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용수 수요

Search Result 2,190,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 Study about Water Footprint Evaluation of Industrial Sectors (국내 산업들의 물 발자국 산정에 관한 연구)

  • Kim, Junbeum;Kang, Hun;Park, Kiha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5 no.6
    • /
    • pp.400-406
    • /
    • 2013
  • Water footprint means the direct and indirect water resource amount used for the life cycle of different goods, services and industries. In this study, the direct and indirect water resource consumption in industrial sectors were calculated by using water footprint evaluation method. As a result, agriculture and marine product industry takes part of 93% of whole water resource amount, showing the greatest amount of basic unit of water coefficient (637 $m^3/won$) following by petroleum and cool products industry of about 13 $m^3/won$. In the agriculture and marine product industry, the direct water consumption was only 25 billion $m^3$ compared to the indirect water, which is 130 billion $m^3$. The next highest industry was chemical product industry, which consists of 2 billion $m^3$ of the direct water and 4.5 billion $m^3$ of the indirect water consumption. In case of industries which have high direct water,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reduce amount of water related to the industry than to reduce water in actual process. This water footprint of each industry and evaluation method will be useful tool and method for development of national water management policy and regulation.

Water Allocation by Estimation of Damage Function in a Water-Deficit Situation (피해함수 산정을 통한 물 부족 상황에서의 용수배분 방안)

  • Yi, Choong-Sung;Park, Kyo;Choi, Seung-An;Shim, Myung-Pi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9 no.5 s.166
    • /
    • pp.431-440
    • /
    • 2006
  • Recently, water conflicts are rapidly increasing and more serious. So, it needs to establish the reasonable water allocation rules and criteria. This study aims at performing inter-sectoral water allocation with a focus on economic effciency and social utility. To allocate water among the sectoral water uses, water shortage damage functions were estimated and then converged to the utility functions. Finally, each sectoral water uses are allocated by applying 'law equimarginal utility' to maximize social utility. Also weighting factor which reflects scale and characteristic of water demand in a region was estimated to perform the inter-regional water allocation. The water allocation rule was applied to the future water-deficit situation in Han-river basin. As a result, domestic water use was allocated more sufficient agricultural and industrial water use. Also, the water shortage occurs severely in the rural area like Gangwon-do because of its low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This study suggests a alternative view of the economic water allocation which have difficulty under water supply mechanism in Korea.

The Planning and Design of Agricultural Water Resources Development Project using Digital Topographic Data (수치지형정보를 활용한 농업용수개발 사업의 계획 및 설계)

  • 이재기;이현직;최석근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13 no.1
    • /
    • pp.49-59
    • /
    • 1995
  • This thesis is purposed to economical and rational accomplishment of the agricultural water resources development project as to utilize digital topographic information in basic investigation, preliminary planning and detail design process of the agricultural water resources development. In this study, the digital topographic data is acquired to stereo aerial photography of test field and the digital elevation model(DEM) is generated by interpolation of acquired data. Also, the database of basic investigation which is constituted to graphic and at-tribute data is designed.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ethod that is determined to this study makes a contribution to effective accomplishment of the agricultural water resources development project.

  • PDF

A Change of Climatoiogical Environment according to Construction of Yongdam-dam (용담댐 건설에 의한 주변지역 기상변화 고찰)

  • 이태영;정구회;박주철;이범진;김학민;김선태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415-416
    • /
    • 2003
  • 용담댐은 군산산업기지, 전주3공단, 이리 2공단, 군산2공단 및 기타 지방 공업단지의 조성에 따른 신규 용수수요의 급증을 대비하여 안정적으로 용수를 공급하기위한 목적으로 건설되었다. 하지만 대규모 인공시설물중 하나인 다목적댐의 건설은 역기능도 수반하게 되는데 인위적인 지형변화는 급격한 기상변화와 주변지역 농작물에 피해를 가져올 수 있으며 또한 주변 생태계에도 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중략)

