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외피디자인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39초

현대건축의 외피에 나타난 매체적 구축 특성에 관한 연구 -디 영 뮤지엄과 워커 아트센터에 나타난 코드화와 시리얼화를 중심으로- (A Study on Constructive Characteristic of Media in the Surface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Focused on Codification and Seriality of de Young Museum and Walker Art Center)

  • 전유창;김성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2416-2424
    • /
    • 2011
  • 본 연구는 건축에서 모듈화를 중심으로 한 기계적 생산에서 시리얼화를 중심으로 한 디지털 생산 체계로의 변화가 어떠한 방식으로 현대 건축의 외피 디자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통해 디지털 기술의 발달이 건축 외피의 매체적 표현 양상의 구축과 적극적으로 공조하고 있음을 파악하려 한다. 이를 바탕으로 헤르죠그와 디모론의 2개의 전시시설의 분석을 통해 외피의 구현이 코드화와 이를 생산하기 위한 부재의 시리얼화라는 개념으로부터 가능하다는 사실을 밝히며 외피가 이미지의 즉각적인 표상을 통해 인간과의 지각적 소통이 가능한 매체적 방식으로 구현되는 과정에서의 디지털 디자인 기술의 역할과 의의를 파악하려 한다.

근·현대 건축 외피디자인의 시대성과 표현기법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Architectural Envelop Design between Modern and Contemporary)

  • 조종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6호
    • /
    • pp.29-39
    • /
    • 2013
  • Architecture has been expressed a complexity of their civilization with evolving into a living spaces and a crystalloid of culture in the times. So, architecture is always a dramatic phenomenon related to architectural aesthetic and technical expression in harmony with social and cultural issues by the times. From this point of view, we can describe that architecture is one of an important mediators to analyze the integrated trend of time. Specially an expressed building envelop which is a matter of consequence in the architectural component is first visual factor including architectural meaning and historical back ground. Therefore, this study firstly starts an investment for discriminative characteristics of building envelop design in the times, then will take the comparative analysis related with modern age and contemporary age based on phases of the times. This research will give the chance to prepare of the pillar of future envelop design in the practical affairs and has simultaneously the chance to understand of inclusive envelop design methodology by the changes of the times.

제주건축물의 지역별 및 외피디자인 요소별 특징에 관한 기초 연구 (A Basic Research on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Design Factors of Buildings Skin in Jeju Province)

  • 김태일;양건;이성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11-20
    • /
    • 2011
  •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re trying every effort to be presented as an International Free City with unique combination of history, culture and landscape,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we can find in buildings in Jeju province. The main purpose is to provide basic and informative materials for the landscape formation of Jeju by investigating current status of buildings in Jeju province. This research divides Jeju province into 34 areas and categorizes buildings by use. 2,973 cases in total are collected and analyzed their architectural features. A basic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is conducted in the first and the second stages. And In the third stage, 505 cases whose addresses can be identified are selected for the in-depth analysis of the registered building data on architecture year, building area, and total area. These data are analyzed by the categories of region, year, and size for the study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buildings in Jeju. The results show that territoriality is weak because of the simplicity of building layout on the streets. Exterior form of buildings, streetscape image, and overall city image are tedious and boring because of the lack of the variety of facade and exterior finishing materials.

국내외 비정형 건축물 외피시스템 사례 분석을 통한 설계 및 시공시 고려사항 도출 (Deduction of Considerations During Design and Construction by Analysing Domestic and Abroad Case Analysis of Freeform Building Envelope)

  • 류한국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84-96
    • /
    • 2013
  • 최근 건설 산업의 디지털화로 인하여 건축 디자인이 정형에서 자유로운 비정형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는 최근 비정형이 디자인 경향으로 도입되어 현상설계, 턴키 등에서 설계 당선을 위한 디자인 요소로 많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정형 건축물의 외벽공법을 비정형 건축물의 외피에 그대로 적용함으로써 누수 및 크랙 등 다양한 하자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공사기간과 공사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비정형 건축물의 설계와 시공이 새로운 기술로 도입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비정형 외피시스템 구현을 위한 공법을 국내외 비정형 건축물의 외피시스템 사례 분석을 통하여 실증적으로 시사점을 도출하고 비정형 건축물 외피시스템의 설계와 시공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시공성을 고려한 비정형 형태의 설계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2방향 곡면을 정확히 구현할 수 있는 단위 패널 생산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비정형 콘크리트 외피용 노출 콘크리트 거푸집을 개발하여야 한다. 넷째, 외피 시스템을 부위별로 구분하여 우수처리와 방수를 위한 재료와 공법 특성과 유지관리 방안을 고려하여야 한다.

사례연구를 통한 DSC에 의한 BIPV 가능성 분석 연구 (Analyzing the Possibility of the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with DSC by the Case Studies)

  • 이응직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6권2호
    • /
    • pp.54-63
    • /
    • 2017
  • 건물에너지 자립과 온실가스 배출 저감에 BIPV 역할이 증대되는 가운데 기존 결정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DSC의 적용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DSC의 다양한 색상과 투명성 그리고 방향에 무관한 작동성은 모듈의 다기능 복합재로서 BIPV폭을 크게 확장시킨다. 이에 사례조사 분석을 통해 DSC BIPV의 가능성을 살펴보고 그 활용성을 조망한다. 국 내외 각 3건씩의 사례 조사 분석을 통해 나타난 대부분의 DSC BIPV는 주로 창호와 차양 장치로 구현되고 있고 이는 DSC의 특성과 무관치 않다. 즉, 다양한 색상과 투명성의 모듈은 건물 외피디자인과 에너지 획득에 커다란 전환점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한편으로는 적용모듈의 색상으로 인한 눈의 자극성이 존재하여 BIPV 창호적용에는 건물 및 실의 용도에 따른 색감 고려가 필수적이고 건물외피 적용을 위한 유연한 모듈개발의 경우 DSC BIPV는 상당히 기대되는 확산성을 가질 것이다.

