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외래간호사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5초

비정규직 외래간호사의 근무경험에 대한 융합적 접근 (Integrated approach to the working experience of non-regular outpatient nurse)

  • 이혜진;이도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111-120
    • /
    • 2016
  • 본 논문의 목적은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비정규직 외래간호사가 겪는 경험 세계를 주관적이고 총체적으로 통찰하여 그들의 삶을 이해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로 자신의 경험을 풍부히 나타낼 수 있는 종합병원 비정규직 외래간호사 7명을 임의 표출하였으며, Colaizzi의 현상학적 질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여 4개의 주제 묶음과 8개의 하위 범주로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비정규직 외래간호사는 계약직이라는 특수한 고용방법으로 인해 표면적으로는 근무환경에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이면에는 보상이나 발전에 대한 불만이라는 양가감정을 느끼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비정규직 외래간호사들의 근무경험에 대한 본질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것이며, 이를 통해 비정규직 외래간호사들이 직면하고 있는 현실적인 문제에 관심을 갖고 접근할 수 있는 근거를 뒷받침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설명간호사실 운영 활성화를 통한 외래 환자 만족도 증진 (Improvement of customer satisfaction with "Explanation Nurse Unit")

  • 유혜현;김현미;배미형;김민정;우정인;이은영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9-87
    • /
    • 2009
  • 문제: 본원의 외래 상황은 진료의가 짧은 시간 내에 많은 환자를 진료해야 하고, 진료 환자 모두에게 충분히 만족하도록 설명해주는 것은 매우 어려운 실정이었다. 2007년의 의료기관 본 평가에 앞서 병원 자체 평가 결과 외래환자의 설명 만족도는 57점으로 저조하였다. 목적: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는 서울대학교 병원" 이라는 슬로건 하에 설명간호사 제도를 운영하기 시작하여, 설명간호사실 운영 활성화를 통한 외래 환자 만족도를 향상시키고자 한다. 의료기관: 서울시 종로구에 소재한 대학병원 질 향상 활동: 설명간호사실 방문율 증가 및 one-stop service care을 실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고, 검사 시행 이유, 귀가 후 주의사항 검사 결과, 검사일정 외래 진료 안내 브로셔 및 표준화된 교육 자료를 개발하였다. 또한 설명간호사의 역할 및 업무의 확립을 위한 업무기술서를 개발 및 설명간호사실 환경을 개선하였다. 개선효과: 설명간호사실의 방문율이 내과는 2배, 신경과는 3배 정도 증가하였다. 표준화된 교육 자료 개발로 설명 요구도를 충족시켰고, '환자의 알 권리'와 '설명을 들을 권리'를 보장하였다. 업무기술서 개발로 설명간호사의 업무 및 역할을 확립하였으며 설명간호사실의 환경 개선으로 개인 신상 비밀을 보호받을 권리를 보장하였다. 외래 설명만족도가 2007년 57점에서 2008년 74점으로 향상되었다. 설명간호사실 자체 설문조사에서도 97%가 만족한다고 답하였고, 100% 모두 재방문 의사를 보였다. one-stop service care를 제공함으로써 외래가 복잡하다는 부정적인 이미지를 긍정적인 이미지로 변화시켰다.

  • PDF

외래간호사 역량 증진을 위한 간호역량 평가도구 개발 (Developing of a Tool for Ambulatory Care Nurse Competencies)

  • 민명진;유소영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90-100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ool to evaluate the nursing competency of ambulatory nurses and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eveloped tool for use in general hospitals. Methods: The evaluation tool for ambulatory nursing competency was develop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tests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Results: Subsequent to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nursing performance of ambulatory nurses, a 12 item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hrough factor analysis, 12 items in a 2 factor solution were derived. Cronbach's ${\alpha}$ coefficient of the final instrument was .86. Conclusion: The assessment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allows for objective assessments of nursing competencies in relation to the competencies expected of ambulatory care nurses. It is hoped that the assessment tool can be used for empirical verifica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he necessary policies to secure outstanding human resources.

통풍환자에 대한 간호사 주도 환자교육의 효과 (Effects of Nurse-led Patient Education for Gout Patients)

  • 유인설;정선경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7호
    • /
    • pp.97-105
    • /
    • 2022
  • 통풍은 관절염뿐만 아니라 심혈관질환 등을 유발하는 만성염증질환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환자들이 단순히 관절질환으로 인식하고 있어 치료에 장애로 작용한다. 이 연구를 통해 간호사 주도의 통풍환자 대상 교육이 환자의 통풍에 대한 인식 개선 및 질병 경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교육전문 간호사가 상급종합병원 류마티스내과 외래에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통풍에 대한 일대일 교육을 시행하였고 환자의 만족도 및 복약순응도, 혈중 요산치의 변화 정도를 측정하였다. 교육을 받은 환자군의 진료만족도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두 번째와 세 번째 외래 방문 시에 측정한 복약순응도와 혈중 요산치는 대조군에 비해 교육군에서 유의하게 개선이 되었다. 결론적으로 간호사 주도 환자교육은 진료 만족도 개선 및 질환 경과의 호전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부 대학부속병원 외래간호사와 병동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Job Stress and Satisfaction between Ward Nurses and Outpatient Nurses)

