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용해성 생물 대사 산물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6초

Lactobacillus acidophilus의 bile salt deconjugation에 관한 연구

  • 안영태;임광세;백영진;김현욱
    • 한국유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가공기술과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제57회 추계심포지움 - DDA 농업협상에 따른 유가공 업계의 대응
    • /
    • pp.61-74
    • /
    • 2003
  • 담즙산은 cholesterol의 대사산물로 체내에서 cholesterol을 제거하는 주경로로서, 체내 cholesterol 대사를 조절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최근에 복합담즙산 분해활력이 높은 L. acidophilus에 의한 혈중 cholesterol 저하효과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이것은 복합담즙산의 분해로 생성되는 유리 담즙산의 분 배출 증가와 장내 cholesterol 흡수에 필요한 복합 micelle 형성의 방해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유리 담즙산은 장내에서 복합담즙산보다 용해성이 낮아서 흡수되지 않고 분으로 배출되기 쉬워, 간에서는 분으로 배출된 양만큼의 부족한 복합담즙산을 보충하기 위해 cholesterol을 이용하여 새로운 복합담즙산을 생성하기 때문에 결국은 체내의 혈중cholesterol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담즙으로 분비되는 복합담즙산은 소장내에서 cholesterol의 용해 흡수에 도움을 주지만 유리 담즙산은 cholesterol 용해성이 낮기 때문에, 장내 cholesterol 흡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Lactobacillus acidophilus의 복합담즙산염 분해 (Deconjugation of Bile Salts by Lactobacillus acidophilus)

  • 임광세;백영진;임정현;김현욱;안영태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1호
    • /
    • pp.13-25
    • /
    • 2004
  • 담즙산은 cholesterol의 대사산물로 체내에서 cholesterol을 제거하는 주경로로서, 체내 cholesterol 대사를 조절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최근에 복합담즙산 분해활력이 높은 L. acidophilus에 의한 혈중 cholesterol 저하효과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이것은 복합담즙산의 분해로 생성되는 유리 담즙산의 분 배출 증가와 장내 cholesterol 흡수에 필요한 복합 micelle 형성의 방해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유리 담즙산은 장내에서 복합담즙산보다 용해성이 낮아서 흡수되지 않고 분으로 배출되기 쉬워, 간에서는 분으로 배출된 양만큼의 부족한 복합담즙산을 보충하기 위해 cholesterol을 이용하여 새로운 복합담즙산을 생성하기 때문에 결국은 체내의 혈중 cholesterol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담즙으로 분비되는 복합담즙산은 소장내에서 cholesterol의 용해 흡수에 도움을 주지만 유리 담즙산은 cholesterol 용해성이 낮기 때문에, 장내 cholesterol 흡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침지형 막분리 활성오니법에 있어서 생물대사성분의 거동 (Behavior of Soluble Microbial Products in a Submerged Membrane Separation Activated Sludge Process)

  • 차기철;이동열;심진기;이영무;유익근;안승호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959-970
    • /
    • 2000
  • 본 연구는 실험실 규모의 침지형 막분리 활성오니법을 이용하여 생물 대사 성분이 막투과 유속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SMP와 분리막의 fouling과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연속 실험과 회분 실험으로 나누어 운전하였다. 합성 폐수로는 단일 탄소원으로서 phenol을 사용하였다. 생물 반응조의 체류 시간과 MLSS농도는 각각 12hr과 9.000mgVSS/L로 유지하였다. 연속 장치에 있어서 회분 여과 실험을 통해 SMP농도가 증가할수록 막투과 유속은 감소하였고, cake와 gel층이 형성을 증가시켰다. Cake의 저항은 $2.9{\sim}4.0{\times}10^{10}$으로 측정되어 다른 여과 저항보다 막투과 유속의 감소에 중요한 영향을 나타냈다. 회분 페놀 분해 실험에서 SMP종들 중에 $SMP_{nd}$$SMP_{e}$가 난분해성 고분자 물질로서 막투과 감소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또한, SMP농도는 막투과 유속의 감소에 대한 HRT의 증가로서 생물 반응조 내에 축적되었다.

