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용수재이용

Search Result 228,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leaner production technology in the production of polysaccharide (다당류 생산공정에서의 청정기술개발에 관한 연구)

  • Jun, Yong-Bo;Kim, Kyung-Su;Bae, Woo-Kun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11 no.3
    • /
    • pp.51-59
    • /
    • 2003
  • In this study, the efficiency of M/F(micro filtration) system was investigated about the wastewater generated from the production process of ${\beta}-glucan$. M/F membrane used the pellicon 2 cassette filter module of millipore(USA) for the operation of M/F plant system. Flux was rised as operation pressure increased, and decreased with the operation time. As concentration ratio increased, the recovery of ${\beta}-glucan$, which was remaind in retentate was effective. As the fermentation solution of ${\beta}-glucan$ reused, the conversion ratio was 42.5%, and the status of fermentation was stable.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that permeate was applicable as water reuse in cleaner production technology.

  • PDF

Assessing Grain Quality Properties of Reclaimed Wastewater Irrigation (하수처리수의 농업용수 재이용에 따른 벼의 미질특성 분석)

  • Jung, Ki-Woong;Kim, Hak-Kwan;Jang, Tae-Il;Kim, Sang-Min;Park, Seung-Woo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 /
    • v.44 no.6
    • /
    • pp.183-189
    • /
    • 2010
  • This study assess the effects of reclaimed wastewater irrigation on grain quality-related properties of milled rice. To conduct the effects of wastewater reuse on rice quality, the contents of amylose, protein, and milled head rice recovery were analyzed. The water and the soil quality were monitored, and the grain characteristic was analyzed using a NIRS (Near Infra-Red Spectroscopy). The value of the grain properties of the rice which was cultivated with the reclaimed wastewater didn't show a big difference from other common rice. The significant difference by each processing distinction was shown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5% in the statistical result.

Alkaline Cleaning Wastewater Treatment Using Ultrafiltration Membranes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세척오수의 처리)

  • 장규만;이민수;정건용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4a
    • /
    • pp.117-119
    • /
    • 1998
  • 1. 서론 : 본 연구에서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하여 대형건물에서 발생하는 오수, 동/식물성 오일과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ㅈ 중국식당 배수 및 자동차 세척 배수를 처리하였다. 대형건물 및 식당 배수에서는 한외여과막 투과수를 재사용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공정이 요구되나 자동차 세차배수의 경우, 한외여과막으로 오일 성분만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유효성분인 세척제와 세척용수를 재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Integrated Approach for Rehabilitating the Hydrologic Cycle in the Anyangcheon Watershed(II): Prefeasibility Study (안양천 유역의 물순환 건전화를 위한 통합관리방안(II): 예비 타당성 계획)

  • Lee Kil Seong;Chung Eun-Sung;Kim Young-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497-501
    • /
    • 2005
  • 근래 들어 도시화로 인한 물순환 파괴를 근본적으로 연구하고 이를 정상화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유역관리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유역통합관리의 이론을 실제로 적용한 계획을 세우기 위해서는 Heathcote(1998)가 제안한 다음과 같은 단계별 절차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별 절차는 (1) 대상유역에 대한 정보수집, (2) 문제점 도출, (3) 분명한 목적 수립, (4) 대안의 구성, (5) 대안의 검토, (6) 대안의 효과분석, (7) 최종계획 수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3단계의 과정에 해당된다. Heathcote(1998)는 대안의 선정과 평가를 위한 방법으로 단순평가방법(simple assessment method)과 세부평가방법(detailed assessment method)으로 구분하였는데 본 연구에서 수행한 내용은 단순평가방법에 해당된다. 본 연구는 안양천 유역에서 물순환 건전화의 핵심을 건천화 방지로 판단하고 이를 위한 대안을 크게 지표수, 지하수, 대체수자원 분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지표수 분야의 경우 구조적인 대안으로 소규모 저수지의 개발, 타유역에서의 도수, 보를 이용한 수량 확보, 우오수분리벽을 이용한 상류유출수의 확보, 저협수로 형성, 하천바닥에 차집관로 매설 방지 및 차집관로 유지관리 등이 있으며 비구조적인 대안으로는 기존 저수지의 유지용수 공급을 위한 운영, 유수지의 다목적 활용, 하천수 직접취수 제한 등이 있다. 지하수 분야의 대안으로는 지하철 용출수의 재이용, 지하수의 과다이용 제한, 침투증진시설의 설치 등이 있으며 대체수자원 분야의 대안으로는 하수처리수를 고도처리하여 유지용수로 재이용하는 것, 중소규모 하수처리장의 상류 설치, 대규모 사업장의 폐수를 고도처리하여 활용하는 것, 상수도의 이용 등이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대안들은 Walesh(1989)가 제안한 절차에 따라 기술가능성(technical feasibility), 경제성(economical efficiency), 환경성(environmental feasibility) 등을 정성적으로(qualitatively) 파악하여 실현가능한 대안을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대안들은 중유역별로 검토하여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대안들을 제시하는 예비타당성(Prefeasibility)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렇게 제시된 계획은 향후 과학적인 분석(세부평가방법)을 통해 대안을 평가하고 구체적인 타당성(feasibility) 계획을 수립하는데 토대가 될 것이다.