  • 김종희;조현숙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83-92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to compare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between ward nurses and outpatient nurses, an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0 ward nurses and 85 outpatient nurses in G and I University Hospital in Incheon. The data were collected in March 2010 and analyzed with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verall job stress between two groups, but slightly higher stress level for ward nurses. In sub-area of job stress, 'nursing duty' was primary for both groups. And in 'nursing duty' (t=2.05, p=.041), 'conflict with patients' (t=2.73, p= .007), and 'working environment' (t=3.37, p<.001) ward nurses showed significant higher level of stress than outpatient nurses. For job satisfaction, outpatient nurses showed higher level significantly (t=-2.98, p=.003). And both groups of nurses' job satisfac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job stress significantly (r=-.31, p<.001). Conclusion: It will be possible to reduce job stress and promote job satisfaction level for both groups of nurses by adding staffs, and specifically for ward nurses by improving facilities for relax and appropriate supply, and for outpatient nurses by managing interpersonal stress and reducing side tasks.

종합병원 외래 진료부의 실내공간특성에 대한 간호사 평가 (Nurses' Evaluation of Characteristics of Interior Space in Outpatient Department of General Hospital)

  • 오찬옥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64-74
    • /
    • 2014
  • This study attempts to evaluate the interior space of outpatient department of general hospital in aspects of nurses. The subjects are 97 nurses who work in outpatient department of H general hospital, Busan. Evaluating items are ones related to space layout, furniture, interior climate, color and finishes of outpatient department. Also, evaluating spaces are waiting area, doctor's room, treatment room, nurse station, and resting and dressing area for nurses in outpatient department. The results are ; 1) The space layout type of outpatient area in general hospital which each department consists of waiting area, doctors offices, treatment room and etc. was evaluated positively by nurses. 2) The waiting area and doctor's room was evaluated relatively positive, the treatment room was more negatively than these two rooms. But nurse related spaces such as nurse station and resting and dressing room were evaluated relatively negative. 3) In aspects of interior elements, furniture, and color and finishes were rated to be relatively positive. However, air conditions were rated negatively. 4) The finishes and dressing area in treatment room were rated relatively low. This would be a basic data for planning the outpatient area of general hospital.

의사와 간호사의 복장에 대한 의사, 간호사 및 환자의 견해 (Attitudes of Physician, Nurse and Patient towards Physician's and Nurse's Uniform)

  • 정연희;김석범;강복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3권2호
    • /
    • pp.324-346
    • /
    • 1996
  • 의사와 간호사의 복장에 대한 견해를 파악하기 위하여 1996년 3월1일부터 1996년 3월31일까지 영남대학교 의료원에 근무하는 의사 130명, 간호사 147명과 입원환자 211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의상의 복장에서는 의사와 간호사 모두 기존 코트 형태의 가운보다 다른 형태의 가운을 선호하였고, 특히, 의사보다 간호사들이 더 선호하였다. 환자에서 전체적으로 기존 형태와 다른 형태의 가운에 대한 선호도의 차이는 없었으나, 학력이 높을수록 다른 형태의 가운을 더 선호하였다(p<0.01). 의사의 가운 색상에 있어 의사와 간호사의 73.6%는 흰색을 선호하였으며, 환자는 86.3%가 흰색을 선호하였다. 남자의사가 여자의사와 간호사에 비해 흰색을 더 선호하였고(p<0.01), 환자에서는 색상 선호도에 대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진료시 넥타이를 착용해야 한다라는 응답률이 남자의사, 40세 이상 의사, 내과계 근무 의사, 그리고 교수에서 다른 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환자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60세 이상군이 다른 연령군보다, 초등졸 이하군이 다른 학력군보다, 기타 시지역 거주자와 군지역 거주자가 대구시 거주자보다 더 높았다(p<0.01). 주말 및 휴일 진료시 의사의 캐주얼 복장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찬성하는 편이었고, 의사의 연령이 젊을수록 유의하게 선호도가 높았다(p<0.05). 간호사 복장에 대해서는 의사와 간호사 전체의 78%가 바지 착용을 선호하였고, 간호사는 96%가 바지 착용을 선호하였으며, 특히, 40세 이상군과 외래, 지원 및 행정부서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은 100% 선호하였다. 환자들은 학력이 낮을수록 스커트를 선호하였고, 고학력군일수록 바지 착용을 선호하였다. 간호사의 가운 색상에 대해서는 의사와 간호사 전체의 46.7%가 흰색을 선호하였고, 의사들은 흰색을, 간호사들은 다른 색을 더 선호하였다(p<0.01). 환자들은 79.1%가 흰색을 선호하였다. 캡 착용에 대한 문항에서 간호사들은 95.9%가 착용하지 않아도 좋다고 응답하였으며, 특히, 40세 이상군과 외래 및 특수부서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은 전원 캡을 착용하지 않아도 좋다라고 응답하였다. 반면에 환자들은 77.7%가 캡을 착용하여야 한다라고 응답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의사와 간호사의 복장은 기존의 전통적인 형태와 색상만을 고집할 것이 아니라, 의사와 간호사 본인들과 환자들의 의견을 만족시킬 뿐만 아니라 시대적 흐름과 현실감각에 맞게 가운의 형태와 색상에 변화를 주는 것을 고려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사료되었다.