  • PDF

Chivosazole F: 점액세균 Sorangium Cellulosum이 생산하는 다제내성 암세포의 생장억제물질 (Chivosazole F, An Efficient Inhibitor of Multidrug-Resistant Cancer Cells Isolated from Sorangium Cellulosum [Myxobacteria])

  • 안종웅;최상운;서영완;노정래
    • KSBB Journal
    • /
    • 제20권5호
    • /
    • pp.371-375
    • /
    • 2005
  • 암세포가 특정 항암제에 의해 내성을 획득하면 구조가 상이한 타 항암제에도 교차내성을 나타내는 이른바 암세포의 다약제내성(MDR)이 암 화학요법에 있어서 가장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점액세균의 대사산물로부터 다약제내성 암세포에 대한 생장억제물질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cellulose 용해성 점액세균인 Sorangium cellulosum Jw1045의 대사산물에서 우수한 활성을 발견하고 그 활성본체로서 polyene-macrolide계 화합물인 chivosazole F를 분리하였다. Chivosazole F는 시험한 인체기원의 암세포에 대해 모두 강한 생장억제작용을 나타내었으며 $(IC_{50}=0.1\~10ng/ml)$, 다약제내성 암세포주인 CL02와 CP70에 대해서도 감수성세포주와 동일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사실은 chivosazole F가 암세포에 대해 다제내성을 유도하지 않는 우수한 활성물질임을 나타탬과 동시에 다제내성을 극복하는 신규 항암제 선도화합물로서의 유용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그 의미가 크다.

식물생장촉진 근권미생물의 영향에 대한 연구 현황 및 전망 (Current Perspectives on the Effects of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a)

  • 후인르티엔투;전상은;김경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1호
    • /
    • pp.1281-1293
    • /
    • 2019
  • 근권은 식물 뿌리와 토양 미생물이 서로의 신호를 주고 받으며 끊임없이 상호반응하는 역동적인 장소이다. 근권 주위에서 식물의 생장과 생산성에 유익한 토양 미생물을 식물생장촉진근권미생물(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 PGPR)이라 칭하며, 이 PGPR은 식물 전 생장기간동안 생물학적 및 비생물학적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 식물 호르몬 조절, 영양분의 흡수와 이용 등에 영향을 끼침으로써 식물의 생장과 발달, 면역, 생산력 등 중요한 생명 과정에 관여한다. 그리고, PGPR은 식물 생장을 유도하는 2차 대사산물이나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생산하고, 식물의 뿌리 역시 식물 유해한 인자 혹은 병원성 인자에 대항하여 자신을 보호하거나 토양 성질 개선을 위해, PGPR을 유인하고 정착시키기 위한 물질을 생산, 분비한다. 그러므로, 식물과 PGPR 사이의 상호작용은 필수적이면서도 상호의존적이다. 현재까지, PGPR에 대한 많은 연구는 직간접적 개념에 대하여 공통적 또는 다양한 조건들에서 여러 방식으로 PGPR의 기능을 밝히는 방향으로 전개되어 왔다. 본 총설에서는 세포분열과 팽창, 분화에 의한 식물의 생장과 발달의 촉진, 식물생장조절인자와 호르몬의 유도, 영양물질의 고정, 용해, 무기화를 촉진하기 위한 PGPR의 역할과 전략을 소개하였다. 또한 PGPR와 토양 미생물군의 효과에 대한 현재까지의 연구 정보를 요약하였다.

