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용혈작용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5초

백금 항암제 cisplatin의 신장독성억제물질 개발

  • 정세영;김봉희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2년도 제1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52-52
    • /
    • 1992
  • cisplatin 자체는 용혈작용이 고농도에서 얼었는데 반하여 호중구 자극상등액에서는 저농도에서 높은 용혈작용을 나타내 신장독성이 호중구 활성화에 기인할 것이라는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In vitro에서 대부분의 활성산소 제거제는 세포독성 억제효과가 있었으며 in vivo 투여시에도 합성 항산화제인 BHA 등은 혈청 BUN, creatinine치의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 좋은 신장독성억제 효과를 보여주었다.

  • PDF

과망간산칼륨, 안정화이산화염소, 포르말린, 황산동이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적혈구에 미치는 시험관내 용혈작용 및 메트헤모글로빈 생성 효과 (In Vitro Hemolysis and Methemoglobin Formation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Erythrocytes Induced by Potassium Permanganate, Stabilized Chlorine Dioxide, Formalin and Copper Sulphate)

  • 정승희;김진우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79-185
    • /
    • 2005
  • 과망간산칼륨 ($KMnO_4$), 안정화이산화염소 ($S-ClO_2$, 3% 수용액), 포르말린 (37% formaldehyde), 황산동 ($CuSO_4$)을 이용하여 넙치 적혈구의 cell damage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in vitro 용혈작용과 methemoglobin (MetHb) 생성을 조사하였다. 실험의 농도는 과망간산칼륨 2-250 ppm, 안정화이산화염소 3.13-400 ppm, 포르말린 31.3-2,000 ppm, 황산동 0.04-5 ppm 이었다. 과망간산칼륨은 31.3-250 ppm, 황산동은 0.63 -5 ppm에서 현저한 용혈작용을 나타내었으나 이와는 반대로 MetHb 생성은 전혀 없었다. 따라서 과망간산칼륨과 황산동은 넙치 적혈구에 대한 cell damage system이 매우 유사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안정화이산화염소의 경우, 용혈작용은 25 ppm 이상의 농도에서 그리고 MetHb 생성은 6.25 ppm 이상의 농도에서 높게 증가하였다. 본 실험에서 유일하게 용혈작용과 MetHb 생성을 양쪽 다 현저하게 나타내었다. 포르말린은 2,000 ppm의 고농도에서도 용혈작용은 없었으며, MetHb 생성은 250-2,000 ppm에서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안정화이산화염소와 포르말린은 넙치 적혈구에 대하여 과망간산칼륨 및 황산동과는 또 다른 cell damage system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산 야생버섯의 용혈작용에 대한 연구 -제 2보: 색시졸각버섯(Laccaria vinaceoavellanea)등 22종의 in vitro 용혈활성 검색 - (Studies on the Hemolytic Activities of Korean Wild Mushrooms (II) - Screening of 22 Mushrooms Including Laccaria vinaceoavellanea for Their Hemolytic Activities -)

  • 정경수;이지선;조문주;이임선
    • 한국균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23-125
    • /
    • 2000
  • 한국산 야생버섯 22종의 용혈독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그 냉침액(cold water extract)의 용혈활성을 검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Collybia confluence(밀버섯), Laccaris vinaceoavellanea(색시졸각버섯) 및 Lenzites betulina(조개껍질버섯) 등 3 종이 mouse 및 rat 적혈구에 대하여 강력한 용혈 작용을 나타내었다. 2. L. vinaceoavellanea은 $100^{\circ}C$ 수욕상에서 30분간 가열하여도 mouse 적혈구에 대한 용혈활성이 80% 이상 유지되어, 열에 매우 안정한 용혈성분을 함유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가돌리니움 이온에 의한 톨라신 용혈활성의 농도의존적 억제 (Dose-dependent suppression of tolaasin-induced hemolysis by gadolinium ion)

