
    • pp.1107-1118
    • /
    • 2021
  • Climate change brought on by global warming increased the frequency of flood and drought on the Korean Peninsula, along with the casualties and physical damage resulting therefrom. Preparation and response to these water disasters requires national-level planning for water resource management. In addition, watershed-level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requires flow duration curves (FDC) derived from continuous data based on long-term observations. Traditionally, in water resource studies, physical rainfall-runoff models are widely used to generate duration curves. However, a number of recent studies explored the use of data-based deep learning techniques for runoff prediction. Physical models produce hydraulically and hydrologically reliable results. However, these models require a high level of understanding and may also take longer to operate. On the other hand, data-based deep-learning techniques offer the benefit if less input data requirement and shorter operation time.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input and output data is processed in a black box, making it impossible to consider hydraulic and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chose one from each category. For the physical model, this study calculated long-term data without missing data using parameter calibration of the Soil Water Assessment Tool (SWAT), a physical model tested for its applicability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The data was used as training data for the Long Short-Term Memory (LSTM) data-based deep learning technique. An anlysis of the time-series data fond that, during the calibration period (2017-18), the Nash-Sutcliffe Efficiency (NSE) and the determinanation coefficient for fit comparison were high at 0.04 and 0.03,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the SWAT results are superior to the LSTM results. In addition, the annual time-series data from the models were sorted in the descending order, and the resulting flow duration curves were compared with the duration curves based on the observed flow, and the NSE for the SWAT and the LSTM models were 0.95 and 0.91, respectively, and the determination coefficients were 0.96 and 0.92, respectively. The findings indicate that both models yield good performance. Even though the LSTM requires improved simulation accuracy in the low flow sections, the LSTM appears to be widely applicable to calculating flow duration curves for large basins that require longer time for model development and operation due to vast data input, and non-measured basins with insufficient input data.

Assessment of Flood Mitigation Policy in Urban Watershed using Climate Change Scenarios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한 도시유역의 홍수 대응 정책 평가)

  • Hee Won Jee;Seung Beom Seo;Jiheun Kim;Jaepil C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98-498
    • /
    • 2023
  • 정부와 지자체는 기후변화로 인한 홍수 피해를 저감하고자 내수배제 용량 증대, 건전한 물환경 조성 등 다양한 방향의 정책들을 제시하고 있다. 각 지자체 별로 다양한 홍수 대응 정책들을 반영하고 있지만, 2022년 집중호우에 의한 도심지역 침수 피해 사례와 같이 기후변화로 인하여 증가된 홍수량에 대한 적절한 대비를 못하고 있다. 따라서 지자체는 현재의 홍수 대응 정책들과 더불어 추가적인 홍수 대응 정책을 시행하여야 하며, 지속가능한 개발을 고려한 유역의 건전한 물순환을 유지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토지피복 등 유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실행 가능한 홍수 정책들의 대응 효과를 분석하고,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반영한 미래 빈도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최적의 홍수 대응 정책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에서 선정한 홍수 대응 정책은 우수관거 용량을 증대시키는 관거 교체 정책, 지속가능한 저영향개발 기법을 적용한 투수성 포장과 옥상녹화 정책을 선정하였다. 미래 강우 시나리오는 3개의 CMIP6 GCM모형(ACCESS-CM2, CanESM5, GFDL-ESM4)과 2개의 SSP-RCP 시나리오(SSP1-26, SSP5-85)를 사용하였다. 홍수 저감 효과는 도시유출해석모형인 SWMM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정책 이행에 발생하는 공사와 운영 비용을 산정하여 경제적 편익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투수성 포장과 우수관거 용량 확대 정책을 반영하는 정책 시나리오가 가장 경제적인 홍수 저감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정책별 경제적 비용과 홍수 저감 효과 분석은 기후변화에 대비한 도시유역의 홍수 대응 정책을 평가하고 우선순위를 선정하는데 있어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Flow Analysis of Urban Combined Sewer by Personal Computer (개인 전산기를 이용한 도시합류관거의 흐름해석)

