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용수 이용률

Search Result 139,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nalysis of Low Impact Development Application in Waterfront City (수변도시 LID 적용에 따른 효과분석)

  • Kim, Hyung san;Lee, Sang jin;Kim, Baek joong;Baek, Jong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0-40
    • /
    • 2016
  • 우리나라는 산업화시기에 도시지역의 급속한 발달로 불투수면적과 하수보급률이 증가 하였으며, 이로 인해 지하수함량 감소, 용수사용량 증가 및 무분별한 지하수 개발 등은 도시하천의 수질 악화, 유량부족의 문제를 발생시켰다. 또한 1960년대 이후 하천정비사업은 홍수방지 등의 치수 차원에서 주로 정비되어 왔고, 산업화 팽창시기에 도시를 관통하여 흐르는 중소하천은 도시의 과밀화 문제를 해소하는 수단으로서 도로와 주차장등으로 이용되었다. 따라서 수변공간이 가지는 의미와 가치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경우 수변공간은 치수와 이수 등 기능적인 목적을 위주로 관리되고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들어 지속가능한 물순환 체계 구축 및 적응 대책 수립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사업 추진 시 저영향개발 기법의 적용을 확대하도록 권장하고 있으며, 국가하천 주변의 개발허가를 골자로 하는 "친수구역 활용에 관한 특별법"이 공표되어 수변공간 및 수변도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개발에 따른 수문 및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연상태를 가급적 보존하고 불투수면적을 최대한 줄이며, 분산식 우수배제 방식을 지향하는 저영향개발 기법을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수변도시로 개발중인 송산그린시티에 저영향개발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기존의 개발 방식과의 비교를 통하여 저영향개발 기법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 PD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urrently Used as Root Medium Components for Crop Production in Korean Plant Factories (국내에서 식물공장용 배지 재료로 유통되는 무기물의 토양 물리화학적 특성)

  • Shin, Bo Kyoung;Son, Jung Eek;Choi, Jong Myung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21 no.4
    • /
    • pp.336-342
    • /
    • 2012
  • Inorganic materials were commonly used as container media in domestic plant factories.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secure the information in soi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such as vermiculites and perlites. To achieve this, 12 gold and silver vermiculites from China, Zimbabwe, and South Africa and 5 perlites from China were collected based on the marketing grades (MG) in particle sizes and analyzed for determination of their characteristics. The percentage of particles larger than $710{\mu}m$, in China perlite MG 3~5 mm, China silver vermiculites MG > 8 mm and MG 3~8 mm were 99.9%, 99.8%, and 99.7%, respectively, which were much higher than 28.4% in China gold vermiculite MG 0.3~1.0 mm, 14.0% in perlite MG < 1.0 mm, and 12.6% of Zimbabwe silver vermiculite MG < 1.0 mm. The container capacities of perlite MG < 1.0 mm and South Africa silver vermiculite MG 0.25~1.0 mm were 72.0% and 71.1%, respectively. The air space in China silver vermiculite MG 3~8 mm was 49.3% which was higher than other materials tested. However, the China gold and silver vermiculites MG 0.3~1 mm had 3.5% and 2.4% in air space indicating that possible problems could occur in soil aeration when they are used for container media. The percentage of easily available and buffering water of China gold vermiculite MG 0.3~1 mm and perlite MG < 1.0 mm were the highest among test materials. The ranges of pH and electrical conductivity were 6.36 to 10.7 and 0.032 to $0.393dS{\cdot}m^{-1}$ in vermiculites and 7.78 to 8.62 and 0.030 to $0.041dS{\cdot}m^{-1}$ in perlite, respectively. The cation exchange capacity of China silver vermiculite MG 0.3~1 mm were $14.7cmol{\cdot}kg^{-1}$ that was 10 times as high as $0.34cmol{\cdot}kg^{-1}$ in perlite MG 1~2.5 mm. The vermiculites had the higher contents of exchangeable cations such as Ca, K, and Na, than those of perlites.