  • PDF

중소병원 간호사의 의료기관인증제 인식 및 직무스트레스,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wareness of Healthcare Accreditatio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urnover Intention of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 Nurses.)

  • 최인;황혜민;김주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160-168
    • /
    • 2017
  • 본 연구는 중소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의료기관인증제 인식, 직무스트레스, 조직몰입과 이직의도를 파악하고 이 요인들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500병상 이하의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간호사 202명이었다. 자료수집을 위한 설문조사는 2015년 12월 1일부터 2016년 3월 30일까지 최근 인증평가를 실시한 5곳의 중소병원에 연구자가 직접 방문하여 기관의 승인 후 간호사들에게 설문조사를 하는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중소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일반적 특성은 연령(F=4.68, p<.001), 결혼상태(F=3.92, p<.001), 부서유형(F=3.23, p<.008)이었다. 간호사의 이직의도와 의료기관인증제 인식(r=-.46, p<.001), 조직몰입과는 음의 관계(r=-.35, p<.001), 직무스트레스와는 양의 관계(r=.21, p=.002)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중소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변수는 조직몰입, 근무유형, 직무스트레스가 유의하였으며 전체 22.0%의 설명력을 가졌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의료기관 인증제를 실시하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서 중소병원 관계자는 간호사가 직무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과 제도적 개선에 힘써야 할 것으로 보이며 직무스트레스의 경감을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근무유형별 이직의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특수파트, 병동, 외래 등의 근무유형별로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Hospital Nurses' Turnover Intention: A Cross-sectional Survey)

  • 윤은자;권영미;전미순;안정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94-106
    • /
    • 2016
  • 본 연구는 내부마케팅, 간호 전문직관, 정서적 소진과 개인적 성취감을 이용하여 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 설명력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서울과 충북지역의 2개 대학병원 간호사 270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3년 5월부터 6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단계적 다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간호사 이직의도의 평균값은 $3.91{\pm}0.53$, 내부마케팅은 $2.58{\pm}0.48$, 간호전문직관은 $3.30{\pm}0.64$, 정서적 소진은 $3.23{\pm}0.64$, 개인적 성취감은 $3.24{\pm}0.41$이었다.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정서적 소진(${\beta}=.28$, p<.001), 내부마케팅(${\beta}=-.22$, p<.001), 간호 전문직관(${\beta}=.19$, p=.010), 근무부서-외래(${\beta}=.22$, p=.021), 직위-책임간호사(${\beta}=-.303$, p=.007), 학력-석사이상(${\beta}=.28$, p=.031)이었다. 이들은 이직의도를 25.1% 설명하였다. 결론적으로 간호사 이직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정서적 소진이므로 정서적 소진을 감소시키는 중재는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는데 중요한 전략이 될 것이다. 아울러 내부마케팅과 간호전문직관을 증가시키기 위한 활동 또한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구체적인 이직의도 감소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므로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추후 그 효과를 분석할 것을 제언한다.

품질기능전개(Quality Function Deployment)를 활용한 외래 간호지식경영 시스템의 개발과 평가 (A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Nursing KMS using QFD in Outpatient Departments)

  • 이한나;윤은경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64-74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nd implement the Nursing KMS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n order to improve knowledge sharing and creation among clinical nurses in outpatient departments. Methods: This study was a methodological research using the 'System Development Life Cycle': consisting of planning, analyzing, desig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Quality Function Deployment (QFD) was applied to establish nurse requirements and to identify important design requirements. Participants were 32 nurses and for evaluation data were collected pre and post intervention at K Hospital in Seoul, a tertiary hospital with over 1,000 beds. Results: The Nursing KMS was built using a Linux-based operating system, Oracle DBMS, and Java 1.6 web programming tools. The system was implemented as a sub-system of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haring of knowledge but creating of knowledge was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observed. In terms of satisfaction with the system, system efficiency ranked first followed by system convenience, information suitability and information usefulness.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use of Nursing KMS increases nurses' knowledge sharing and can contribute to increased quality of nursing knowledge and provide more opportunities for nurses to gain expertise from knowledge shared among nur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