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올리브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6초

사출구 온도와 구조에 따른 압출성형 백삼의 추출 특성 (Effect of Die Temperature and Dimension on Extract Characteristics of Extruded White Ginseng)

  • 김봉수;류기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44-548
    • /
    • 2005
  • 사출구 온도$(110,\;120^{\circ}C)$와 사출구멍 직경(1.0, 2.0, 3.0 mm)을 달리하여 제조한 압출성형 인삼의 추출패턴, 추출속 도상수, 추출수율 및 조사포닌 함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인삼 추출물의 갈색도와 적색도는 유효성분의 지표가 되므로 인삼의 추출패턴과 추출속도상수를 알아보기 위해 침출시간(1 min에서 50 min)에 따른 갈색도와 적색도를 구하였다. 갈색도와 적색도는 추출시간 1분에서 50분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갈색도와 적색도 추출속도상수는 사출구온도가 $110^{\circ}C$에서 $120^{\circ}C$로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사출구 온도 $110^{\circ}C$, 사출구멍 직경 2.0 mm에서 추출속도상수가 가장 낮았다. 원료 백삼분말의 추출수율은 $21\%$를 나타냈으며 백삼 압출성형물의 추출수율은 약 $40\%$를 보여 압출성형공정을 통해 추출수율이 약 2배 증가하였다. 사출구 온도가 $110^{\circ}C$에서 $120^{\circ}C$로 증가함에 따라 추출수율은 증가하였으며 사출구멍 직경이 1.0 mm에서 3.0 mm로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실험에서 사출구온도 $120^{\circ}C$와 직경 3.0 mm의 사출구멍 1개 에서 추출수율이 가장 높았다. 사출구 온도에 따른 조사포닌 함량은 직경 3.0 mm인 사출구멍 1개인 경우, 사출구 온도 $110^{\circ}C$$120^{\circ}C$에서 각각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압출성형 인삼의 추출율과 추출 속도의 증가는 압출성형공정을 통한 기공의 형성과 전단력에 의한 세포벽의 파괴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비타민 A는 올리브 잎 5.10 mg/100 g, 월계수 잎 6.49 mg/100 g로 나타났고 비타민 C는 올리브 잎 36.64 mg/100 g, 월계수 잎 13.86 mg/100 g로 나타났다. 올리브 잎과 월계수 잎 모두에서 비타민 $B_1,\;B_2$, niacin이 소량 함유되어 있었으며 $B_6$$B_{12}$은 검출되지 않았다.한다면 더욱 명확해질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1일 30 mg이라는 양은 우리들이 섭취할 때는 80 mg(1포)에 해당하는 양이다. 따라서 사람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꾸준히 1일 1포 이상의 섭취는 체내 중금속 농도를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으나(p<0.05) DPAn-6와 DHA의 합에는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뇌 성숙 발달 과정동안 n-3 지방산 결핍은 뇌의 DHA의 결핍을 초래하고 이러한 비정상적인 조건에서 DPAn-6의 증가를 유발하였으며 이러한 지방산 조성의 변화와 공간과 후각에 기초를 하는 기억 학습 능력 저하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앞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저해율이 $70\%$ 이상인 해조류는 파래, 미역, 다시마, 톳이었고, 김은 $68\%$로 나타나 해조류 간에 차이는 적었다. 이상에서 Ames test와 MTT assay를 통해 해조류 에탄올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효과와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를 검색한 결과, 톳, 파래와 다시마는 항돌연변이 효과 및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암세포에 대한 항암 효과는 각 시료마다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5종의 해조류 모두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해조류가 개발 가능한 고부가가치의 기능성식품 소재임을 확인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서는 갈조류,

유통 압착올리브유의 이화학적인 특성 (Analysis of Characterization in Commercial Extra Virgin Olive Oils)

