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ong the royal ceremonies of the Joseon Dynasty era, the articles used in the Jinjak ceremony are symbolic icons of their value during the era. It is very important to identify the purpose of the articles whose usage is ambiguous, by referring to various historical records. Moreover, it should be possible to classify the characteristics and the special context of the article during this process. To accomplish this purpose, I examined the articles related to and used in the processes of Jinjak ceremonies of Outer Jinchan of Myeongjeongjeon and Inner Jinchan of Jagyeongjeon, which are part of the Gichuk Jinchan Ceremony performed in February of the 29th year of King Sunjo. Especially, the definition of Jinjak will not just be limited to the action of offering liquor, but will include the whole series of procedures in offering the liquor. This is because the specific action of offering the liquor expresses cultural concepts and values that have meaning within the historical situation and context in the specific action of offering the liquor. There are three characteristics of the articles related to the Jinjak process of Outer Jinchan and Inner Jinchan of Gichuk Jinchan Ceremony. First, the articles of Jinjak are ranked strictly exactly according to the social status rankings. Second, the Jinjak articles are arranged for their symbolic meanings rather than their purpose. Third, the articles of Jinjak are symbolic icons expressing the values inherent in the process of offering liquor. Recently, there are events reviving the royal court banquet and the increase of interest in the royal culture. It such a situation, the systematic examination of articles of royal court banquets will be a process needed to restore the royal ceremony correctly in the future, and will be the foundation for studying the royal culture of the Joseon dynasty era.
This paper studied Joseon royal incense, Buyonghyang, focusing on the case of Sunjo Sunwonwanghoo Garyedogam Uigwe. Incense was introduced to Korea in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with Buddhist cultures. Buyonghyang is an incense that represented the royal family and was used in various rituals. Civilians also burned this incense in front of a bride's palanquin at a wedding ceremony. Buyonghyang had various uses-ceremonial uses, as a fragrance, to mothproof, and medical uses. Buyonghyang is a combined incense with ten different ingredients. This study tracked the supply and demand of the incense ingredients through Takjijunjeol, Sejong Shilok Jiriji, and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is paper identified properties of the ingredients and studied recipes using ancient medical books-Jejungshinpyeon, Donguibogam, etc. Then the cooperation and treatment of incense by craftsman were examined using the records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Seungjeongwon Ilgi. The significance of Buyonghyang during the Joseon dynasty was studied by examining its use at a royal wedding ceremony. This study considered Sunjo's wedding ceremony based on Sunjo Sunwonwanghoo Garyedogam Uigwe which is highly regarded as a well-organized system compared to other Uigwe. Buronghyang was burned during all of the ceremonies which took place in the palace. Conversely, it is considered that Buyonghyang was burned only during the Bisuchekui ceremony (investiture), which took place in the bride's place, according to the record of the mobilization of court ladies for various incense burners for the Bisuchekui ceremony. Since the incense was able to be used only after Bisuchekui, it is considered that only the royal family could use the incense, and it was a symbolic incense of the Joseon Royal Family.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v.10
no.5
/
pp.261-268
/
2024
This study developed a pattern design that is highly useful in the modern culture and tourism industry based on various formative elements that appeared in the cloud-treasure pattern on fabrics from the Joseon Dynasty. The cloud-treasure pattern has an auspicious meaning. Therefore, the wrapping cloth with this pattern symbolizes the meaning of giving a precious gift. There are many aesthetic and formative elements in royal culture that can be utilized in the development of various cultural products. Therefore, it has very high utility value even in modern times. We examined rare royal wrapping cloth and applied its formative characteristics to develop a popular package design. Through this, another possibility was presented in the convergence of traditional culture and design. In particular, we actively combined the pattern of wrapping cloth with the 2024 fashion trend to develop a unique and trendy pattern design. The main source of the pattern design is the silk jacquard wrapping cloth with cloud-treasure pattern, a relic of Princess Myeong-an owned by the Seoul Museum of Craft Art. The researcher directly examined the wrapping cloth to extract 14 design motifs and developed 6 types of trendy patterns by combining them with dot and ribbon patterns, which are pattern trends for 2024. Afterwards, the pattern was mapped onto a box package similar to a wrapping cloth and expressed virtually.