  • 허정훈;윤영배;김영기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4권4호
    • /
    • pp.369-374
    • /
    • 2021
  • 느타리버섯의 갈반병은 Pseudomonas tolaasii에 의해 생성된 톨라신 및 이의 유사 펩티드 독소에 의해 발생한다. 톨라신 펩티드들은 세포막에 pore를 형성하고 버섯의 자실체 구조를 파괴한다. 적혈구가 파괴되는 용혈은 톨라신의 세포독성에 의해 일어난다. 톨라신의 용혈활성은 Zn2+ 및 Ni2+과 같은 금속 이온에 의해 저해된다. 가돌리니움 이온을 첨가하였을 때, 톨라신에 의한 용혈작용에서 1 mM 이하의 농도에서는 용혈작용이 증가하고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저해되는 이중 효과가 나타났다. 가돌리니움 이온에 의한 톨라신 활성저해 기작은 다른 양이온들에 의한 저해기작과 다른 것으로 보인다. 가돌리니움 이온은 음전하를 갖는 막지질들에 결합하여 지질막의 측압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톨라신 이온통로의 여닫힘에 직접 작용하기 보다는 막 구조의 단단함을 증가시켜 막에 대한 톨라신 이온통로의 안정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Mastoparan B의 항균 활성 및 용혈 작용에 미치는 소수성도와 양친매성의 영향 (The Effect of Hydrophobicity and Amphiphilicity on the Mastoparan B-induced Antibacterial Activity and Hemolytic Activity)

  • 이봉헌;김광호;장태식;박남규;박장수;강신원
    • 미생물학회지
    • /
    • 제34권1_2호
    • /
    • pp.26-30
    • /
    • 1998
  • Tetradecapeptide인 Mastoparan B(MP B)와 이의 [Ala]-MP B 유도체들을 합성하고 항균 활성 및 용혈 작용을 측정하여 MP B의 활성에 미치는 소수성도(hydrophobicity)와 양친매성(amphiphilicity)의 영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MP B와 소수성도가 MP B 보다 큰 [$Ala^2$]-, [$Ala^4$]-MP B 유도체가 큰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소수성도가 MP B보다 작은 [$Ala^6$]-MP B 유도체의 활성은 MP B와 비슷하거나 작게 나타나 소수성도가 큰 유도체일수록 항균 활성을 크게 나타내었다. 그러나 MP B 보다 소수성도가 큰 유도체인 [$Ala^9$]-MP B는 Ala에 의한 Trp의 치환때문에 MP B 보다 작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용혈 활성 측정 결과 MP B보다 소수성도가 큰 [$Ala^2$]-, [$Ala^4$]-MP B 유도체가 각각 100.0%와 69.4%로써 용혈 작용을 크게 나타냈으나, 소수성도가 작은 [$Ala^6$]-MP B 유도체는 6.1%로써 가장 작은 용혈 작용을 나타내었고 Trp 대신 Ala으로 치환한 소수성도가 큰 유도체인 [$Ala^9$]-MP B는 MP B 보다 작은 26.0%의 용혈 작용을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용혈 작용은 소수성도가 클수록 증가하였으며 양친매성이 활성에 미치는 영향은 적었다.

  • PDF

Zn2+와 Ni2+에 의한 톨라신 용혈활성 저해효과의 pH 의존성 (pH-dependence in the inhibitory effects of Zn2+ and Ni2+ on tolaasin-induced hemolytic activity)