  • Jun, Byung Ho;Lee, Hyung Gee;Koo, Ja Kong;Shin, Hang Si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8 no.1
    • /
    • pp.127-140
    • /
    • 1988
  • The management of sewage and rainfall runoff becomes an emerging problem with the growth of urban communities. From the uncontrollable excess intensity or amount of rainfall, the conditions of sewer surcharge or manhole overflow could be generated in the combined sewer network where municipal or industrial wastewaters and rainfall runoff flow. The predictive model far the prevention of property and human life losses from this inundation was studied in this research. In the development of a mathematical flow model for the combined sewer surcharge and overflow, the Preissmann Slot concept and the four-point implicit method of finite difference were utilized. For the usage in personal computer, the overlapping segment method that required less memory storage was adopted. Through the simulation of hypothetical sewer network, the conservation of discharge volume was checked, and the usefulness of the Preissmann Slot was assured from the temporal distribution of discharge and depth along the sewer network. Also the possible field application for the correction of sewer diameters and slopes in the design of sewer network which has no surcharge/overflow condition was suggested.

  • PDF

Optimum Capacity of Retention Basin for Treating Nonpoint Pollutants and Its Removal Efficiency in Industrial Complex Areas (산업단지내 비점오염물질 처리를 위한 적정 저류조 용량 산정 및 처리효율)

  • Kim, Lee-Hyung;Lee, Byung-sik;Kwon, Soo-Youl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7 no.3
    • /
    • pp.75-85
    • /
    • 2005
  • The Construction of industrial complex areas means the increase of imperviousness rate and the increase of nonpoint pollutant emissions during a rainfall. Generally the retention basin can become the alternative for removing and controling these nonpoint pollutants. Recently Ministry of Environment are trying to change the purpose of retention basins from flooding control to nonpoint pollutant control. In order to propel the stormwater management program, administration plan of stormwater management is enacted in Spring, 2005. Hereafter, in a newly developing area, the best management practices should be established to control the nonpoint pollutant. Landuses of the research area are classified to the categories of the 1st manufacturing industry, metal industry, fiber and chemical product manufacturing industry, etc. Therefore,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understand washed-off characteristics of stormwater and to suggest the controling method of nonpoint pollutants. The optimum capacity of the retention basin can be determined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s among data of rainfall, runoff, washed-off pollutants from the areas. The rainfall analysis using the data of normal year, recent 2, 5 and 10 years shows that the 80% rainfall frequency was occurred on 10mm accumulated rainfall, but which is not considered the first flush effect. However, by considering the first flush effect, the appropriate treatment capacity of rainfall can be decreased to 4-5mm accumulated rainfall. Using the criteria, the optimum capacity of retention basin is determined to $12,000m^3$ in the research area. The washed-off nonpoint pollutant loading from the areas have beeb calculated to 435ton/yr for TSS, 238ton/yr for COD, 8,518kg/yr for TKN and 1,816kg/yr for TP. The mass of 78.3ton/yr for TSS, 20.4ton/yr for BOD, 128.6ton/yr for COD, 4.6ton/yr for TKN and 980kg/yr for TP can be reduced by constructing the retention basin. The sediment accumulation rate is also calculated by $6.53kg/m^2-hr$.

  • PDF

A Study on Efficiency of Water Purification of Korean Village Bangjuk[dike] as a Means of Ecological Watershed Management (생태적 유역관리 도구로써 마을방죽의 수질정화 효율성 고찰)

  • An, Byung-Chu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0 no.2
    • /
    • pp.90-100
    • /
    • 2012
  • This study centering on 10 village - Bangjuks analyzed multifunctionality value of village Bangjuks which have been main water treatment system in Korean traditional villages. On the basis of understanding the structure and character of components such as the well, common spring, village waterway and others which making water-flow and consisting of aquatic system in Korean traditional village Bangjuk, the conclusion as the instrumental device of social and ecological role and ecological watershed management, securing the ecosystem soundness of the damaged or deteriated aquatic ecosystem due to the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s as below; 1. The traditional village Bangjuk was environmentally friendly hydraulic system which gathers waterways of village into a point including sewage water, retains and flows out to village through agricultural waterway. Through this Bangjuk, they have managed sewage and rainfall runoff flowed out village efficiently. It is not only a detention system of water but a kind of eco-friendly system that flow out water into the rivers after reusing and filtering it. 2. Around five traditional villages and five villages after modernization, this study classified the types of village Bangjuk as three types considering geographic location, size, etc; marsh type of low swamp, high water -low rice field type of natural flow stucture, low water - high rice field type requiring artificial irrigation facility. All the five traditional villages were turned out to be marsh type of low swamp. Geoji, Sanjeri, Ma-am, Yangchon of the agricultural villages were high water-low rice filed type, and Sangchoenri village was classified low water-high rice field type. 3. This study checked up the function of water purification of village Bangjuk. In Wonteo and Geji villages affected by discharge of village sewer and domestic sewage, the efficiency of ammonia nitrogen($NH_3-N$) and total phosphorus(T-P) was 56~95%, which was high. In Sangcheonri and Sanjeri villages strongly affected by stall and farmland, the efficiency of suspended solids(SS) was 70~85%, and that of total nitrogen(T-N) and total phosphorus(T-P) was 5.3~65%. 4. A water purification system can be found out in the system of village Bangjuk that filter out village sewage and rainfall runoff flowed through the settle and filter of pollution source and denitrification of plants. Through this system of village Bangjuk, it must be used as the basic facilities for the ecological watershed management. The sewage management system of village Bangjuk as a eco-filter must be used and studied as an eco-friendly facility for the ecological watershed management around the subwatershed and catchment.