Study for Habitat Usage of Spot-billed Duck in Korea, Using GPS-Mobile Telemetry (WT-200) (위치추적기(WT-200)를 이용한 흰뺨검둥오리의 서식지 이용에 관한 연구)

  • Shin, Yong-un;Shin, Man-Seok;Lee, Han-soo;Kang, Yong-myung;Moon, Oun-Kyong;Park, Hong-shik;Oh, Hong-shik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0 no.2
    • /
    • pp.146-154
    • /
    • 2016
  • In this study, understanding the habitats on spot-billed duck that wintering-breed in the korea, which using the GPS-Mobile based Telemtry (WT-200), I tried to take advantage as the basic data of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the habitats of the waterbirds of Korea. Study area is Gyeonggi-do Bokhacheon, Chonmichon, Chungcheongnam-do Gokugyochon, Chungcheongbuk-do Byeongcheoncheon, Jeollabuk-do Mangyunggang, which Five rivers and Jeju Island reservoir, I have attached the tracking of the location(WT -200) to the twenty-five spot-billed ducks. among twenty five ducks, twelve ducks moved to overseas countries, the arrival site was China, North Korea, Russia. Moving average distance was 683km, the largest distance was 1,238km. The average northbound starting date was April 26. The average daily movement distance of thirteen ducks remaining in the domestic country is $1.0{\pm}0.89km$, maximum travel distance was 23.8km. The average daily movement distance of wintering prior to average going north dating is a 0.9km, is the largest 14.6km, the breeding season is an average 1.3km, maximum was 14.4km. Spot-billed duck used the rivers in domestic country most frequently, following was rice field, a filed, reservoir. It used the river most frequently during the wintering period, in the breeding season it used paddy paddies most frequently. While wintering, during the day and night's utilization rate was the highest in the river, but utilization rate was incleased on filed, paddy filed at night. During breeding season, daytime and night's utilization rate was the highest but, utilization rate was increased on river and utilization rate was decreased on river. In accordance with time change, spot-billed duck showed different tendency in paddy fields, and they utilized the filed adjacent to rivers mostly.

Evaluation of the Water demand management based on K-WEAP (K-WEAP을 통한 수요관리 평가)

  • Choi, Si-Jung;Seo, Jae-Seung;Lee, Dong-Ryul;Moon, J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560-564
    • /
    • 2008
  • 환경부에서는 2000년 3월에 수립 시행된 물 절약 종합대책의 실효성 확보를 위해 시도별로 "물 수요관리 종합계획"을 수립하여 환경부의 승인을 받도록 하였다. 수요관리를 위한 주요 정책 수단은 유수율제고, 절수기기 보급, 수도요금현실화, 중수도 설치, 하폐수처리수 재이용 등이며 2006년까지 서울, 제주도를 제외한 14개 시도에서 물 수요관리 종합계획을 수립하여 승인 받았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측면에서 수요관리 절감량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첫 번째로는 환경부에서 시범평가에 사용하였던 수요관리 수단별 사업추진실적 평가 이외에 지자체에서 절수량을 고려하여 계획하였던 1인 1일급수량 및 유수율과 상수도통계에서 발표된 실제 1인1일급수량 및 유수율 자료를 이용하여 목표달성율을 산정하고 이를 이용해 평가하였다. 두 번째로는 통합수자원평가계획모형인 K-WEAP(Korea-Water Evaluation And Planning System) 모형을 통해 금강권역을 대상으로 사업추진실적 자료 및 절수량 산정식을 사용하여 K-WEAP 모형에서 수요관리 절수량을 산정하고 물수지분석을 수행하여 가용수량을 평가하였다. 수요관리 평가 기반이 구축된 K-WEAP 모형을 통해 여러 시나리오에 따른 수자원 절감가능량 산정 및 정부, 지자체의 수요관리 정책을 평가할 수 있으며 수요관리, 중수도 이용 등 다양한 수자원 보전환경의 변화를 용수수요 추정에 반영할 수 있다. 또한 수요관리 효과 증대방안 향상으로 국가 및 지자체 오염총량관리 계획 및 수자원장기종합계획 수립에 기술적 발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Variation of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in the Reservoir due to a Rainstorm (호우발생시 저수지 유입 부유사농도의 변화특성 연구)

  • Jang, Su-Hyung;Park, Moo-Jong;Yoon, Yong-Nam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7 no.1
    • /
    • pp.43-54
    • /
    • 200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reservoir operation method in relation to the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due to rainstorms. Present analysis is made for the Tamjin reservoir which is under construction. For the hydrologic computations the Huff rainfall distribution, Clark unit hydrograph method and Puls reservoir routing method are used. The variation of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is calculated by 2-dimensional RMA-4 model.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possible intake time from the reservoir under low frequency flood is estimated and the rainfall-ret urn period - possible intake time relationship is established, which is very important in maintaining the water quality standard when supplying water from the reservoir for different utilizationurn period- possible intake time relationship is established, which is very important in maintaining the water quality standard when supplying water from the reservoir for different utilizations.