Bacillus sp. MR2에 의한 망간단괴의 생물용출 (Bioleaching of Mn(II) from Manganese Nodules by Bacillus sp. MR2)

  • 최성찬;이가화;이홍금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411-415
    • /
    • 2009
  • 비황화광물인 망간단괴에서 일부 미생물은 비효소학적 과정을 통해 간접적으로 망간(II)을 용출시킬 수 있다. 이때 환원적 용해를 일으킬 수 있는 대사산물의 생성을 위해 제공되는 탄소 및 에너지원인 glucose, sucrose, galactose 등은 생물용출 기술의 장점인 경제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렴한 탄소 및 에너지원으로 corn starch를 이용하면서 망간(II) 용출능력을 지닌 종속영양 미생물로서 Bacillus sp. MR2에 의한 망간(II)의 용출 특성을 알아보았다. 망간(II)의 용출은 MR2의 생장에 수반되어 일어났으며[25.6 g Mn(II) $kg^{-1}$ nodule $day^{-1}$], 24시간 이후에는 생성된 망간(II)의 일부가 망간단괴 입자에 다시 흡착되는 경향을 보였다. 분쇄물을 dialysis tube (MWCO 12,000)에 넣어 MR2와의 접촉을 막았을 때도 유사한 정도의 결과[24.6 g Mn(II) $kg^{-1}$ nodule $day^{-1}$]를 보여 세포와 망간단괴의 직접적 접촉이 필요 없이 세포외 분비물질에 의해 환원적 용해가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에 적용된 영향요인들의 범위에서 최적 용출조건을 분석한 결과, $25\sim35^{\circ}C$, pH 5~7, 접종밀도 1.5~2.5% (v/v), 분쇄물의 농도 2~3 g/L 및 입자크기 <75 ${\mu}m$일 때가 가장 효율이 높았다. 비록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망간(II) 용출속도가 증가했지만 분쇄에 더 많은 에너지가 요구되므로 경제성을 고려한다면 <212 ${\mu}m$가적절한 수준으로 제시될 수 있었다. 이상의 효율적인 망간단괴의 용출 조건 규명은 기존의 물리화학적 금속 회수기술에 비해 적은 비용과 에너지가 요구되는 환경친화적 생물용출 기술의 진보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아욱 잎에서 분리한 Bacillus velezensis MV2의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과 항균활성능 연구 (Complete Genome Sequenc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Bacillus velezensis MV2 Isolated from a Malva verticillate Leaf)

  • 이현주;조은혜;김지혜;문금옥;김민지;신재호;차재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11-11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생 식물인 아욱으로부터 새로운 균주를 분리 및 동정하였고 해당 미생물이 생산하는 항미생물질의 활성과 관련 생합성 유전자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16S rRNA 유전자 서열 정보를 토대로 비교한 결과, 아욱에서 분리된 균주는 Bacillus velezensis이었으며 strain은 MV2라고 명명되었다.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전체 유전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45.57% GC 함량을 가지는 4,191,702 bp 크기의 1개 컨티그(contig)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B. velezensis MV2가 정지기에 생산하는 물질 중 항균 활성이 확인된 소수성 물질 분획을 이용하여 항균 활성 스펙트럼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그람음성균보다 그람양성균에서 더 높은 억제능이 확인되었다. 6종의 곰팡이를 이용한 항진균 활성 테스트에서는 모든 진균에 대해 강한 저해 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F. fujikuroi와 F. graminearum에 대한 항진균 활성이 매우 강하게 나타났다. 세균에 대한 항균물질의 작용 기작 분석을 통해 해당 항균물질은 균을 용해시키는 살균(bactericidal) 특성을 가진 것으로 추측할 수 있었다. B. velezensis MV2의 유전체 염기서열 정보를 통해 이차대사산물 생합성 유전자 cluster를 탐색한 결과 총 47가지 이차대사산물 생산이 예측되었으며, 기존에 밝혀져 있는 물질들과 유사도 80% 이상인 물질은 14개로 확인되었다. 앞서 확인된 내용들을 바탕으로 B. velezensis MV2에서 생성되는 항균물질은 비리보솜 펩타이드성 물질로 예상되며, 향후 항균물질의 동정과 활용 가능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기존에 상업적으로 이용되었던 곰팡이에 대한 활성이 낮은 항균물질 생물제제들과 함께 복합기능성 미생물제로 활용하여 식품산업 및 농업에서의 이용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