  • PDF

Application of Smart Water Grid Water Circulation System Linked to Power Generation Industry (발전산업 연계 스마트워터그리드 물순환 시스템의 적용방안)

  • Jang, Dong Woo;Choi, Gye Woon;Park, Hyo 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73-373
    • /
    • 2018
  • 화력발전소, 석유화학공단 등 대규모 배출원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활용하여 온실가스의 배출을 줄이고,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탄소자원화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가전략프로젝트 중 하나이다. 전 세계적으로 탄소자원화 기술은 아직 상용화 단계이지만 최근 강화된 온실가스 감축 의무로 인하여 탄소자원화 시장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화력발전소의 이산화탄소 발생 과정에서 배출되는 수증기는 응축기술을 통하여 새로운 수원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응축된 물의 최적 활용과 사용처 지향적 효율적 물순환을 위한 시설 내 스마트 워터 그리드(SWG) 개념의 물분배 시스템은 발전 산업 내에 탄소자원화의 핵심기술로 사용될 수 있다. SWG는 시설 내 용수공급 관리에서의 관망 운영, 물 수요 관리 등 ICT를 활용한 종합적인 물 분배 시스템으로, 본 연구에서는 SWG 물순환 시스템의 국내외 기술조사를 통해 발전 산업 시설 내에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물의 재이용 시스템을 포함한 SWG 기술, 지능형 관망 운영 기법 기술, 실시간 수질 감시 체계 기술 연구를 기반으로, ICT 기반 용수공급 정보 관리 기술과 수운영 모니터링 기술을 통하여 SWG가 발전 산업 연계 기술로써 적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SWG 시스템을 적용한 산업 인프라를 통하여 산업적 파급 효과를 높이고, 이를 활용한 인력과 비용 절감이 기대되며, 저에너지, 고효율화를 위한 기술력과 글로벌 물 시장진출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연구자료로써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co-Industrial Park (EIP) Development and Key Technologies for Clean Production (청정 생산을 위한 생태산업단지 구축과 주요기술)

  • Yoo, ChangKyoo;Heo, Soon-Ki;Yoo, Dong Joon;Lee, SeungJun;Shin, Ji Na;Park, Yong Joon;Yoon, Hack Mo;Chun, Hee Dong;Moon, Jeong Ki;Lee, In-Beum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43 no.5
    • /
    • pp.549-559
    • /
    • 2005
  • Sustainable industrial development which can minimize an ecological effect by the mankind exertion is recently interested due to an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a resource exhaustion problem. An eco-industrial park (EIP) is a community of manufacturing and service businesses seeking enhanced environmental and economic performance through collaboration in managing environmental and resource issues, including energy, water, and materials. EIP developments which improve a production plant within an eco-friendly greenfield and design a new industrial ecosystem are accomplished recently, which can efficiently re-use the waste and resources from each company within EIP. In this review, the outside and domestic case studies of EIP and cornerstone technologies to develop the EIP, such as energy integration, waste reuse, mass flow analysis, water pinch, and life cycle assessment, are summarized.

Analysis of Groundwater Use and Discharge in Water Curtain Cultivation Areas: Case Study of the Cheongweon and Chungju Areas (청원-충주지역 수막재배용 지하수 사용량 및 배출량 분석)

  • Moon, Sang-Ho;Ha, Kyoochul;Kim, Yongcheol;Yoon, Pilsun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2 no.4
    • /
    • pp.387-398
    • /
    • 2012
  • Korean agricultural areas that employ water curtain cultivation (WCC) have recently suffered extensive groundwater shortages due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facilities. The primary focus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daily groundwater use and discharge rates in the Cheongweon and Chungju pilot areas, while the second focus is to estimate the total amount of groundwater used in WCC areas nationwide in Korea. Taking into consideration several factors, including motor type, outflow abilities of wells, records of daily minimum temperatures below $0^{\circ}C$, and the number of running wells according to weather variations, we estimated that $53,138m^3/ha$ of groundwater had been used in the 4-hectare Cheongweon pilot area during the winter period of late 2011 through early 2012. On a prorated areal basis, we can calculate that the total groundwater used nationwide was 0.57 billion $m^3$ in WCC areas of $10,746m^2$. This value is equivalent to 33.7% of the total agricultural groundwater use (1.69 billion $m^3$) in Korea. During 9-22 February 2012, the daily water discharge rate in the 4-ha Cheongweon pilot area ranged from 2,079 to $2,628m^3$, averaging $2,341m^3$. Combining this value with meteorological records for 94 days with a daily minimum temperature below $0^{\circ}C$ results in an estimated groundwater volume of $54,990m^3/ha$ for the pilot area during the 2011-2012 winter period. The total amount of groundwater used nationwide in WCC areas would then be 0.59 billion $m^3$, equivalent to 34.9% of the total agricultural groundwater use in Korea. In the Chungju area, the groundwater discharge rate was estimated to be less than 805 $m^3$/ha. This value, combined with weather data for 108 days with a daily minimum temperature below $0^{\circ}C$ in this area, can be applied to infer that the total groundwater volume used in WCC areas nationwide is no more than 55% of the total agricultural groundwater use in Korea.