  • 윤영배;최태근;김영기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1권3호
    • /
    • pp.213-217
    • /
    • 2018
  • Pseudomonas tolaasii에 의해 분비되는 톨라신은 펩티드 독소로서, 버섯 자실체 구조와 세포를 파괴하여 갈반병을 일으킨다. 톨라신의 독성은 용혈활성을 측정함으로서 평가하며, 이는 톨라신 분자가 적혈구 막에 pore를 형성하여 세포 구조를 파괴하기 때문이다. 이전 연구에서, $Zn^{2+}$ 뿐만 아니라 $Ni^{2+}$이 톨라신의 세포독성에 억제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Ni^{2+}$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톨라신에 의한 용혈작용을 저해하였으며, 이의 $K_i$ 값은 1.8 mM이었다. 용혈활성은 10 mM 이상의 농도에서 완전히 저해되었다. $Ni^{2+}$의 효과는 pH에 따라 크게 변하지 않았으나, $Zn^{2+}$의 톨라신 세포독성 억제 효과는 염기성 pH에서 크게 증가하였다. 완충액의 pH를 7에서 9로 증가시키면, 50% 용혈작용이 일어나는 시간인 $T_{50}$은 1 mM $Ni^{2+}$에 의해 조금 증가하였으나 $100{\mu}M$ $Zn^{2+}$에서는 크게 증가하였다. $Zn^{2+}$$Ni^{2+}$을 반응용액에 동시에 처리하였을 때, 두 양이온의 상승효과는 모든 pH에서 나타났다. 서로 다른 pH 의존성을 보이는 두 금속이온의 분자적 설명은 톨라신의 pore 형성과 세포 독성에 관한 기작의 이해에 기여할 것이다.

용혈이 Vitamin $B_{12}$ / Folic acid 검사 결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 vitro Hemolysis on Vitamin $B_{12}$ / Folic Acid Results)

  • 김미숙;조윤교;임도화;서소연
    • 핵의학기술
    • /
    • 제12권1호
    • /
    • pp.62-65
    • /
    • 2008
  • 배경: Vitamin $B_{12}$ 및 Folic acid는 모두 수용성 비타민의 일종으로 생체 내에서 보조 효소로서의 작용을 가지고 있지만 특히 세포핵의 DNA 합성에 관여하고 있다. 주로 거대 적아구성 빈혈의 감별 진단과 임신 중 엽산의 저장을 평가하기 위해 측정한다. 용혈 혈청은 혈구 중의 엽산과 비타민 $B_{12}$가 용출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다고 알려져 있으나 수탁 검사기관인 본원의 특성상 이 내용을 충실히 따르기에는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에 용혈의 정도가 검사 결과치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알아보고자 검사를 시행해 보았다. 방법: 용혈되지 않은 검체를 대조군으로 하고 기계적으로 용혈을 일으켜 용혈 정도에 따라 A, B, C그룹으로 분리하여 용혈 검체를 그룹별 각각 10개씩 준비한다. 경쟁반응 원리인 M사의 Vitamin $B_{12}$ [$^{57}Co$]/Folate [$^{125}I$] 시약으로 검사를 실시한다. 결과: Vitamin $B_{12}$는 검체의 용혈이 결과 값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하지만 Folic acid의 경우에는 용혈의 정도에 따라 값이 증가 하였으며, 심하게 용혈 된 경우 모두 표준곡선의 최고치의 값(20 ng/ml 이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찰: 수탁기관인 본원에서는 Vitamin $B_{12}$ 및 Folic acid 검사 의뢰 병원에 검체의 용혈이 검사 결과에 미치는 영향과 검체의 용혈을 막기 위해 채혈 시 주의할 점들을 홍보하고, 분리, 보관 시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위의 결과에서 보았듯이 용혈된 검체로 Folic acid검사를 해서는 안 되며 Vitamin $B_{12}$ 또한 결과 값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용혈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 PDF

한국산 야생버섯의 용혈작용에 대한 연구 - 제 3보 : 무우자갈버섯(Hebeloma crustuliniforme) 용혈독소의 용혈특성 및 in vivo 독성 - (Studies on the Hemolytic Activities of Korean Wild Mushrooms (III) - Hemolytic Characteristics and in vivo Toxicity of Hemolysin of Hebelma crustuliniforme -)