Taeshil means the facility where tae is buried through appropriate rituals and procedures when a descendant of royal family is born. Tae has been taken care of very carefully from old times being considered as lifeline and origin of the owner. Especially,
연구목적 : 조선(朝鮮) 왕실자녀(王室子女)의 출산과정을 일지(日誌) 형식으로 기록한 "호산청일기(護産廳日記)"는 후기 조선(朝鮮)의 임산(臨産)과 분만, 산후 및 신생아 증상에 대한 의학적 처치 및 산실배설(産室排設)과 출산의례를 고찰할 수 있는 가치 있는 의학사료(醫學史料)이다. 연구방법 : 1. "호산청일기(護産廳日記)"에 기록된 세 번의 출산에 대해 출산 전후 산부(産婦)와 신생아의 실제 상황과 증상, 의관(醫官)의 판단과 치법(治法), 처방(處方)내용, 치료경과 등 의학적 처지의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당시 산과의학(産科醫學)의 경향성, 발달정도 등을 가늠해보았다. 2. "호산청일기(護産廳日記)"에 기록된 세 번의 출산에 대해 조선왕실(朝鮮王室)의 출산형식 및 관련의례에 드러난 당시 의학의 출산에 대한 의철학(醫哲學)이 어떠하였는지 고찰하였다. 결과 및 결론 : 산전(産前) 의관(醫官)의 정기문진으로 산모와 의사 간 관계형성 및 산부(産婦)의 안정을 도모하였으며, 의녀(醫女)의 진찰소견을 의관(醫官)이 판단하여 처방하였다. 임산(臨産)에 불수산(佛手散)과 인삼차(人蔘茶), 산후어혈증(産後瘀血症)에 가미궁귀탕(加味芎歸湯)을 빈용(頻用)하였으며, 화반곽탕(和飯藿湯)의 식치(食治)가 주요 산후조리법이었다. 신생아의 구급(救急)에 특히 우황(牛黃)을 빈용(頻用)하고 증상에 따라 유모(乳母)가 복약(服藥)하기도 하였으나, 조산(早産)된 신생아의 청색증(靑色症)(cyanosis)으로 보이는 증후(症候)와 사망례(死亡例)가 보인다. 산실배설(産室排設) 및 현초(懸草), 권초제(捲草祭) 등 관련의례에는 출산을 '하늘과 직접 소통하는 하나의 의례(儀禮)'로 생각하여 외부 환경의 방해 없이 산부(産婦)와 신생아의 천계(天癸)가 잘 작동하도록 배려한 의철학(醫哲學)이 드러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oduction and use, development of Buncheongsagisang-gamunryongmunho, focusing on Buncheong Jar with dragon and cloud patterns(龍樽) in the early the Joseon Dynasty. The Buncheong Jar with dragon and cloud patterns(龍樽) which is the size of a large bottle as high as 50cm is a form of stability to have gorgeous decorativeness with the inlaid and stamped pattern. The Buncheongsagisanggamunryongmunho is the Buncheong Jar with dragon and cloud patterns(龍樽) used for Flower Vessels(花樽) at Royal Ritual in King Sejong(世宗) era. In the 1420s and 1430s, made in Premium ceramic factory of Sangju-mok, it is Blue and white porcelain in reference to dragon and cloud patterns in the Yuan and Ming Dynasties in aspects of shapes and patterns, to the inlaid Celadon in the period of Late Goryeo Dynasty in aspects of patterns, and to Joseon porcelain in aspects of shapes and decoration techniques. The Joseon Royal family found out the appropriateness of the founding of the dynasty and the base for the system of civilization from Ming dynasty, to follow Ming dynasty by choosing white porcelains as the King's vessel. Jars passed down from Emperor Ming served as a standard for Royal Ritual Jars, to use Blue and White Porcelain Jar with dragon and cloud patterns as Flower Vessels(花樽) and Liquor Vessels(酒樽) for ages. Consequently, the Buncheong Jar with dragon and cloud patterns(龍樽) as Royal Ritual Jar had been used till 1430's when Blue and white porcelain Jar with dragon and cloud patterns(靑花雲龍白磁酒海) was passed down from Emperor Ming, Xuande Emperor(宣德帝), only to lose its Meaning and Use as the Royal Jar with dragon and cloud patterns(龍樽)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gradually.
