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외수력

Search Result 16,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Proposal of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ology for Hydropower Reservoirs with Resilience Index (회복탄력성을 고려한 발전용댐의 성능평가 방법론 제안)

  • Kim, Dong Hyun;Yoo, Hyung Ju;Shin, Hong-Joon;Lee, Seung O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15 no.1
    • /
    • pp.47-56
    • /
    • 2022
  • Recently, water resources and energy policies such as integrated water management and carbon neutrality are changing rapidly. There is an opinion that the value of hydropower reservoirs related to these policies should be re-evaluated. In the past, they have contributed to flood control in addition to electricity generation, such as operating at a limited water level during the flood season, but loss of power generation is inevitable with this operation. Therefore, this study introduced the concept of resilience to the hydropower generation system to minimize the power loss. A framework for evaluating the power generation performance of them was presented by defining the maximization of electricity sales as performance. Based on the current procedure of multiple operation plan, a scenario was established and simulation was performed using HEC-5. As a result of applying to the framework, it was confirmed that the power genera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each scenario was evaluated as an important factor.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formance of flood control and water use could also be evaluated.

Analysis of Water balance at Kwoesan Dam(2019) (2019년 괴산댐 유역 물수지 분석)

  • Hwang-Bo, Jong Gu;Kim, Ji Hun;Kim, Ki Young;Shin, In Jong;Myung, Moon Soo;Kim, Min G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63-263
    • /
    • 2020
  • 댐 유역 수문자료는 댐의 효율적인 운영, 중장기 댐 운영 계획, 수자원 관리, 댐 저수량 예보 등에 사용된다. 댐의 주요 수문자료로는 일반적으로 유입량인 강수량과 유량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유출량인 방류량, 증발량, 토양수분량으로 구분한다. 현재 강수량, 유량, 방류량은 지속적으로 계측하고 있으나 증발산량과 토양의 저류량 등은 실제적으로 측정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측자료를 물수지 방정식에 대입해 발생한 잔차를 통해 산출한 증발산량과 비교적 정확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는 GLDAS NOAH 지형 모형자료에서 산정된 증발산량간의 비교를 수행하였다. 또한 이렇게 각각 산정한 증발산량으로 월별로 물수지 분석을 정량화하여 분석하였다. 유량자료는 후영교 수위관측소의 자료, 강수량은 괴산군(청천면사무소) 강수량관측소 외 15개소 자료, 댐 방류량자료 등의 실측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증발량은 GLDAS NOAH 지표면 model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저수지 토양수분량은 자료가 없어 고려하지 않았다. 2019년 괴산댐 유역의 총 유입량은 218.54 백만㎥이며, 증발량을 고려한 총 유출량은 200.50 백만㎥으로 나타나 댐의 저류량은 18.05 백만㎥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 저수지의 수위-저수용량 곡선식을 이용하여 계산된 총 저류량은 0.06 백만㎥으로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 원인으로 1. 증발량 추정자료 사용, 2. 토양저류량 미 고려, 3. 자료가 없는 취수량 미 고려 4. 유량, 방류량, 강수량 자료 오차 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GLDAS NOAH 지표면 model을 이용한 연 저수지증발량과 물 수지 방적식을 이용한 연 저수지증발량은 각각 0.79 백만㎥, 18.84 백만㎥으로 나타나, 역시 차이를 보인다. 이는 물 수지 방정식을 이용한 연 저수지증발량은 토양수분증발량 미 고려에 따른 것과 GLDAS NOAH 지표면 model자료는 직접적인 실측 자료가 아닌 추정 자료로 다소 오차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댐 유역 물의 이동을 추적하고 이를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것은 결과적으로 효율적인 댐 운영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최근 실시되는 유량측정과는 달리 물 수지 분석의 주요 인자인 증발량과 토양수분량 등은 측정이 전무하여 여러 가지 방법으로 추정하는 현실이다. 추후 이러한 수문자료를 실측하여 제공한다면 댐 관리 및 중장기 댐 운영 계획 수립 등 효율적인 댐 운영에 대단히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velopment of Multi-Reservoir System Operation Rule Curves for Hydropower Maximization in the Nam Ngum River Basin of Lao PDR (라오스 남능강 유역 다중 저수지 시스템의 최적 수력발전 운영규정 곡선 개발)