Water Resources Assessment of the North Han River Watershed Using the DPSIR Concept (DPSIR 개념을 이용한 북한강 유역의 수자원 평가)

  • Lee, Kil-Seong;Sung, Jin-Young;Chung, Eun-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813-816
    • /
    • 2010
  • 최근 지속가능한 개발의 개념은 국제적으로 경제 개발과 환경 보전 사이에서 논쟁이 중심이 되고 있으며, 수자원 개발과 관리는 이들 논쟁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유역을 관리함에 있어 수자원을 이수, 치수 및 수질의 단일 문제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통합적으로 인식하는 유역통합관리(Integrated Watershed Management, IWM)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역통합관리에 앞서 유역의 상태 및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으로 EEA (European Environment Agency)에서 개발한 추진력(Driving force)-압력(Pressure)-상태(State)-영향(Impact)-반응(Response) (DPSIR) 개념 이용하여 3개의 세부 지표인 이수지표, 치수지표, 수질지표로 구성된 하나의 통합 지수인 유역수자원평가지수를 개발하였다. 세부지표인 이수지표는 연속무강우일수, 인구밀도, 용수수요, 물재이용률 등 16개의 구성요소, 치수지표는 홍수범람위험 지역 내 거주 인구수, 홍수방어시설용량, 개수율, 100 mm 이상 강수일수 등 15개의 구성요소, 수질지표는 BOD (Biochemical Oxygen Demend) 부하량, 수질 등급, 연중 목표 수질 달성일수 등 13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져있다. 이를 북한강 유역 중 북한 지역을 제외한 유역 즉, 수자원단위지도 상의 춘천댐권역(1010) ~ 청평댐권역(1015)의 6개 중권역에 적용하여 비교하였다. 세부지표의 주된 요소인 유출량의 모의를 위해 장기유출모형인 HSPF (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 - Fortran)를 사용하였다. 모형에 입력된 유역평균강수량 자료는 1973년 ~ 2008년까지의 37년의 자료기간을 갖는 북한강유역의 5개 기상관측소 자료를 Thiessen network를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북한강 유역의 현재 수자원의 상태를 지수화하여 나타내고 그 결과를 비교해보았다. 이 결과는 유역 수자원의 파악하여 유역통합관리시 유역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수정하기 위한 의사결정 우선순위를 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 PDF

Establishment of a Real-time Available Water Quantity Evaluation System Reflecting Amount of River Water Usage (하천수 사용량을 반영한 실시간 가용수량 평가체계 구축)

  • Gwon, Yong Hyeon;Kim, Kwang Hoon;Byun, Dong Hyun;Lee, Byong J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70-370
    • /
    • 2022
  • 최근 우리나라는 수자원부존량 대비 수자원이용률이 16%에 불과하며 평상시 하천의 많은 가용수량이 이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하천수 사용은 갈수와 가뭄시를 기준으로 허가 및 관리하고 있으며, 평상시 가용수량을 모니터링하여 하천유지유량, 하천수 사용, 환경대응 등 다양한 수요에 맞게 수량을 합리적으로 배분할 수 있는 수자원관리 체계 구축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상지역인 금강유역의 하천수 사용 및 공급 상황을 파악하고 혼합(유역·하도) 물수지를 이용하여 실시간 가용수량 평가체계를 구축하였다. 실시간 가용수량 평가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 유역의 수문상황과 기상전망(기온, 강우) 자료를 이용하여 장래기간의 강우조건(무강우, Ensemble Streamflow Prediction; ESP), 하천수 사용 및 공급계획(댐, 저수지 방류량 등) 시나리오 조건에 따른 예측기반 가용수량을 평가하였다. 대상 하천의 지류 유입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유역 물수지를 수행하고 하도 물수지를 통해 주요 지점별 하천관리유량과 가용수량을 산정한다. 또한, 유역(수계)간 물이동 및 하천수 사용 시설별 용·배수 체계를 고려하여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산정된 각 취수시설별 유입량, 사용량, 회귀수량, 하천유지유량, 하천관리유량, 유량, 가용수량 등을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GIS와 테이블 기반으로 표출하였다. 본 평가체계를 활용하여 홍수통제소에서 수원(저수, 유수)별 가용수량을 다양한 수요에 맞게 적절하게 배분하고 조정할 수 있고 추후 가뭄 등 비상상황 발생 시 용수공급조정 및 연계운영계획에 반영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Various Blends of Peatmoss and Perlite and the Selection of Rooting Media for Different Growing Seasons (다양한 종류의 피트모스와 펄라이트 혼합에 따른 물리·화학성 변화와 계절별 육묘를 위한 상토 선발)

