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용적분석

검색결과 618건 처리시간 0.022초

슈퍼커패시터 활용성 자가조립된 폴리아닐린, 그래핀 옥사이드 그리고 피트산으로 구성된 다층 초박막 (Layer-by-Layer Self-Assembled Multilayer Film Composed of Polyaniline, Graphene Oxide, and Phytic Acid for Supercapacitor Application)

  • 이명섭;홍종달
    • 대한화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36-44
    • /
    • 2015
  • 본 논문은 layer-by-layer 자가조립법을 이용해서 polyaniline(PANi), graphene oxide(GO) 및 phytic acid(PA)으로 구성된 $(PANi/GO/PANi/PA)_{10}$ 다층을 제작하고, 전기화학적 방법을 활용하여 GO를 ERGO으로 환원하여 완성된 $(PANi/ERGO/PANi/PA)_{10}$ 다층 필름 전극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특히 이 과정에 다층 필름 전극 내에서 고리형 다인산 화합물 나노입자가 PANi을 도핑함과 동시에 전극 내부에 다공성과 표면적을 높여서 $(PANi/ERGO)_{20}$ 전극의 용적 커패시턴스를 개선할 수 있는 지를 조사하였다. 다층 필름 전극의 전기화학적 특성은 1 M $H_2SO_4$ 전해질 하에서 삼 전극 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그 결과, $(PANi/ERGO)_{20}$ 전극은 $1A/cm^3$ 전류밀도에서 $666F/cm^3$의 용적 커패시턴스을 보여주었고, $(PANi/ERGO/PANi/PA)_{10}$ 전극은 $769F/cm^3$에 해당되는 개선된 용적 커패시턴스를 보여주었다. 또한 1000 사이클 이후에도 초기 커패시턴스의 79.3%의 순환 안정성을 유지하였다. 이와 같이 공액성 구성성분들이 서로 포개져서 밀집되게 형성된 $(PANi/ERGO)_{20}$ 전극 내부에 고리형 다인산 화합물 나노입자를 이용한 구조변환을 통해서 전극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국립공원 특별보호구 지정이 훼손 탐방로 주변 토양과 식생피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pecial Protection Area Designation on Soil Properties and Vegetation Coverage of Degraded Trails)

  • 김동환;이동호;김현석;김성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3호
    • /
    • pp.352-359
    • /
    • 2015
  • 본 연구는 훼손지에 적용된 국립공원 특별보호구 제도가 탐방로의 토양과 식생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북한산 국립공원 내 일반 탐방로(개방 탐방로)와 특별보호구로 지정되어 16년 동안 출입이 금지된 탐방로(폐쇄 탐방로)의 토양의 용적밀도, 수분, 총 질소, pH, 유기물 함량을 측정하고, 지면피도를 조사하여 개방 탐방로와 폐쇄탐방로의 토양 및 식생상태를 비교분석하였다. 일반 탐방로의 토양은 탐방로 주변 식생지대의 토양에 비하여 용적밀도가 증가하고 수분과 총 질소, 유기물 함량이 감소하여 훼손을 확인하였으나, 폐쇄 탐방로의 경우, 토양의 용적밀도, 수분, 총 질소, pH, 유기물 함량이 주변 식생지대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탐방로 폐쇄로 인한 생태적 회복을 확인하였다. 지면피도의 경우, 일반 탐방로에서 지면식생과 낙엽의 피도가 낮고 나지와 암석의 피도가 높아 훼손을 확인하였으나, 폐쇄 탐방로에서는 낙엽 암석 나지 피도가 회복되었고, 식생피도는 산림 환경피해도 등급을 적용하였을 때 제한적인 회복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하여 특별보호구 지정을 통해 훼손지의 회복이 가능하나, 토양이 식생에 비하여 더 빠르게 회복됨을 알 수 있었다. 훼손지의 특별보호구 지정은 대상지의 회복특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판단할 필요가 있으며, 특별보호구 제도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대상지의 생태적 사회적 가치와 중요성을 고려한 세분화된 특별보호구 선정 및 관리 기준이 필요하다.