내의원(內醫院)은 병원과 약국을 겸비한 일종의 궁중의료기관으로 의사를 비롯하여 여러의원들이 임금과 왕비 및 왕자들의 약을 조제하여 달이던 곳으로, 일명 내국(內局) 또는 약원(藥院)이라고 내의원 앞에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내의원은 현재 그 내용이 전해지지 않고, 단지 관광지의 유물로만 여겨지고 있다. 현재의 내의원은 창덕궁(昌德宮)에 위치하고 있다. 내의원은 창덕궁의 돈화문(敦化門)을 지나, 인정전(仁政殿)을 거쳐 희정당(熙政當) 좌측에 있으며, 왕비의 거처인 대조전에 가장 가까이 자리잡고 있다. 내의원은 조선왕조 세종25년(1443)에 개원하게 되었으니, 이때는 정치, 문화적으로 안정이 이루어져 가는 상황이었다. 또한 당시 왕이나 왕비 기타 왕족들의 여러 가지 정신적인 갈등으로 인한 질병이 많았으며, 이로인해 전문적이고 독립적인 왕실의료기관의 필요성에 의해 내의원이 독립적인 개원이 이루어졌으리라 사료된다. 이로인하여 저자가 내의원에 관한 자료조사와 실제답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수 있었다. 1) 내의원의 개원은 조선왕조 초기 중앙의료질서 성립을 통한 봉건왕조의 절대왕권확립을 의미함으로 사료된다. 2) 내의원의 위치가 창덕궁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특히 어전(御殿)과 내전(內殿) 가까이에 위치함은 왕실의 질병을 신속하고도 중요하게 다루기 위함으로 사료된다. 3) 특히 의인을 내전에서도 대조전(大造殿) 가까히 둔것은 왕실의 질병중 왕비의 정신신체질환의 치료를 위함으로 사료된다. 4) 내의원의 진료형태는 왕진(往診)이었으며, 이는 당시 의원신분이 중인층이었음으로 사료된다. 5) 내의원의 이용중에서 평민에게는 왕명에 의해서만 이루어졌음으로 사료된다.
우리는 한 장으로 된 조선 후기 달력을 발견하였다. '성상 31년(즉 고종 31년, 1894)-광서 20년'의 제목을 가지고 있는 이 달력은 1년간 역일의 내용을 방안 형태의 표에 작성하고 있어 '고종 31년(1894) 연력장' 이라고 부를 수 있다. 조선은 태음태양력인 대통력과 시헌력을 왕실의 행정기관에서 발간하였다. 이러한 책력은 2년 전에 월력장을 제작하여 진상하는 사례가 있었지만, 연력장처럼 한 해의 역일이 모두 있는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 조선은 책력을 사적으로 편찬하는 것을 엄금하였기 때문에, 관상감서인(署印)이 없는 연력장이 유통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없는 상황이었다. 우리는 고종 31년(1894) 연력장을 '대청광서이십년세차갑오시헌서(大淸光緖二十年歲次甲午時憲書, 1894)'와 비교하였다. 연력장의 역일은 12 x 12의 방안에 기록되어 있고 역일 영역의 상부, 좌부, 우부에 역주 관련 요소가 기록되어 있다. 연력장의 역일 중 특정일을 표시할 때는 역일의 숫자 대신 특정일을 상징어로 표시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일진, 망, 24기, 잡절(한식, 삼복(三伏), 이사(二社), 토왕용사, 납일) 등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정일 및 역주 관련 요소가 1894년 시헌서와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특기할 사항은 역일 영역 상부에 고종과 그 가족의 탄일(誕日)이, 역일 부분에 국기일(國忌日)이 기록되어 있다. 왕실의 국기일 및 탄일은 1896년 이후에 발간된 책력부터 기록된 점과 비교될 수 있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보아, 우리는 고종 31년(1894) 연력장이 민간보다는 왕실 혹은 지방 관아에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The chief mourners do their best to carry the dead and various things related to him in the departure of a funeral procession. "Sejongsillok" and "Gukjooryeui" had already written the national funeral supplies for carriage in detail in the early of Joseon period. But they were the standard book of national ceremony. The Ilbang of Gukjangdogam made the national funeral supplies for carriage in the late of Joseon; Daeyeo, Gyeonyeo, Yoyeo, Chaeyeo, Gaja etc. "Gukjangdogamuigye" explained these in detail; size, materials, made-place etc. I used "Gukjangdogamuigye" published in the late of Joseon to explain the national funeral supplies for carriage. Because Kingdom's ceremony in Joseon was representative to the country, it couldn't depend on an individual taste. King was the symbol of a nation and the star tin point of the political power at that time. So its ceremony was to show people the representative example as a national ceremony. The national funeral supplies for carriage carried the dead of King and various things related to him. Gukjangdogam managed them carefully. People thought that the mean of these things was equal to King's authority at that time. So these weren't the mere national funeral supplies for carriage, the symbolic instruments equal to King.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