  • Shim, Chang Yong;Kim, Chang Hyeon;Park, In Sook;Choi, Jong Myung
    •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 /
    • v.34 no.6
    • /
    • pp.886-897
    • /
    • 2016
  • The physical properties of rooting media for the establishment of plugs in a greenhouse are modified according to variations in the greenhouse environment throughout the season. In this study, we established a standard for rooting media for the production of plug seedlings for each growing season (summer, winter and spring fall). Eight types of peatmoss (PM) and 4 types of perlite (PL) commonly used in Korea were collected and blended with the ratio of 7 parts PM to 3 parts PL (v/v) to make 32 different rooting media blends. We determined the total porosity (TP), container capacity (CC), air-filled porosity (AFP), pH, and electrical conductivity (EC) of the 32 media blends, and 6 media blends were selected for seasonal use. We also conducted additional analyses for plant easily available water (EAW), buffering water (BW), cation exchange capacity (CEC), and nutrient contents in the 6 media blends. The TP, CC, and AFP of the 32 media blends ranged from 64.7 to 96.0%, 42.9 to 90.1%, and 1.3 to 27.8%,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the physical properties were strongly influenced by the type of PM and PL. The pH and EC of the PMs ranged from 2.96 to 3.81 and 0.08 to $0.47dS{\cdot}m^{-1}$, respectively. However, after blending the PM with the PL the pH was raised and the EC was lowered The media blends selected for the summer growing season were Blonde Golden peatmoss (BG) + No. 1 perlite size < 1 mm (PE1) and Latagro 0-10 mm (L1) + No. 2 perlite size 1-2 mm (PE2). These two media blends had 89.8-90.9% of TP, 80.8-81.3% of CC, and 9.0-9.7% of AFP. The media blends selected for the winter growing season were Sfagnumi Turvas (ST) + PE2 and Latagro 20-40 mm (L3) + PE2. These media blends had 79.9-86.7% of TP, 60.4-74.9% of CC, and 11.8-19.6% of AFP. The TP, CC, and AFP of two media blends, BG + No.3 perlite 2-5 mm (PE3) and Orange peatmoss (O) + PE3, selected for the spring and fall growing seasons, respectively, were 85.2-87.3%, 77.9%, and 7.4-9.4%, respectively. The percentage of EAW of the media blends selected for the spring, summer, and winter growing seasons ranged from 24.2-24.9%, 22.0-28.6%, and 18.0-21.8%, respectively, but the percentages of BW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elected root media blends. The pH, EC, and CEC of the 6 selected media blends ranged from 3.11-3.97, $0.06-0.26dS{\cdot}m^{-1}$, and $97-119meq{\cdot}100g^{-1}$, respectively.