  • Lee, Hyun-Jae;Jang, Woong-Chul;Lee, Il-Ju;Lee, Jin-Hee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2 no.6
    • /
    • pp.803-814
    • /
    • 2022
  • The Lao government is continuously developing hydro-power dams in addition to the existing eight power plants in the Nam Ngum River basin and is expanding the power capacity of the existing power plants to meet the expected increase in electricity demand. Accordingly, the Lao government has requested an update on the existing reservoir operating rule curve in order to run the power plants efficiently. To this end, this study reviewed the current independent operating system as well as the joint operating system in order to maximize the annual power generation produced by a power plant by using CSUDP, general-purpose dynamic programming (DP) software. The appropriate operating regulation curve forms (URC/LRC, MRC) were extracted from the DP results, and the annual power generations were simulated by inputting them as the basic operating data of the reservoir operation set of the HEC-ResSim program. By synthesizing the amount of the annual power generation simulated, the existing operation regulation curve, the operational performance, and the opinion of the field operator, the optimal reservoir operation regulation curves that maximize the annual power generation of the target power plant were developed. Results revealed that a system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reservoir produces about 2.5 % more power generation than an independent reservoir due to the synergistic effect of the connection.

A Dynamic Simulation on the Squeezing Flow of ER Fluids (전기유변 유체의 압착유동에 대한 동적 수치모사)

  • 김도훈;주상현;안경현;이승종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11 no.2
    • /
    • pp.82-90
    • /
    • 1999
  • Electrorheological(ER) fluid is a material that shows the dramatic change of rheological properties under an electric field and responds reversibly in a few milliseconds. ER fluid's response to an electric field along with its fast switching capability allows ER devices to be precisely controlled. The real application with ER fluid, however, has many limitations to be overcome; temperature fluctuation, moisture, dust, aggregation, precipitation, and low yield stress, for example. The magnitude and the characteristics of yield stress of ER fluid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actical applications. In this research, a dynamic simulation on the squeezing flow of the ER fluid was carried out. Numerical simulation on isolated chains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effect of hydrodynamic and electrostatic force depending on the chain location, the squeezing rate, and the chain structure. Suspension model that is composed of a large number of particles was also investigated. The increase of normal stresses as well as the existence of a yield stress at an earlier stage could be observed, and the effective control of the normal stresses could be achieved at an optimal condition of the hydrodynamic force and the electrostatic force.

  • PDF

Tidal depositional processes and late Quaternary (Holocene and pre Holocene) stratigraphy in the western coasts of Korea (한국 서해안 조수 퇴적과정과 제4기 후기(현세와 선현세) 층서)

