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판 아동용 외상 후 증상 보고와 부모용 외상 후 증상 보고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hild Report of Post-Traumatic Symptoms (CROPS) and the Parent Report of Post-Traumatic Symptoms (PROPS))

  • 이광민;정성훈;이원기;정운선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2권3호
    • /
    • pp.169-181
    • /
    • 2011
  • Objectives: The Child Report of Post-traumatic Symptoms (CROPS) and the Parent Report of Post-traumatic Symptoms (PROPS) are screening measures for post-traumatic symptoms in children.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s of the CROPS and the PROPS. Methods: The Korean versions of the CROPS and the PROPS were administered to a sample of 304 children aged 6 to 15 years old. The internal reliability, test-retest reliability, factorial validity, predictive validity and concurrent validity were evaluated. Results: The reliability of the CROPS and the PROPS was shown to have excellent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correlation. The single factor structure of the PROPS was good and that of the CROPS was borderline acceptable according to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ther validity measures such as the predictive validity and concurrent validity were also shown to be satisfactory.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Korean versions of the CROPS and the PROPS were reliable measures with satisfactory psychometric qualities. Because it takes less than 5 minutes to fill out the CROPS and the PROPS, respectively they can be quick and easy screening scales for assessing post-traumatic symptoms in Korean children.

강원지역 소방관에서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 및 동반증상에 미치는 리질리언스의 영향 (The Effect of Resilience 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and Comorbid Symptoms in Firefighters)

  • 이홍의;강석훈;예병석;최종혁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6-92
    • /
    • 2012
  • Objective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ilience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s well as comorbid symptoms in firefighters. Methods : We collected 764 firefighters, who worked at six fire department stations in Gangwon-do. We investigated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IES-R), the life events checklists (LEC),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CD-RISC),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 (STAI) and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 (AUDIT). Full PTSD groups, partial PTSD groups and non-PTSD groups, which were classified by IES-R scores, were compared in the LEC, CD-RISC, BDI, STAI and AUDIT, ;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were done for independent predictors of variables. Results : Of the 764 firefighte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C (p<0.001), CD-RISC (p<0.001), BDI (p<0.001), and AUDIT (p=0.001) among the full PTSD groups, partial PTSD groups and non-PTSD groups. However, STAI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ree groups.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D-RISC (${\beta}=-0.168$, p<0.001), LEC (${\beta}=0.211$, p<0.001) and AUDIT (${\beta}=0.115$, p=0.001) we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IES-R.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at resilience might be a protective factor in PTSD and comorbid symptoms of PTSD.

재난 및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에 대한 작업치료 전공자의 인식조사 (Awareness of disaster an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in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 홍영호;조수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539-547
    • /
    • 2017
  • 본 연구는 작업치료를 전공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재난 및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향후 작업치료 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전국에 있는 3년제와 4년제 대학의 작업치료과 재학생 545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결과는 SPSS 19.0 win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 분석(Frequency analysis)을 통해 빈도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분석된 설문자료의 검증을 위하여 카이제곱검정을 실시하였다. 설문항에 대한 Cronbach'alpha는 0.891이다. 조사결과에 의하면 작업치료를 전공으로 하고 있는 학습자의 약 20%가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의 증상 및 발생기전 그리고 진단기준에 대해서 인지하지 못하였다. 산업재해를 통해 신체적인 손상뿐 아니라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와 같은 정신적인 증상을 초래하는 근본적인 이유에 대한 지식은 Likert 5점 척도로 2.92로 충분하지 못했다. 재활치료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 작업치료적인 측면에서 접근하는 교육을 실시하여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Likert 5점 척도로 3.90으로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재난에 대한 인지도간의 상관성보다 재난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Pearson 상관계수가 높게 나타났다.

화상 환자의 방어기제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와의 관련성 (The Correlation Between Defense Mechanism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Burn Patients)

  • 이도원;최양환;김종대;손경락;임우영;전진용
    • 정신신체의학
    • /
    • 제29권2호
    • /
    • pp.191-198
    • /
    • 2021
  • 연구목적 화상 환자의 방어 기제에 따른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의 정도를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 법 화상을 진단받은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사회 인구학적 특성, 화상 관련 특성, 한국판 사건충격척도 개정판(Impact of Event Scale-Revised, IES-R), 한국판 역학조사 우울증 척도(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이화방어기제(Ewha Defense Mechanisms Test, EDMT)를 측정한 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자아 확대적 방식으로 구성된 EDMT의 요인 2의 점수가 IES-R 점수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β=-0.318, p=0.018), EDMT의 요인 2중에서는 통제(β=-0.299, p<0.05), 이타주의(β=-0.276, p<0.05)가 IES-R점수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 론 이 연구에서 화상 환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는 통제, 이타주의 방어 기제와 상관성이 있었으며 화상 환자의 치료에 있어 방어 기제를 평가하는 것은 추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심각도 판단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의료사고 환자들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실태: 의료진의 설명 및 태도와 사회적 지지의 상호작용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in Medical Accident Patients: The Interaction Effect of Clinicians' Explanation and Attitude and Social Support)