서울시 아파트단지내 조경수목 배식특성 및 개선 연구 (Improvement Planting Method and Characteristics of Planting Design with Ornamental Trees in Apartment Complex, Seoul)

  • 이경재;한봉호;이수동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36-248
    • /
    • 2004
  • 본 연구는 서울시에 조성된 아파트단지내 녹지를 대상으로 식재개념, 식재밀도, 식재유형 및 패턴 등 배식특성을 조사.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대상지는 아파트단지 녹지면적이 크게 달라지는 시기의 대표대상지인 1978년에 준공된 강서구 화곡주공아파트(2단지)(용적률:99%), 1983년에 준공되 강남구 삼익그린아파트(2차)(용적률:175%), 1992년에 준공된 강서구 동신대아아파트(용적률:225%)를 선정하였으며 녹지를 전면녹지, 측면녹지, 후면녹지로 구분하였다. 대상지의 녹지유형별 식재개념은 경관식재로만 이루어져 시기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식재종에 있어서도 외래종 조경수목이 주를 이루어 녹지공간별 차이는 없었다. 아파트단지의 식재밀도은 교목 및 아교목층 0.0~0.2주/$m^{2}$로 관목층의 식재밀도가 부족하였으나 조성시기에 따른 식재밀도의 차이는 없었다. 층위구조는 교목.아교목층과 관목층 수목이 각각 다른 위치에 평면적으로 식재된 단층구조이었으며 녹지공간과 관계없이 독립식재, 열식재, 부등변삼각식재가 주로 활용되었다. 아파트 단지내 녹지는 공가별 식재개념에 따라 식재종, 식재밀도, 층위구조, 식재패턴이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하므로 식재개념에 차별화시키기 위하여 전면녹지는 시각적 차폐와 미적인 기능, 후면녹지는 녹지량 증지 및 생태적 개념, 측면녹지는 녹지량을 증진을 주된 목적으로 조성할 것을 제안하였다.

농업적 토지이용에 따른 토양물리성 변동 평가 (Decadal Changes in Subsoil Physical Properties as Affected by Agricultural Land Use Types in Korea)

  • 조희래;장용선;한경화;옥정훈;황선아;이협성;김동진
    • 환경생물
    • /
    • 제36권4호
    • /
    • pp.567-575
    • /
    • 2018
  • 토지이용별로 토양 물리성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2009년부터 2017년까지 전국의 밭, 과수원, 논을 대상으로 토양물리성 특성을 4년 주기로 분석하였다. 밭은 작토심, 심토 유기물 함량, 심토 산중식 경도가 증가하고 심토 용적밀도가 감소하며, 개량기준 초과비율도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과수원은 경운심이 증가하였으나 심토 유기물 함량이 감소하고 적정기준을 초과하는 비율은 4년 전보다 증가하였다. 논은 작토심, 심토 유기물 함량이 감소하고 심토 용적밀도가 증가하며 개량기준 초과비율이 증가하는 등 물리성 불량이 심화되었다. 최근 10년간 밭, 과수원에 비해 논의 물리성이 악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공통적으로 심토 유기물 함량이 감소하고 심토 용적밀도가 증가하는 주요한 요인은 토양유기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토양물리성 질 관리에 유기물은 중요한 요소이었으며, 특히 논에서 지속적인 유기물 관리와 경운방법 개선 등이 필요하다.

좌측 유방에 대한 용적 변조 회전 방사선 치료 시 자세 오차로 인한 피부 선량 (Comparison of dose-variation in skin due to Set-up error in case of radiation therapy for left breast using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VMAT))

  • 권용재;박령황;김세영;정동민;백종걸;조정희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33권
    • /
    • pp.55-62
    • /
    • 2021
  • 목 적: 방사선 피부염은 유방암 방사선 치료로 인해 발생하는 가장 흔한 부작용 중 하나로 본 연구는 자세오차에 따른 피부선량 차이를 분석하여 방사선 치료 부작용을 줄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유방 모형을 제작하고, 그것을 팬텀에 적용하였으며, 컴퓨터단층촬영을 통해 영상을 획득하였다. 처방선량의 95%가 들어가는 치료계획용적이 체적의 95%이상이 될 수 있도록, Dmax가 처방선량의 107%넘지 않게 치료계획하였다. 자세오차는 X축, Y축, Z축으로 ±1mm/±3mm/±5mm를 동일하게 적용하여 비교평가하였다. 결 과 : 자세오차 시 피부선량의 변동성은 처방선량 대비 약 106%에서 약 123%였으며 가장 큰 피부선량의 증가는 X축의 바깥쪽(lateral) 방향 5mm 자세오차에서 49.24 Gy였다. 처방선량 대비 107%이상의 영역은 skin lateral에서 6.87 cc로 가장 넓게 나타났다. 결 론 : 좌측 유방암 용적 변조 회전 방사선 치료 시 자세오차가 일어났을 경우 X축의 바깥쪽 방향에서 처방선량 대비 가장 큰 피부선량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치료실 CBCT 정합 시 치료받는 쪽 유방의 Y축, Z축을 정합하는 것도 물론 중요하지만 X축을 정합하는데 더 노력한다면 치료 간 피부선량의 변동성을 더 줄이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료된다.