  • 박용안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9 no.1
    • /
    • pp.33-42
    • /
    • 1995
  • 우리나라의 서해(West Sea)는 일명 황해(Yellow Sea)라고 일컬어지는 약 40여 m의 평균 수심을 갖는 대륙붕 해저지형 분지에 의하여 지배되는 전형적 육연해이다, 그런데 이 바다는 중심부(황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중국 대륙의 산동반도에서 양가강 하구에 이르는 서부 해안을 가지며 북부에는 발해만의 해안이 있고 동부에는 서해(황해) 특유의 넓 은 조수환경(tidal environment)과 조수해안이 발달한다. 그러나 남쪽으로는 북서태평양과 연결된다. 한국 서해안이 평균 4m 이상의 조차(tidal range)를 나타내는 조간대 조수환경이 며 조간대 해저지형(intertidal morphology)이 전형적인 퇴적층(체)에 의하여 지배되는 여러 가지 특징을 나타낸다. 서해안 조수환경은 네델란드, 독일 또는 지배되는 여러 가지 특징을 나타낸다. 서해안 조수환경은 네델란드 독일 또는 미국의 경우와 같이 연구가 잘되어 세계 적으로 널리 알려진 소위 barrier island system and tidal depositional environments와는 크 게 다른 퇴적과정과 환경이다. 경기도 남양만의 조수 환경의 경우, 조간대 해저지형 요소인 조류로(tidal channel)와 조간대 정규해저(intertidal zone proper)에 관한 동력적 퇴적과정 연 구결과 조간대 특유의 lateral sedimentation 과 vertical sedimentation 2가지 퇴적과정중 후 자의 퇴적과정이 우세한 것으로 밝혀졌고 이러한 퇴적과정의 진행이 매우 안정한 지속성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퇴적과정의 조간대 퇴적물의 쇄설 입자는 약 20% 미만의 모 래(sand) 입자 50~70%의 실트(silt) 와 점토(clay) 입자가 20~30%에 달하는 입자조직 (grain texture)의 퇴적상을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조간대의 동력적인 조수수괴의 수위(level of tidal water)는 평균 만조선과 평균 저조선으로 한정되며 이것은 퇴적과정과 퇴적작용의 조정(control) 요인으로 조간대 퇴적상의 발달과 분포에 큰 영향을 미친다, 예를들면 남양만 등의 대부분의 서해안 조간대 표층 퇴적상(녁\ulcorner미 sedimentary faci-es)은 만조선에서 간조 선에 가까울수록 조립화현상(coarsening trend)을 나타낸다. 이러한 퇴적상 변화는 저조선에 서 만조선으로의 조간대 지형과 주조수로의 지형.수력학적 특성이 다음과 같기 때문이다. a) a general decrease in width b) a general decrease in depth c) a general decrease in maximum and average current velocities d) a general increase in contents of suspended mud e) a general decrease in grain size of the bottom sand and an increasing abundance of muddy deposits. 우리나라 서해안 조간대 퇴적층(체)의 수직 층서(vertical stratigraphy)는 지난 3여년동안의 수십개의 vibracoring(주상시추)에 의하여 매우 흥미롭고 중요하게 밝혀지고 있는바 이것은 현세(Holocene)와 선현세(preHolocene: 11000 years BP)의 오랜시간 경과에 따른 조수환경 변화의 수직퇴적 과정과 기후 해수면 변화의 현상에 원인이 있다고 해석된다.(박용안 외, 1992-1995)결과적으로 서해안 조수퇴적체(층)의 분지주변(basim margin)진화과정이 밝혀지 고 있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Optimum Slanting Angle in Reticulated Root Piles Installation (그물식 뿌리말뚝의 최적 타설경사각에 관한 실험 연구)

  • 이승현;김병일
    • Geotechnical Engineering
    • /
    • v.11 no.2
    • /
    • pp.29-36
    • /
    • 1995
  • Load testis are executed on model reticulated root piles (RRP) to figure out the optimum slanting angle in the piles installation. One set of model RRP consists of 8 slanting piles which are installed in circular patterns forming two concentric circles, each of which is made by 4 piles. Each pile which is a steel bar of 5m in diameter and 300mm in length is coated to become a pile of 6.5mm in diameter. The slanting angle of the model RRP varies from 0$^{\circ}$ to 20$^{\circ}$ Comparing ultimate bearing capacities of the model RRP of different installation angles, it is observed that the ultimate capacities of the RRP increase as the installation angle increases until 15$^{\circ}$, and the optimum slanting angle of the RRP is around 15$^{\circ}$ The ultimate bearing capacity of the 15$^{\circ}$-RRP is found to be 22% bigger than that of the vertical RRP and 120% bigger than that of the circular surface footing whose diameter is same with the circle formed by outer root piles'heads. However, it is noticed that when the slanting angle of the RRP is increased over 15$^{\circ}$, the ultimate capacity starts to be reduced. The ultimate capacity of 20$^{\circ}$-RRP is even smaller than that of the vertical RRP by as much as 5%. From the observation of the load settlement curve obtained during the RRP load tests, it is known that as the slanting angle gets bigger the load -settlement behavior becomes more ducti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