  • 김나연 ;이수란 ;최예은 ;손영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3권2호
    • /
    • pp.215-237
    • /
    • 2017
  • 의료사고 관련 연구들은 의료분쟁 및 피해구제와 관련한 법이론적 연구가 대부분이며 의료사고 환자들의 심리적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구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의료사고를 겪은 환자들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현황을 알아보고, 의료진의 설명 및 태도와 PTSD 증상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의료사고 단체와 의료사고 관련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모집된 총 180명의 의료사고 환자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연구대상자 중 171명(95%)이 완전 PTSD 증상 수준으로 선별되었으며 다른 외상 경험자들과 비교해도 PTSD 증상의 심각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의료진의 설명 및 태도가 PTSD 증상에 미치는 주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의료진의 설명 및 태도와 PTSD 증상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 수준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을 때는 의료진의 설명 및 태도에 따른 PTSD 증상의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으나, 사회적 지지 수준이 낮을 때는 의료진의 설명 및 태도가 미흡할수록 PTSD 증상이 악화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의료사고 환자들의 PTSD 증상을 완화하고 예방하는데 있어 심리적, 사회적, 제도적 방안들을 제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PCL-5(DSM-5 기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체크리스트) 한국판 종단 타당화 연구 (A Longitudinal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PCL-5(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hecklist for DSM-5))

  • 이동훈;이덕희;김성현;정다송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8권2호
    • /
    • pp.187-217
    • /
    • 2022
  • 본 연구는 한국판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체크리스트-5(PCL-5)의 타당화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을 대상으로 두 시점에서 온라인 설문을 1년 간격으로 실시하였고, 1시점에서는 1,077명, 2시점에서는 563명의 자료를 본 연구에서 사용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1요인, 4요인, 6요인, 7요인의 모형 적합도를 확인한 결과, 4, 6, 7요인이 수용가능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7, 6, 4요인 순으로 우수한 적합도를 보였다. 다음으로 내적일치도, 오메가 계수, 개념신뢰도, 분산추출지수,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확인한 결과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한국판 외상 후 스트레스 선별 평가지(K-PC-PTSD-5)와 단축형 간이정신진단 검사-18(BSI-18)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검사 모두와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한국판 PCL-5가 향후 PTSD, 우울, 불안, 신체화 증상을 예측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1시점에서 한국판 PCL-5로 측정한 PTSD 증상이 2시점의 PTSD, 우울, 불안, 신체화 증상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ROC 곡선 분석을 통해 PCL-5의 PTSD 증상집단 구분에 대한 변별력을 확인하고 최적 절단점을 제시하였다. PCL-5의 한국판 종단타당화 결과, 본 척도가 한국인에게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측타당도 분석을 통해 한국판 PCL-5가 PTSD 증상뿐만 아니라 우울, 불안, 신체화와 같은 PTSD 관련 증상을 예측가능함을 제시하였으며, PTSD 증상집단에 대한 변별이 가능한 절단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PTSD 증상을 측정하는 기존 타당화 연구와 차별점을 지닌다.

미디어 노출에 의한 간접외상이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영향 : 온라인 설문 조사 연구 (Impact of Indirect Trauma via Media o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 Online Survey Study)

  • 박상의;정유지;이정현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71-79
    • /
    • 2018
  • Objective : Several earlier studies have reported similar symptoms in patients wi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who have been repeatedly exposed to relevant media after disasters and trauma.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indirect trauma experience through media rather than direct traumatic events on an individual's social life. Methods : Five hundred and fifty-four individuals participated in our online, self-reported questionnaire survey. All subjects were asked to complete a demographic questionnaire, Posttraumatic Diagnostic Scale, Beck Depression Inventory,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Korean version of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 Patient Health Questionnaire-15, Suicidal Behaviors Questionnaire-Revised. Participants were assessed in regards to their experience of violent media exposure within the past three months. Results : Data from our study indicates that the group exposed to violent media had significantly higher perceived stress, physical symptoms, insomnia, and suicide ideation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Among the major symptoms of PTSD, the proportion of intrusion symptoms was relatively high in the media exposed group. Conclusion : This suggests that indirect trauma caused by media exposure could cause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The PTSD caused by indirect trauma may have slight differences from the PTSD caused by direct traum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prevent, and control the adverse effects of media.