외피 구조를 통한 경계의 유연성 형성에 관한 연구 - 토요 이토와 SANAA의 현대 건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Building Envelope and Formation of Flexible Boundary - Focused on Contemporary Architecture of Toyo Ito and SANAA -)

  • 최상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81-89
    • /
    • 2010
  • The problem of def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ior space and exterior envelope of a building has long been a challenging task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throughout its history. This research chronologically reviews some of the important turning points in various schools of thoughts concerning construction of exterior envelope, with focus on how they influenced and altered the formation of our interior environment. This research also stipulates on how technological advance in the late 20th century laid grounds for a new type of interior-exterior relations in architecture through creation of flexible and ambiguous boundary conditions. The focus of this qualitative research will be on contemporary works of Japanese architects Toyo Ito, SANAA, and related group of architects who address the issues of transparency, flexible interior layout, buffer zones, structural facade, and neutralized (homogeneous) space that produces spatial quality of non-linear, non-hierarchical, and de-materialized space as a direct alternative to modern principles of space making.

이중외피 창호특성에 따른 계절별 실내 주광환경 평가 (Evaluation of Seasonal Daylighting Performance according to Window Compositions of Double Skin Facades)

  • 임태섭;강승모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91-98
    • /
    • 2015
  • Double skin façade is known that several features affected the building energy and daylighting performance. That is why the envelope is able to consist of all architectural materials such as glass, aluminum, wood and insulation for vision of residents and workers in buildings. Its specifications is very diverse according to the building designers and building owners. In recent times, visual environment became a major focus and resulted in the development of cutting edge engineering of diverse glazing systems and shading devices by growing interests of friendly environment. Thus this research has evaluated the fluctuations of interior lighting and atmospheric conditions based on double skin facade systems. Especially in terms of daylighting environment as dependent on solar variations, this research provides quantitative analysis of interior lighting conditions and how it affects the living conditions as well as improve the design of interior spaces.

밤 외피 추출물을 이용한 면직물 염색에서의 두즙 전처리효과 (Reelection Device for Dyeability of Cotton Fabrics with Chestnut Husk Extract by Bean Sap Pre-treatment)

  • 김병미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5-23
    • /
    • 2003
  • Chestnut trees have been used as a dyeing material, which are grow naturally, are cultivated all the area of Korea. So, there is abundant amount of the materials and they have better colorfastness than other natural dyeing materials. But chestnut husk extract is good at silk and wool fabrics, not cotton fabrics. That's why many methods using chestnut extraction for dyeing are being studied. But most of them depend on treatment method with chemical material which doesn't fit with the aim, using natural materials. Therefore in this research, we used protein pre-treatment method which is dyeing chestnut husk extract after treating at cotton fabrics with bean sap. And we studied the effect of dyeability of chestnut husk extract to cotton fabrics. As a result of pre-treatment of bean sap at cotton fabrics, dyeability was increased. Besides laundering fastness, dry cleaning fastness, perspiration fastness and light fastness were almost increased.

  • PDF

미국 공동주택의 건물 외피 에너지코드 검증을 위한 BIM 에너지 계획 방안 -뉴욕시 에너지 코드를 기준으로- (BIM Energy Efficiency Plan for Verification of Building Envelop Energy Code of Housing in USA - Based on the NYC Energy Conservation Code -)

  • 허진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4호
    • /
    • pp.313-322
    • /
    • 2022
  • BIM의 생산성과 효율성 때문에 건축설계 방식으로 BIM을 선택하는 건축가들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건물의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인식 제고와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빌딩에너지 코드의 필요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현재 많이 사용하고 있는 2D CAD 설계방식으로는 건물 외피 에너지코드를 검정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며 디자인 변경에 다른 즉각적인 대응이 어렵다. 이 연구의 목적은 BIM을 통한 건물 외피 에너지 모델링의 효율성을 보여주는 데 있다. 우리는 BIM을 통해 설계과정에서 디자인 변경에 따른 정보 값을 누락이나 재계산 과정 없이 동시에 산출할 수 있기 때문에 건물 외피 에너지코드 검증에서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연구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Revit 2011으로 만든 the Goldin at Essex Crossing 공동주택의 BIM을 사례 모델로 하여, 뉴욕시의 에너지 코드에 부합하기 위한 에너지 계획의 기준을 분석한다. Revit 모델의 설정을 통해 나온 결과 값과 뉴욕시의 에너지코드에서 요구하는 기준 값을 비교한다. 최종적으로 미국 에너지국 (U.S. Department of Energy)에서 제공하는 에너지 검증 프로그램인 COMcheck에 데이터값을 입력하여 건물 외피 에너지 성능이 뉴욕시 에너지 코드에 부합하는 지 여부를 체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