  • PDF

에너지(3) - 버려지는 빗물.하수, 모으면 "돈" 되네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43
    • /
    • pp.58-61
    • /
    • 2010
  • 서울시 강동구청은 버려지는 빗물과 하수를 모아 청소용수나 온수 난방에너지로 재활용해 재해 예방은 물론 환경도 살리고 예산 절감 효과까지 톡톡히 보고 있다. 강동구청은 강동어린이회관 옥상에 '빗물은행'을 설치하여 1톤당 1,280원의 예산을 절감하고 있다. 더 나아가 오는 11월에는 조경수나 청소용수, 화장실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대규모 빗물관리시설을 가동할 계획이다. 강동구는 또 지난해 9월 버려지는 하수를 이용한 하수열에너지 시스템을 전국 최초로 강동어린이 회관에 설치하여 온수와 난방 연료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예산절감 효과에 힘입어 강동구는 앞으로 강동아트센터를 비롯한 공공시설 및 민간시설에 빗물집수시설을 설치, 빗물 관련 시설을 확대할 계획이다.

  • PDF

농업용 저수지 건설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홍병만
    • Water for future
    • /
    • v.37 no.4
    • /
    • pp.29-33
    • /
    • 2004
  • 물은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물의 생존을 위하여 없어서는 안될 소중한 자원이다. 농작물을 재배하기 위해서도 토지와 더불어 물이 필수적이다. 지금까지 농업의 역사 대부분은 농경지를 만들고 물을 확보하는 과정이었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농업은 예로부터 벼농사 위주로 영농을 하여왔기 때문에 많은 물을 필요로 하였다. 특히, 벼는 봄에 못자리, 이앙 등에 많은 물을 필요로 하나 우리나라는 봄에 가뭄이 들기 때문에 용수공급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이에 따라 물이 풍부한 시기에 물을 저장하였다가 가물 때 공급할 수 있는 저수지를 용수확보의 가장 유효한 시설물로서 활용하여 왔다.(중략)

  • PDF

Inspection Technology Development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 for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농업용수관리를 위한 WSN 기반 점검기술 개발)

  • Nam, Won-Ho;Kim, Tae-Gon;Choi, Jin-Yong;Kim, Jin-Taek;La, Mi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20-220
    • /
    • 2011
  • 관개배수를 수행하는 농업용 수리시설물은 소규모이고 개소수가 많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가 어려우며, 넓은 지역에 분포하고 있어 시설 현황의 파악조차 쉽지 않다. 농업용 수리시설물은 점검자가 관리항목을 종이 조사표에 수기로 작성하여 시설상태를 점검하고 있기 때문에 자료의 누락 및 오류, 전산화를 위한 재입력 과정 등에 있어서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시설물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정보망을 구성하여 원격으로 관리하거나, 직접 시설물을 돌아보며 관리해야 한다. 전자의 경우에는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적은 수의 관리지점을 제어하는 데는 유리하나, 농업용 수리시설물과 같이 개체수가 많을 경우에는 적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 수리시설 점검 및 관리의 편의성,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농업용 수리시설물에 대하여 점검표준코드를 설계하였으며, WSN (Wireless Sensor Network) 기반의 점검기술 (RFID 및 QR코드)을 개발, 현장 적용을 통하여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WSN 기술을 바탕으로 빠르고 정확하게 시설물을 인식할 수 있으며, 식별한 시설물의 정보를 바탕으로 현장에서 시설물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개발한 기술은 대한민국 이동 지구의 시설물을 관리하는 데 직접 이용함으로써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농업용 수리시설물 점검의 비효율성을 개선하고 시설물 안전 평가 및 현장 이력 관리 등 현장 업무 효율 향상을 통해 농업용 수리시설 관리 및 농업용수 관리에 기여하는 바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 PDF

Groundwater Recharge to Daegu Area (대구지역의 지하수 함양량)