Performance for a small on-sit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the absorbent biofilter in rural areas (흡수성 Biofilter 를 이용한 농촌 소규모 오수처리 시설의 성능)

  • Kwun, Soon-Kuk;Yoon, Chun-Gyeong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18 no.4
    • /
    • pp.310-315
    • /
    • 1999
  • The feasibility of an absorbent biofilter system was examined for rural wastewater treatment. Hydraulic loading rates varied from 50 to 250 cm/day. Effluent of the septic tank was fed into the absorbent biofilter, and small ventilation fan was provided to supply air at the rate of 250 L/min to aerate the biofilter. The biofilter system demonstrated high removal rates for $BOD_5$ and TSS at the loading rate of 150 cm/day, generally meeting the Korean effluent water quality standard of 20 mg/L applicable to both. The nutrient removal was less satisfactory than the results of $BOD_5$ and TSS, but it was within the expected range of biological treatment processes. Considering the abnormally high influent concentration of nutrients during the experiment, better performance results could have been obtained if ordinary domestic wastewater was used. The system performance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hydraulic loading up to 150 cm/day, which is far more than the loading limit of the sand filter systems. Maintenance requirement was minimal, and no problems with noise, odor, flies or sludge arose. Since the biofilter system can be operated at a distance, operation in remote rural area and multi-system connected to one control office might be advantageous to the rural area. Overall, considering the cost-effectiveness, stable performance, and minimum maintenance, the biofilter system was thought to be a competitive alternative to treat wastewater in Korean rural communities.

  • PDF

Development of treatment facilities for improving water cycle in the water cycle analysis model for the urban catchment (도시유역 물순환 해석 모형의 물순환 개선시설 모듈 개발)