  • 양희정;이지선;정경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9-123
    • /
    • 2002
  • 저자들은 한국산 야생버섯의 독성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전보에서 68종의 한국산 야생버섯의 용혈활성을 검토하였고 그 중 무우자갈버섯(Hebeloma crustuliniforme)이 열내성 용혈독소를 함유함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무우자갈버섯의 용혈성분을 냉침한 후, 황산암모늄 침전, 용해도 차이에 따른 분획 및 투석과정을 거쳐 부분정제하였다. 부분정제된 용혈성분은 분자량 분자량 12,000 이상으로서, 용혈 최적온도는 $37^{\circ}C$이고 세척하지 않은 혈액에 대해서 면양 > 랫트 > 사람 ${\geq}$ 마우스 > 닭의 순으로, 세척한 혈액에 대해서는 면양 > 마우스 > 사람 ${\geq}$ 랫트 > 닭의 순으로 용혈활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무우자갈버섯의 냉침액 및 부분정제한 용혈성분을 마우스에 복강투여한 결과, 용혈은 물론 심한 급성 간독성 및 신장독성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독버섯으로 잘 알려진 무우자갈버섯의 독성이 최소한 부분적으로라도 그 용혈성분에 기인할 가능성을 강하게 암시하고 있다.

느타리버섯 갈반병 원인독소 Tolaasin의 용혈특성 (Hemolytic Properties of Tolaasin Causing the Brown Blotch Disease on Oyster Mushroom)

  • 조광현;박경선;김영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3호
    • /
    • pp.190-195
    • /
    • 2000
  • 재배버섯에 갈색의 침몰성 반점들로 나타나는 갈반병(brown blotch disease)은 Pseudomonas tolaasii의 펩티드성 독소인 tolaasin에 의해서 유발된다. Tolaasin은 18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분자량 1,985 Da의 lipodepsipeptide이며, 생체막에 pore를 형성하여 버섯세포 뿐만 아녀라 세균, 곰팡이, 식물 및 동물세포를 파괴한다. Tolaasin의 활성은 용혈성 독소의 활성측정에 널리 쓰이는 적혈구를 이용하여 독소의 용혈활성을 측정함으로써 이루어졌다. Tolaasin의 용혈활성은 적혈구의 파괴시 방출되는 헤모글로빈 양을 420 nm에서의 흡광도 증가로 측정하거나, 잔존하는 적혈구에 의한 600 nm에서의 흡광도로 측정하였다. P. Tolaasii 배양액의 용혈활성은 배양중 정체기 초기에 증가하기 시작하여 정체기 후기에서 최대로 나타났다. Tolaasin의 용혈활성은 개와 쥐의 적혈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토끼와 닭의 적혈구에서는 낮았다. Tolaasin의 용혈활성에 미치는 양이온들의 효과에서 $ZN^{2+}$ 뿐만 아니라, $Cd^{2+}$$L^{3+}$이 tolaasin의 용혈활성을 저해하였으며, 음이온의 경우 $CO_3^2$가 용혈활성을 지연시켰고, 반면 $PO_4^{2-}$의 경우 용혈활성을 증가시켰다.

  • PDF

연명피 사포닌의 독성 및 용혈작용 (Toxicity and Hemolytic Activitiy of Saponin Isolated from Sapindus mukorossi)

  • 박은희
    • 약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37-140
    • /
    • 1995
  • Saponin isolated from Sapindus mukorossi Gaertn has been shown to contain a strong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this study, several pharmacological properties such as acute toxicity, local irritation and hemolytic activity of Sapindus saponin and its genin component, hederagenirl, were examined. The acute toxicity of Sapindus saponin was very low. Estimated from the LD$_{50}$ values, it showed much weaker toxicity in oral administration than in intraperitoneal injection. Hederagenin gave a very high LD$_{50}$ value even in intraperitoneal injection. Sapindus saponin showed a potent local irritation after topical application, whereas hederagenin did a very weak local irritation. Sapindus saponin also gave a high hemolytic activ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