방사성(放射性) 동위원소(同位元素)를 이용(利用)한 적혈구수명측정법(赤血球壽命測定法)(ICSH 추천) (Recommended Method for Radioisotope Red-Cell Survival Studies)

  • Berlin, N.I.;Dudley, R.A.;Garby, L.;Heimpel, H.;Lee, M.;Lewis, S.M.;McIntyre, P.;Mollison, P.L.;Najean, Y.;Pettit, J.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9
    • /
    • 1980
  • 혈액질환(血液疾患), 특히 용혈성빈혈(溶血性貧血)을 수반(隨伴)한 경우(境遇)에 적혈구(赤血球)의 생성(生成), 파괴과정(破壞過程)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빈혈(貧血)의 발생기전(發生機轉) 및 병인(病因), 치료(治療), 예후(豫後) 결정(決定)에 매우 중요(重要)하다. 적혈수명측정법(赤血壽命測定法)은 최근(最近) 방사성(放射性)동위원소(同位元素)를 이용(利用)한 방법(方法)이 소개된 이래 널리 시행(施行)되어 왔다. 그러나 그 방법(方法) 및 결과(結果) 해석(解釋)에 표준화(標準化)가 되어 있지 않았던 중 1971년 ICSH (International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 in Hematology)에서 expert panel을 갖고 ICSH 추천 방법(方法)을 발표(發表)하였고, 본지(本誌)에서도 그 내용(內容)을 게재(揭載)한 바 있다. 1980년 ICSH는 전문기관 및 전문가의 협조(協調)를 얻어 다시 expert panal을 갖은 후 1971년에 추진한 적혈구수명측정법(赤血球壽命測定法)의 일부(一部)를 수정(修正)하여 ICSH의 표준방법(標準方法)으로 발표(發表)하였다. 개정(改正)된 표준방법(標準方法)과 1971년 ICSH추친 방법(方法)과의 차이(差異)는 다음과 같다. $^{51}Cr$표지방법중(標識方法中) 참고방법(參考方法)(Reference method)인 ACD법(法)에 수정(修正)을 가하여, ACD solution 구성성분(構成成分)이 차이(差異)가 있으며, 표지(標識)$^{51}Cr$의 양(量)을 체중당(體重當) $1.5{\mu}Ci$에서 $0.5{\mu}Ci$로 제한(制限)시켰다. 투여방법(投與方法)에 대한 언급 특히 투여하는 표지적혈구(標識赤血球)의 용적을 정확하게 측정 하기 위한 방법 4가지를 추가하였고, 검체준비(檢體準備) 과정중(過程中)의 pipet error를 방지(防止)하기위해 일정(一定)한 형태의 pipet을 사용(使用)하며, 1ml의 tuterculin syringe는 사용(使用)하지 않기로 하였다. 또한 결과분석시(結果分析時) 혈구용적(血球容積)의 항정성(恒定性)을 위해 Sodium pertectnetate($^{99m}Tc$)를 이용(利用)해 혈구용적(血球容積)을 반복(反復)해 측정(測定)하도록 하였으며 이때 사용(使用)하는 방사성동위원소(放射性同位元素)는 $^{32}P$ 대신 $^{99m}Tc$로 하였다. 결과해석시(結果解釋時) IgG 항체(抗體) 또는 IgM 항체(抗體)에 따른 차이점(差異點)에 대한 고려가 추가(追加)되었다. ICSH와 국제혈액학회(國際血液學會)에서 수정(修正)된 ICSH 표준방법(標準方法)에 의한 적혈수명측정법(赤血壽命測定法)을 널리 소개(紹介)하여 결과(結果)의 표준화(標準化)를 기하고자 연관잡지(聯관(關)雜誌)에 게재(揭載)할 것을 요청(要請)하였기에 전문(全文)을 본지(本誌)에 소개(紹介)하고자 한다.

  • PDF

Harbor Gate와 유입하천의 영향을 고려한 만내의 2차원 수리해석 (A Two-dimensional Hydraulic Analysis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River Inflow and Harbor Gate in the Bay)

  • 이재준;이후상;심재설;윤종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8권1호
    • /
    • pp.45-5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연안지역의 방재를 위하여 외해에 방조제를 설치하였을 때 유입하천의 홍수량을 고려하여 만내의 2차원 수리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지역으로 영산강과 목포항 해역을 선정하였으며, 먼저 영산강 살리기 사업으로 인한 하상준설 및 하도변화에 따른 영산강의 수위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HEC-RAS 모형을 적용하여 1차원수리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전세계적으로 사용되고 범용 및 상용화 되어있는 2차원 동수역학 모형인 SMS의 CMS-Flow 모델을 이용하여 외해에 Harbor Gate 설치를 통한 2차원 수리분석을 하고, 영산강의 홍수량에 대한 수리학적 흐름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2차원 모형의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2차원 수리분석은 방조수문 설치 유 무와 내수경계조건으로 영산강 유입량 적용 유무을 고려한 4가지 경우에 대하여 외해 경계조건을 부여하여 실시하였으며, 2차원 모형의 적용 결과 방조수문 설치로 인하여 목포항 해역의 해수면 변화는 영산강 하구둑의 방류량이 지배적이며, 방조수문과 하구둑에 의해 만들어진 저수지의 용적량이 방류량의 용적에 비해 많이 부족하므로 방조수문 설치시 영산강 하구둑과 방조수문의 유기적인 운영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유용성 물질의 분리를 위한 두부순물의 한외여과 (Ultrafiltration of Soybean Curd Whey for the Separation of Functional Components)