  • Jang, Cheol-Hee;Kim, Hyeon-Jun;Noh, Seo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360-1364
    • /
    • 2010
  • 도시유역 물순환 해석 모형(Catchment hydrologic cycle Analysis Tool, CAT)은 기존의 개념적 매개변수 기반의 집중형 수문모형과 물리적 매개변수 기반의 분포형 수문모형의 장점을 최대한 집약하여, 도시유역 개발 전/후의 장/단기적 물순환 변화특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물순환 개선시설의 효과적인 설계를 지원하기 위한 물순환 해석 모형이다. 이 모형은 수문학적으로 균일하게 판단되는 범위를 소유역으로 분할하여 지형학적 요인에 의한 유출 특성을 객관적으로 반영할 수 있으며, 개발 공간 단위별로 침투, 증발, 지하수 흐름 등의 모의가 가능하도록 하는 링크-노드 방식으로 개발되었다. 모형의 UI(User Interface)는 사용자가 손쉽게 모형을 적용/관리하고, 여러 시나리오를 동시에 효과적으로 모의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모든 입/출력 자료를 엑셀이나 텍스트 형식과 연동되도록 하여 프로젝트별 매개변수 관리가 용이하도록 개발하였다. 특히 본 모형에서는 사용자의 목적에 맞는 다양한 물순환 개선시설(침투시설, 저류지, 습지, 빗물저장시설, 리사이클 및 외부급수 등)의 구현 및 모의가 가능하도록 개발하였다. 여기서, 물순환 개선시설이란 빗물을 흡수하고 저류할 수 있는 도시녹지시설 혹은 구조물로서 도심 내의 불투수면을 저감시키고 유출수를 줄이면서 동시에 녹지를 확보하여 효과적인 물순환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시설들이다. 이러한 물순환 개선시설은 신도시 및 지역 혁신도시 개발 등의 대규모 토지이용변화가 예상되는 개발지역에 대한 평가 및 개선 기술을 제공하여 물순환 건전화를 위한 설계에 직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큰 장점을 지니고 있다. 먼저 침투 시설은 계획침투량을 반영하며 토양으로의 침투량과 지하수로의 이동을 모의한다. 저류시설은 하도 내에 위치한 online 저류지와 하도 외에 위치한 offline 저류지로 구분하고 저류지 수면의 증발량과 취수량을 고려하며, 방류구를 통한 방류량을 반영하였다. offline 저류지의 경우는 하도 내의 흐름의 규모에 따라서 일정량을 넘는 경우만 offline 저류지로 유입될 수 있는 양을 산정하도록 하였으며 하류 하천으로의 방류를 반영하여 홍수 후에 저류지가 비워지도록 하였다. 유역 내의 습지는 식생과 수면에서의 증발산을 반영하였다. 습지의 저류능력을 넘는 양은 월류되어 하류로 유출되며, 방류구를 통한 방류량을 반영하였다. 빗물저장시설의 경우는 초기우수와 같은 일정량 이하의 유입량과 시설용량을 초과하는 양은 방류하도록 하였고, 물 사용량을 반영하였다. 또한, 본 모형에서는 하천 내에서 취수하여 유역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리사이클 처리노드를 계획하였다. 리사이클은 용수 이용 목적에 따라 필요지역으로 공급되는 것으로 하였으며, 하천유지용수의 목적으로 취수되어 상류 혹은 하류의 임의 지역으로 공급되는 것을 포함하였다. 또한, 유역외부에 광역으로 급수되는 공급량도 반영하도록 하였다.

  • PDF

The Study on the Quantification of Pollution Load Reduction Effect of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ies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오염부하 저감효과 정량화 연구)

  • Jeong, Hyeonyong;Kum, Donghyuk;Yu, Nayeong;Woo, Soomin;Lim, Kyo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13-313
    • /
    • 2021
  • 남·북한강 상류 수계에는 만대지구, 가아지구, 자운지구, 도암호유역, 골지천유역, 대기지구 등 총 6개의 비점오염원관리지역이 지정되어 있으며, 비점오염원관리를 위한 관리대책 및 시행계획에 따라 지속적으로 비점오염저감시설이 설치·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기후변화에 따른 집중호우 등의 원인으로 뚜렷한 비점오염 저감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개별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명확한 저감효율이 정량화되지 않아 탁수저감 기여도 및 효율성 평가 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비점오염저감시설별 저감효율 제시가 미흡하였던 시설 중 돌망태, 식생토낭에 대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저감효율 평가를 위해 경사도 3%, 사면 폭 4 m, 사면길이 22 m의 시험포를 조성하였다. 강우시 발생하는 유출수를 대조구와 비교하였으며, 영농시기를 고려하여 영농작업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제거효율법을 통한 저감효율 산정 결과 돌망태와 식생토낭의 SS항목은 80.5%와 73.7%로 저감효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BOD는 71.2%, 60.2%, T-N은 70.5%, 64.7%, T-P는 63.7%, 63.1%로 나타났다. TOC는 46.8%, 38.8%로 다른 항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저감효율이 나타났다. 부하량합산법을 통한 저감효율 산정 결과 돌망태와 식생토낭의 T-N 항목은 78.6%와 70.8%로 저감효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BOD는 77.5%, 65.4%, SS는 76.7%, 67.8%, T-P는 68.4%, 63.7%로 나타났다. TOC는 62.7%, 44.6%로 시설별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제거효율법과 부하량합산법을 이용하여 저감효율을 분석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40%이상의 저감효율이 나타났으며, 돌망태가 식생토낭에 비해 저감효과가 좋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사면의 흙탕물 저감을 위해서는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설치가 우선되어지나, 탁수저감 기여도 및 저감효율 제시를 위한 정량화는 장기간의 모니터링이 필요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효율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 결과는 향후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에 따른 유역 내 오염물질 발생 모의를 위한 모델링의 기초차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Estimation of Roughness Coefficient Using a Representative Grain Diameter (대표입경을 이용한 조도계수 산정에 관한 연구)