Inspection Technology Development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 for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농업용수관리를 위한 WSN 기반 점검기술 개발)

  • Nam, Won-Ho;Kim, Tae-Gon;Choi, Jin-Yong;Kim, Jin-Taek;La, Mi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20-220
    • /
    • 2011
  • 관개배수를 수행하는 농업용 수리시설물은 소규모이고 개소수가 많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가 어려우며, 넓은 지역에 분포하고 있어 시설 현황의 파악조차 쉽지 않다. 농업용 수리시설물은 점검자가 관리항목을 종이 조사표에 수기로 작성하여 시설상태를 점검하고 있기 때문에 자료의 누락 및 오류, 전산화를 위한 재입력 과정 등에 있어서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시설물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정보망을 구성하여 원격으로 관리하거나, 직접 시설물을 돌아보며 관리해야 한다. 전자의 경우에는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적은 수의 관리지점을 제어하는 데는 유리하나, 농업용 수리시설물과 같이 개체수가 많을 경우에는 적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 수리시설 점검 및 관리의 편의성,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농업용 수리시설물에 대하여 점검표준코드를 설계하였으며, WSN (Wireless Sensor Network) 기반의 점검기술 (RFID 및 QR코드)을 개발, 현장 적용을 통하여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WSN 기술을 바탕으로 빠르고 정확하게 시설물을 인식할 수 있으며, 식별한 시설물의 정보를 바탕으로 현장에서 시설물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개발한 기술은 대한민국 이동 지구의 시설물을 관리하는 데 직접 이용함으로써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농업용 수리시설물 점검의 비효율성을 개선하고 시설물 안전 평가 및 현장 이력 관리 등 현장 업무 효율 향상을 통해 농업용 수리시설 관리 및 농업용수 관리에 기여하는 바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pplication of the Hybrid Constructed Wetland for a Reuse of the Effluent from Bio-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바이오산업폐수처리수의 재이용을 위한 hybrid 인공습지 시스템의 적용가능성 연구)

  • Shin, Jae-Suk;Kim, Sung-Chul;Cho, Kwang-Ju;Choi, Choong-Ho;Choi, In-Wook;Park, Jeong-Ja;Park, Goo-Hyeo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1 no.1
    • /
    • pp.115-121
    • /
    • 2009
  • The hybrid constructed wetland(HCW) as tertiary treatment process of a bio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was employed to estimate applications for the reuse of final effluent. Raw wastewater was sequently treated through chemical and biological treatment processes and the biologically treated water was flowed into the HCW. The HCW system was composed of two constructed wetlands connected in series; The one is the aerobic constructed wetland with natural air draft system whose driving force for air supply w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air inside the wetland and the ambient air, and the other is the anaerobic/anoxic constructed wetland. Average influent concentrations of BOD, SS, T-N and T-P in the HCW were 53mg/L, 48mg/L, 34mg/L and 3mg/L, respectively. After being treated at HCW, final effluent concentrations of BOD, SS, T-N and T-P were 2.3mg/L, 1.2mg/L, 7.95mg/L and 0.83mg/L, respectively. Referring to a reuse standard for a sewage wastewater, final effluent could sufficiently be reuse as landscaping, washing or agriculture water. HCW system with the aerobic/anaerobic combined constructed wetland could be achieved a high removal efficiency because each constructed wetland was functionalized to be removed efficiently organics, nitrogen and phosphorus. HCW system could be estimated to be successful application as tertiary treatment process of a various industrial and municipal wastewater.

  • PDF

Treatment of Recycling Wastewater of Aquaculture Using DynaSand Filter( I ) (상향류식 연속역세여과를 이용한 양어장 순환수 재이용(I))

  • 박종호;김이오;황규덕;황금희;조규석;김동식
    • Journal of Aquaculture
    • /
    • v.15 no.2
    • /
    • pp.87-93
    • /
    • 2002
  •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biological filters used for treating recycled wastewater of aquaculture, the conventional and advanced DynaSand Filters were tested. Applying the fluid mechanics and physical chemistry theories to wastewater treatment plant, the advanced filter focuses on detection of wastewater characteristics and automatic operation of DynaSand Filter to improve backwashing, oxygen transport, turbidity removal and continuous head loss. The Filter removes COD, ammonia, and suspended solids (SS), the major pollutants in aquaculture wastewater. The total volume of the DynaSand Filter is 70 L, while the working volume is 35 L per cycle. The removal efficiency of the advanced DynaSand Filter is 71 % for SS (as against 55 % for the conventional filter), 84 % for ammonia, 85 % for T-P, and 88 % for S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