만성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에서 심박변이도와 증상과의 상관관계 : 외상증상과 심박변이도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Heart Rate Variability and Symptoms in Subjects with Chronic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 박진수;강석훈;박주언;최진희;소형석;김기원;최하연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83-90
    • /
    • 2020
  • Objective : Heart rate variability (HRV) is known to reflect autonomic nervous system activity. Individuals wi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are reported to have lower HRVs. We attempted to find HRV indices with head up tilt position that reflect the symptoms well in order to evaluate PTSD symptoms. Methods : Sixty-seven patients with PTSD and 72 patients without PTSD were assessed using the PTSD Checklist for DSM-5 (PCL-5),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the Beck Anxiety Inventory and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HRV was measured in the head-up tilt position. We collected data regarding heart rate (HR), standard deviation of the NN intervals (SDNN), the square root of the mean squared differences of successive NN intervals (RMSSD), log low-frequency (LNLF) and log high-frequency (LNHF). Results : The value of LNHF was different according to presence or absence of PTSD after head-up tilt position. In the findings of the association between PTSD symptoms and HRV indices as based on head-up tilt, LNHF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total score of PCL-5. Conclusion : The reduction of the high-frequency component of HRVs in the PTSD group might reflect more PTSD symptoms.

정신건강의학과 외래환자 대상 한국판 외상 증상 체크리스트(Trauma Symptom Checklist-40)의 타당도 연구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Trauma Symptom Checklist-40 among Psychiatric Outpatients)

  • 박진;김대호;김은경;김석현;윤미림
    • 정신신체의학
    • /
    • 제26권1호
    • /
    • pp.35-43
    • /
    • 2018
  • 연구목적 복합 외상을 겪는 경우에는 PTSD의 증상을 넘어선 증상들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그러한 다양한 증상을 평가하는 도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외상 증상 체크리스트-40은 자기보고식 검사로 아동기 혹은 성인기의 외상 경험과 관련된 이러한 다양한 증상들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원척도 연구에서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검사 도구이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정신건강의학과 외래 환자를 대상으로 한국판 외상 증상 체크리스트-40 (KTSC-40)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설계 되었다. 방 법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외래를 진료 목적으로 방문한 36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의 자기보고식 평가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외상 증상 체크리스트-40 (TSC-40), 사건 충격척도 개정판(IES-revised), 일생 사건 체크리스트(LEC), Zung 자가평가 우울척도(Zung's Self-Rating Depression Scale), Zung 자가평가 불안척도(Zung's Self-Rating Anxiety Scale)를 이용하였다. 신뢰도는 내적 일치도(Cronbach's ${\alpha}$)로 산출하였고, 요인타당도는 Varimax 직각 회전을 이용한 탐색적 주성분 분석, 각 척도와의 수렴 및 공존 타당도를 위해서는 Spearman 상관분석을 하였다. 결 과 KTSC-40은 Varimax 직각회전을 이용한 주성분 요인 분석을 통해 7개의 요인을 추출하였고, 총 분산의 59.55%를 설명하였다. 이는 원척도 연구에서의 6개의 요인, 5개의 요인과 요인 수는 다르지만 그 내용은 비슷하였다. KTSC-40은 Cronbach's ${\alpha}$ 값이 0.94로 높은 내적 일치도를 가졌다. 또한 다른 PTSD scale과 우울, 불안 척도와의 비교에서 높은 수렴 및 공존 타당도를 보였다. 결 론 KTSC-40의 정신측정학 성질을 조사하여 우수한 타당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만, 요인 분석에서의 원척도와의 약간의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문화적인 요소와 외상 관련 질환이 아닌 정신건강의학과 환자군 등 이질적인 외래 구성 집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결과적으로 KTSC-40은 높은 타당도로 향 후 다양한 임상영역에서 외상과 관련된 증상들을 평가 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외상사건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외상후스트레스증상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Traumatic Events,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mong Social Workers in Public Sector)

  • 이정현;김지애;심민영;전경선;오승아;양정일;이영렬
    • 생물정신의학
    • /
    • 제22권2호
    • /
    • pp.55-62
    • /
    • 2015
  • Objectives Social workers can suffer from occupational stress resulting from dealing with clients, which might lead to metal health problems. We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duty-related traumatic experiences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with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mong social workers in public sector. Methods A total of 110 social workers in public sector (men 30.9%, $36.5{\pm}7.6$ y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were evaluated the frequency and the impact of duty-related traumatic events. Additionally, they completed questionnaires including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for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II for depressive symptoms, the Scale for Suicidal Ideation for suicide symptoms and the Ways of Coping Checklist for stress coping strategies. Results The most frequent traumatic events were "Violent or abusive language from a client" (95.0%) and "Client made a fuss" (94.5%). The most distressing traumatic event was "Seeing a dead body on duty" (7.6 out of 10), which predicte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odds ratio 4.04 ; 95% confidence interval, 1.79-9.11). Among 4 types of stress coping strategies, the emotion-focused cop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fter controlling age and sex (${\beta}$ = 0.50, p < 0.001). Conclusions Social workers in public sector showed high level of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Duty-related traumatic events and the emotional-focused coping strategies were associated with the severity of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The modification of stress coping strategies would alleviate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in social workers in public s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