Possibility of continuous flood modeling by ONE model (ONE 모형에 의한 연속 홍수모의의 가능성)

  • Noh, Jaekyoung;Lee, Jae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1-41
    • /
    • 2022
  • 홍수는 단기간의 사상이다. 평상시 유량은 일단위로 연속유량이라 한다. 홍수해석은 사상 모형을 이용하고, 물 이용의 용수계획에서는 연속 모형에 의한다. 평상시 유량을 홍수처럼 10분, 30분, 60분 단위로 해석할 수 있으면 여러 가지로 편리하다. 홍수기에는 홍수와 이수를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평상시에는 수문자료가 생성되는 기본단위가 10분, 60분이기 때문에 이와 일치하여 유량을 해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저수지에서는 운영자료가 저수율 자료만 관리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면, 연속 홍수모의의 필요성은 매우 높다. 다목적댐도 그 편의성은 말로 형용할 수 없는 수준이다. 홍수모의는 첨두유량도 중요하고, 전체 누적유량도 중요하다. 여기서는 당초 일 단위로 개발된 ONE 모형으로 연속 홍수모의의 가능성을 타진했다. 모형의 검증은 홍수사상 마다 훨씬 긴 장기간의 댐의 유입량, 저수량 오차로 실시했다. 유입량이 누적되면 저수량이 되기 때문에 저수량을 비교하면 확실한 검증 방법이 된다. 유역면적 930.0km2, 총저수량 8억1,500만m3인 용담댐과 유역면적 218.80km2, 유효저수량 3,498만m3인 탑정지를 대상으로 60단위의 장기간 연속 홍수모의 결과를 제시한다. 첫째, 용담댐에 대해 2020년 3월1일부터 6월30일까지 연속유입량을 모의한 결과(ONE모형 매개변수 α=3.18), 면적우량은 최대 12.5mm, 총 371.2mm(3억4,522만m3)였고, 유입량은 최대 1,363.0m3/s, 총 1억8,326만m3로 유출률 53.1%였다, 관측 유입량은 최대 766.1m3/s, 총 2억9,152만m3로 유출률 84.4%로 나타났다. 관측 유입량이 높은 것으로 평가했는데 그 이유는 산정된 유입량이 넓은 수면적에서 오는 음유입량이 발생하는데 이를 0으로 처리하고, 음의 누적 값이 전체유량에 더해지는 계산의 한계에서 비롯한다. 이는 현실적 제한이며, 개선이 필요하다. 댐 수위로 검증한 결과는 관측수위는 EL.257.97~262.92m, 평균 EL.260.40m, 모의수위는 EL.257.22~262.88m, 평균 EL.260.02m로 나타났고, RMSE는 0.174, NSE는 0.959, R2는 0.968로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둘째, 탑정지에 대해 2020년 3월1일부터 6월30일까지 연속유입량을 모의한 결과(ONE모형 매개변수 α=3.18), 면적우량은 최대 18.5mm, 총 311.4mm(6,813만m3)였고, 유입량은 최대 187.8m3/s, 총 3,691만m3로 유출률 54.2%였다. 저수지 수위로 검증한 결과 관측수위는 EL.26.55~29.79m, 평균 EL.29.01m, 모의수위는 EL.26.16~29.92m, 평균 EL.29.07m로 나타났고, RMSE는 0.563, NSE는 0.877, R2는 0.943로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정리하면 2020년 4개월의 장기간 용담댐과 탑정지에 대한 1시간 간격의 연속 홍수모의의 결과는 그 활용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말하고 있다. 이 결과로부터 평상시 댐과 저수지의 실시간 운영자료 검증 및 생산체제의 수문관측업무에 활용 가능한 것으로 평가했다.

  • PDF

Development of ACBIO: A Biosphere Template Using AMBER for a Potential Radioactive Waste Repository (AMBER를 이용한 방사성폐기물처분장 생태계 평가 템플릿 ACBIO 개발)

  • Lee Youn-Myoung;Hwang Yongsoo;Kang Chul-Hyung;Hahn Pil-Soo
    •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JNFCWT)
    • /
    • v.3 no.3
    • /
    • pp.213-229
    • /
    • 2005
  • Nuclides in radioactive wastes are assumed to be transported in the geosphere by groundwater and probably discharged into the biosphere. Quantitative evaluation of doses to human beings due to nuclide transport in the geosphere and through the various pathways in the biosphere is the final step of safety assessment of the radioactive waste repository. To calculate the flux to dose conversion factors (DCFs) for nuclides appearing at GBIs with their decay chains, a template ACBIO which is an AMBER case file based on mathematical model for the mass transfer coefficients between the compartments has been developed considering material balance among the compartments in biosphere and then implementing to AMBER, a general and flexible software tool that allows to build dynamic compartment models. An illustrative calculation with ACBIO is show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