  • 서성희;황인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507-513
    • /
    • 1997
  • 두부순물에 함유되어 있는 유용성 물질을 분리·농축하고자 한외여과법을 행하고 그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재생섬유소막과 polysulphone막 모두 pH가 증가할수록 막투과 속도가 감소하였고, pH 3.5에서 한외여과 효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EDTA를 0.01 M 처리한 두부순물의 경우, 처리하지 않은 것보다 오히려 막투과 속도가 감소하였다. 또한 pH가 증가할수록 두부순물의 이온성 칼슘의 농도가 감소하여 이온성 칼슘의 농도 또한 막투과 속도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되었다. Polysulphone막의 경우 용적농축비가 10일 때 COD의 막 제거계수가 79.25%, 단백질 막 제거계수가 98.42%로 나타나 정화효과와 농축액으로의 단백질 농축효과가 컸으며 , 재생섬유소막은 단백질의 막제거 계수는 polysulphone막보다 낮았으나 당을 여과액쪽으로 회수하고자 할 때 더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올리고당을 여과액쪽으로 회수하고자 할 때 라피노오스와 스타키오스의 농도를 상대적으로 높이기 위해서 polysulphone막보다 재생섬유소막이 더 적당하며, 용적농축비는 4배 정도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다발성 손상에 의한 중증외상환자의 경피적 동맥색전술의 유용성 (The Usefullness of Percutaneous Transarterial Embolization in Patients with Severe Multiple Traumas)

  • 유인규;임청환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107-114
    • /
    • 2012
  • 사고로 인해 응급실을 내원한 중증외상환자로 등록된 환자 중 혈관조영술을 시행 받고, 동맥 출혈이 진단되어 동맥색전술을 시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생존군과 사망군을 비교하여 생존의 영향을 미치는 인자와 치료방법으로 혈관조영술 및 색전술의 유용성과 적절한 시행 시점을 연구하였다. 2006년 7월부터 2010년 12월에 경기도에 위치한 H병원 응급실에 중증외상환자로 분류된 환자 중 혈관조영술과 동맥색전술을 시행한 환자 45명을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지표로 ISS(Injury Severity Score)와 RTS(Revised Trauma Score), 적혈구 용적률 (Hematocrit)를 삼았다. 다발성 손상의 의한 중증외상환자의 경피적 동맥색전술은 모두 성공적으로 시술되었고, 환자의 사망률과 합병증을 줄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RTS, ISS, Hematocrit, 쇼크 등이 사망률 조기 인자로써 예측이 가능하였으며 생체활력증후가 안 좋은 환자는 색전술 시행 시점을 가능한 빠르게 진행시켜야 한다.

이변량 Gumbel 혼합모형을 이용한 홍수심도 평가 (Evaluation of Flood Severity Using Bivariate Gumbel Mixed Model)

  • 이정호;정건희;김태웅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2권9호
    • /
    • pp.725-736
    • /
    • 2009
  • 홍수사상은 크게 첨두홍수량, 홍수용적, 지속기간 등과 같은 서로 상관된 세 가지의 요소로 정의될 수 있다. 그러나 그동안 수공학적 계획이나 설계, 운영 등을 위한 홍수빈도해석에서는 주로 첨두홍수량 한가지 요소에 초점을 맞추어 홍수빈도해석을 수행해 왔다. 이러한 단변량 홍수빈도해석은 서로 상관된 홍수사상 사이의 복잡한 확률적 거동을 분석하는 데 있어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umbel 혼합모형을 이용한 이변량 홍수빈도해석을 수행하여 홍수심도를 평가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소양강댐의 35개년 일유입량 자료와 대청댐의 28개년 일유입량자료에 대해 각각의 홍수사상을 분리하고, 분리한 홍수사상에 대해 첨두홍수량과 홍수용적 사이의 결합분포와 결합재현기간 등을 도출하였다. 또한 이러한 이변량 홍수빈도해석에 의해 도출된 홍수 특성을 단변량 홍수빈도해석의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홍수심도 평가에 있어 이변량 홍수빈도 해석기법의 적용성에 관하여 검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