  • Jin, Jung-Woo;Lee, Do-Hun;Lee, Eun-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731-173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체가름 시험을 통해 얻은 대표입경으로 조도계수를 산정하고 그 산정된 조도계수의 효용을 검정하고자 하였다. 체가름 분석을 통해 입도곡선을 작성하고 대표입경을 구함으로서 기 수립된 공식에 의한 조도계수를 산정하였다. 산정된 조도계수는 HEC-HMS의 하도추적 방법 중에 하나인 Muskingum-Cunge 8 point 방법과 HEC-RAS의 부정류 해석을 이용한 방법으로 얻은 조도계수를 비교하였다. HEC-HMS의 경우 대상유역인 오산천 유역에 대해 선행연구과정으로 저수지 방류량을 고려한 강우-유출 모형의 매개변수 추정에 관한 연구가 이뤄졌다(2006, 이아름). 선행연구에서는 계산된 유량과 실측 유량을 비교하여 Clark 단위도 방법의 매개변수를 추정하여 그 중 빈도가 큰 유출사상의 경우에 Sabol 식에 의한 모의 결과가 첨두유량의 재현성이 우수하게 나타남을 확인했다. 따라서 HEC-HMS 모형은 Clark 단위도 방법의 매개변수는 Sabol의 식에 의해 모형을 구성하고 2001년, 2002년, 2004년, 2005년의 사상에 대해 강우량, 기흥 저수지와 이동저수지의 실제 방류량을 이용해 유출량을 산정하였다. 이중 오산천 유역에 대해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Muskingum의 하도추적 방법은 Muskingum-Cunge 8 point 방법으로 변경하여 대상유역에서의 조도계수를 산정하였다. HEC-RAS 모형의 부정류 해석은 2002년과 2005년의 사상으로서 상류단 경계조건으로 기흥 저수지의 방류량을 유량수문곡선으로 이용하였고, 하류단 경계조건으로는 회화수위관측소의 수위수문곡선을 이용했다. 대표입경을 이용해 얻은 조도계수를 HEC-HMS, HEC-RAS를 통해 검정한 결과 실측된 유량과 수위를 비교적 잘 재현해 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도계수의 보정을 통한 재현 유량과 수위를 비교했을 때, 대표입경을 통해 얻은 조도계수가 보정 조도계수보다 다소 작은 것으로 해석되었다.하고자 한다.해결책을 얻어내는 상호보완적인 결과를 추구한다. 그가 디자인하는 작품은 전형적인 이미지를 내포하지 않는다. 즉 그의 작품은 기존의 가치와 이념적인 것은 배제하고, 창의적인 개념을 도출하였다.형모서리는 건물 특화 성격이 강하므로 불가피할 경우 소형 액센트 광고 위치를 미리 벽면으로 할애하는 것이 경관 및 입면계획에 유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불확실도 해석모형 등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여 제시하였다. 모든 입출력자료는 프로젝트 단위별로 운영되어 data의 관리가 손쉽도록 하였으며 결과를 DB에 저장하여 다른 모형에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HyGIS-HMS 및 HyGIS-RAS 모형에서 강우-유출-하도 수리해석-범람해석 등이 일괄되게 하나의 시스템 내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HyGIS와 통합된 수리, 수문모형은 국내 하천 및 유역에 적합한 시스템으로서 향후 HydroInformatics 구현을 염두에 둔 특화된 국내 수자원 분야 소프트웨어의 개발에 기본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았다. 또한 저자들의 임상병리학적 연구결과가 다른 문헌에서 보고된 소아 신증후군의 연구결과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자극에 차이가 있지 않나 추측되며 이에 관한 추후 연구가 요망된다. 총대장통과시간의 단축은 결장 분절 모두에서 줄어들어 나타났으나 좌측결장 통과시간의 감소 및 이로 인한 이 부위의 통과시간 비율의 저하가 가장 주요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차가운 생수 섭취가 주로 결장 근위부를 자극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아닌가 해석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생다시마를 주원료로 개발된 생다시마차와 생다시마 음료가 만성 기능성 변비 증세를 개선하는 효능이 잠재적으로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생약제재의 변비약 수준으로 변비 개선 효능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재료 배합비의 개선이나 대장 운동기능을 향상시키는 유효성분의 보강 등이 필요하다는 점도 알 수 있었다.더불어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