  • Lee, Seung-Hyun;Kim, Yong-Ho;Bae, Sang-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498-502
    • /
    • 2007
  • 대구지역은 최근 30년간(1974년${\sim}$2003년)의 연평균 강수량이 1,065.3mm로 전국 평균의 1,305mm보다 상당히 적으며 특히 연강수량의 약 68%가 6월${\sim}$9월중에 집중되고 있다. 수자원 현황이 다른 지역에 비하여 열악하지만 용수수요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지표수의 이용만으로 용수수요를 만족하기에는 부족한 실정이며 지하수의 적절한 개발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용수수요의 충족을 위해서는 물공급 시스템의 중요한 요소로 평가되는 지하수의 체계적인 관리와 효율적인 운영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대상지역에 대한 지하수함양량의 파악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지하수함양량은 강수양상, 토양특성과 토지이용상태 등에 크게 영향을 받음으로 이에 의한 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NRCS-CN방법을 이용하여 1996${\sim}$2005년간의 최근 10년간의 지하수함양량을 산정하였다. 지하수함양량 산정결과 연평균 1,183.8mm의 강우량에 대하여 연평균 지하수함양량이 291.8mm, 연평균 함양률이 24.7%로 나타났다. 계절별 연평균 함양량과 함양률을 산정한 결과 여름철에는 평균 679mm의 강우량이 발생하였으며 동기간의 평균 지하수함양량이 186mm, 평균 함양률이 27%로 나타났다. 겨울철에는 평균 56mm의 강우량이 발생하였으며 평균 지하수함양량은 6mm, 평균 지하수함양률이 10%로 나타났다. 따라서 강수에 의한 지하수함양량은 유역특성 뿐만 아니라 강수특성에도 많은 영향을 받고 계절적 요인도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Water Demand and Supply Stability Analysis Using Shared Vision Model (Shared Vision 모형을 이용한 용수수급의 안정성 분석)

  • Jeong, Sang-Man;Lee, Joo-Heon;Ahn, Joong-K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7 no.7
    • /
    • pp.569-579
    • /
    • 2004
  • Recently, the extreme drought is often occurred due to the global warming and the serious weather changes. Also, the problems of the water pollution In the developed areas, the oppositions from people in the upper stream area and water concession from the local governments affect the national request to get more clean water resources in upper stream of the undeveloped areas. It also brings on the necessity of recognition for water supply managements. Therefore, as the water demand is rapidly changes in the metropolitan areas, the capability of water supply from the north Han river basin dams should be appropriately investigated.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simulation system using STELLA (equation omitted) software environment, a shared vision model, to analyze the possibility of the stable water supply from north Han river basin dams. Also, three different rules are applied on this model by dividing the water level to minimum(Rule 1), medium(Rule 2) and maximum(Rule 3). Using the rules, the safety yield changes are analyzed for dam rule curve of the reservoir and hydropower release.

A Study of Parallel Reservoir Integrated Operation considering Storage (저류량을 고려한 병렬저수지 연계운영)

  • Park, Ki-Bum;Lee, Soon-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176-1181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water supply analysis and reliability indicators by using allocation rule(AR) about Andong Dam and Imha Dam which have parallel reservoirs system.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allocation rule, for Rule(A) and Rule(B), the contribution of water supply in Andong Dam was 60% more than in Imha Dam, and for Rule(C), the contributions in Andong Dam and Imha Dam were almost equal. In Rule(C), supply is allocated by the ratio which divides the sum of storage and inflow by the mean storage according to the storage state and supply capability state of Andong Dam and Imha Dam. This Rule(C) showed good results in the water supply capability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of parallel reservoirs. In the analysis criteria of water supply in parallel reservoirs system, monthly water change quantity showed better results than monthly constant water quantity in water supply analysis. On the basis of this study, the new technique for water supply analysis was developed to be applied to parallel reservoirs, and this operation rule will establish the efficient operation measures in the application to several kinds of parallel reservoirs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