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적 유역관리 도구로써 마을방죽의 수질정화 효율성 고찰

A Study on Efficiency of Water Purification of Korean Village Bangjuk[dike] as a Means of Ecological Watershed Management

  • An, Byung-Chul (Environment& Eco-Engineering Services Team, K-water)
  • 발행 : 2012.06.30

초록

본 연구는 수생태계의 건전성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를 마을방죽과 수체계의 원리에서 그 해답을 찾고자 하였으며, 연구대상지 10개의 마을방죽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마을방죽의 수체계를 구성하는 우물, 공동샘, 마을수로 등 물 흐름을 이루고 있는 구성요소들의 구조와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마을방죽의 사회적 생태적 역할 및 도시화로 인해 훼손되거나 소멸된 수생태계 건전성 확보와 생태적 유역관리를 위한 하나의 도구적 방안으로서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마을방죽은 마을에서 발생하는 배출수와 방죽보다 높은 수위의 농경지에서 흘러드는 농수로를 통해 물을 방죽에 모아서 농업용수로 재활용하고, 그 이상의 물은 논도랑을 통해 하천으로 흘려보내는 구조로서, 각 마을에서 발생하는 유출수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생태적 유역관리를 일상에서 실천하고 있었던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단순한 물 흐름의 일시적 저류시설이 아니라, 이를 다시 재사용하고 걸러서 하천으로 보내는 일종의 친환경수처리 시스템인 것이다. 2. 전통마을 5개소와 근대화 이후 농촌마을 5개소를 중심으로 사례대상지 10개의 마을방죽을 선정하여 마을의 수 체계와 방죽의 구조, 물 흐름을 분석하여 방죽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마을방죽의 유형은 소택습지형, 자연유하의 물흐름 구조인 수고답저형, 인위적 수리시설이 필요한 수저답고형 등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사례연구 대상지 중 전통마을 5개소는 모두 소택습지형으로 나타났으며, 근대화 이후 농촌마을 중 계지마을, 산제리마을, 마암마을, 양촌마을은 수고답저형으로, 상천리마을은 수저답고형으로 분류되었다. 3. 소택형 방죽과 수고답저형 방죽, 수저답고형 방죽으로 분류된 사례대상지의 수질분석을 통해 마을방죽의 수질정화 기능을 확인하였다. 마을하수도 유출수와 생활하수의 영향을 받는 원터마을과 계지마을에서는 암모니아성질소($NH_3-N$)와 총인(T-P)의 효율이 56~95%로 높은 것을 볼 수 있으며, 축사와 농경지의 영향이 강한 상천리와 산제리 마을에서는 부유물질(SS)이 70~85%, 총질소(T-N)와 총인(T-P)이 5.3~65%의 효율로 나타났다. 4. 오염원의 침전과 여과, 식물에 의한 탈질작용을 통해 마을에서 유출되는 생활하수, 마을하수도 배출수, 우수유출수 및 비점오염원들이 하천에 유입되기 전에 다시 한번 걸러주게 되는 수질정화 시스템을 마을방죽의 구조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마을방죽은 생태적 유역관리를 위한 기초적 시설로서 활용되어져야 한다. 환경 필터층의 역할을 하는 마을방죽의 수처리 시스템은 단위유역, 집수유역 중심의 생태적 유역관리를 위한 친환경 시설로서 연구되어지고 활용되어야 한다.

This study centering on 10 village - Bangjuks analyzed multifunctionality value of village Bangjuks which have been main water treatment system in Korean traditional villages. On the basis of understanding the structure and character of components such as the well, common spring, village waterway and others which making water-flow and consisting of aquatic system in Korean traditional village Bangjuk, the conclusion as the instrumental device of social and ecological role and ecological watershed management, securing the ecosystem soundness of the damaged or deteriated aquatic ecosystem due to the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s as below; 1. The traditional village Bangjuk was environmentally friendly hydraulic system which gathers waterways of village into a point including sewage water, retains and flows out to village through agricultural waterway. Through this Bangjuk, they have managed sewage and rainfall runoff flowed out village efficiently. It is not only a detention system of water but a kind of eco-friendly system that flow out water into the rivers after reusing and filtering it. 2. Around five traditional villages and five villages after modernization, this study classified the types of village Bangjuk as three types considering geographic location, size, etc; marsh type of low swamp, high water -low rice field type of natural flow stucture, low water - high rice field type requiring artificial irrigation facility. All the five traditional villages were turned out to be marsh type of low swamp. Geoji, Sanjeri, Ma-am, Yangchon of the agricultural villages were high water-low rice filed type, and Sangchoenri village was classified low water-high rice field type. 3. This study checked up the function of water purification of village Bangjuk. In Wonteo and Geji villages affected by discharge of village sewer and domestic sewage, the efficiency of ammonia nitrogen($NH_3-N$) and total phosphorus(T-P) was 56~95%, which was high. In Sangcheonri and Sanjeri villages strongly affected by stall and farmland, the efficiency of suspended solids(SS) was 70~85%, and that of total nitrogen(T-N) and total phosphorus(T-P) was 5.3~65%. 4. A water purification system can be found out in the system of village Bangjuk that filter out village sewage and rainfall runoff flowed through the settle and filter of pollution source and denitrification of plants. Through this system of village Bangjuk, it must be used as the basic facilities for the ecological watershed management. The sewage management system of village Bangjuk as a eco-filter must be used and studied as an eco-friendly facility for the ecological watershed management around the subwatershed and catch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영진(2000). 조선시대 농업과학기술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2. 김영진(2001). 조선후기 이앙법의 확산과 수리시설에 대한 재검토.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재호(2006). 산골사람들의 물이용과 민속적 분류체계. 안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남승희(1999). 외암리 민속마을의 수공간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농림부(1997). 농업용수의 관수로시스템 계획과 물의 이용 및 관리에 관한 연구.
  6. 농림부(2006). 농촌어메니티 자원을 활용한 사례별 농촌마을 모형설계.
  7. 농지개량조합연합회(1999). 농지개량조합연합회 발전사.
  8. 박배경(2004). 우리나라 유역관리 현황과 유역공동체(유역참여센터) 도입방안. 강살리기네트워크 제2차 하천워크샵 자료집.
  9. 박석순, 박배경, 송혜원, 최정현(2005). 효율적 유역관리를 위한 유역공동체 구성방안. 한국물환경학회 추계학술발표자료집.
  10. 박성제(2005). 한국의 통합유역관리의 현황과 과제. 한.미.일 유역관리의 이해와 상호교류를 위한 국제세미나 자료집.
  11. 송영석(1994). 우리나라 농업용 수리시설의 관리실태 조사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안병철(2008). 전통마을 방죽의 환경생태적 가치분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3): 66-77.
  13. 안병철(2009). 전통마을 방죽의 종합적 가치분석 및 활용방안.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염정섭(2000). 조선시대 농서편찬과 농업의 발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유훈조(2007). 물의 활용을 통해 본 한국전통마을의 특성.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윤원근(2003). 우리나라 농촌어메니티 개발정책과 과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5(2): 9-10.
  17. 이도원(2004). 전통마을 경관요소들의 생태적 의미. p. 28
  18. 이동근, 김명수, 구본학 등(2004). 경관생태학. 보문당. pp. 153-154.
  19. 임창수(2008). 어메니티 지향형 농촌마을 공간정비시스템 개발.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최지용, 신은성(1998). 농촌지역 비점오염원 관리방안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1. 한필원(1996). 전통마을의 환경생태학적 해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93(7): 121-133.
  22. 한필원(2003). 한국 남부 씨족마을과 중국 여강지역 납서족 마을의 수 체계 비교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71(1): 133-144.
  23. 환경부(2003). 유역관리시스템의 이해.
  24. 환경부(2006). 비점오염원관리 업무편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