  • 남하영;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7호
    • /
    • pp.866-873
    • /
    • 2007
  • 국내에서 유통되는 국산 및 수입산 압착올리브유에 대한 향 성분 및 화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주요 향 성분의 구별을 위해 SPME-GC/MS 분석을 실시한 결과, 올리브유의 주요 향 성분으로 hexanal, 4-hexen-1-ol, (Z)-3-hexen-1-ol, acetic acid, 2,4-dimethyl-heptane 등이 동정되었고, MOS 유형의 전자코를 이용하여 향기성분패턴 분석결과, 올리브원유의 원산지에 따라 각기 다른 향기패턴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튀니지산(no. 10)을 제외한 12종의 압착올리브유는 유사한 지방산을 보였으며, 13종의 압착올리브유는 oleic acid(18:1, 61.1${\sim}$77.9 mole%)가 주요 지방산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palmitic(16:0, 11.7${\sim}$16.5 mole%), linoleic(18:2, 4.7${\sim}$17.4 mole%), stearic(18:0, 1.9${\sim}$3.6 mole%), palmitoleic(16:1, 0.8${\sim}$2.2 mole%), linolenic acid(18:3, 0.7${\sim}$1.2mole%)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조사된 13종의 압착올리브유에서 $L^{\ast}$값은 81.7${\sim}$92.9, $a^{\ast}$값은 -28.3${\sim}$13.5, $b^{\ast}$값은 52.2${\sim}$139.0을 나타내었다. 국내brand 압착올리브유에서는 16.7${\sim}$24.9 mg/100 g, 수입brand 압착올리브유에서는 6.2${\sim}$19.5 mg/100 g으로 전체적으로 국내산이 수입산보다 total phenol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조사된 압착올리브유의 ${\alpha}-tocopherol$ 함량은 5.5${\sim}$12.8 mg/100 g의 분포를 보였다. 압착올리브유 시료들의 초기 POV는 13.5${\sim}$22.9 meq/kg oil의 수치를 보였고, 이들의 induction period time은 10번 시료(19.88 hr)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시료들에서 31.76${\sim}$54.04 hr로 나타났다.

과수 수확작업 기계화 현황 및 추진방향 (Current Status and the Way Forward for Fruit Harvesting Mechanization)

  • 김영진;최규홍;김성민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53-53
    • /
    • 2017
  • 연구목적: 국내 과일 산업의 한 단계 도약과 대외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확작업의 기계화가 시급함. 이 연구는 국내외 과일 수확 기계화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향후 수확작업 기계화 방향을 제시하고자 수행 수확기계 실용화 현황 및 고찰 (국내) 과일을 직접 수확이 아닌 수확 작업을 보조해주는 고지 작업기(수동형, 모터 진동형)와 고소 작업차가 대부분임. 수동형은 사과 감 등을 수확하지만, 작업능률이 낮고 작업자가 쉽게 피로하여 장시간 작업이 불가능하므로 실질적인 대안이 되지 못함. 진동형은 자체 동력을 이용하여 나무에 진동을 가하여 주로 대추 매실 등 소과류 수확에 이용되고, 수확능률은 우수하나 충격 손상이 많아 개선이 요구됨. 고소작업차는 동력원에 따라 충전식과 엔진식으로 구분되고, 충전식은 엔진식에 비해 진동 소음이 적어 쾌적하지만, 작업시간이 배터리 용량에 제한을 받음. 또한 작업대 작동방식에 따라 리프트형과 붐형으로 구분함. 리프트형은 리프트를 이용하여 작업대를 상하로 구동하는 방식으로 높은 위치의 과실 수확이 어렵고, 작업대 넓이 만큼의 작업 공간(과수간의 거리)이 필요함. 붐형은 필요한 곳으로 접근성이 우수하나 무거운 무게를 지탱하기 어렵기 때문에 본체를 무겁게 하거나 수시로 수확된 과일을 하차시켜야 함. (국외) 수확 후 가공되는 과일류와 포도 올리브 오렌지 매실 등 소과류 수확이 기계화되었지만, 사과 복숭아 등 신선과일은 아직도 외국의 값싼 노동자들에 의존하여 수확되고 있음. 현재 실용화된 수확 기계는 진동식 수확기계와 터널식 수확기계가 대표적임. 진동식은 집게형의 부착기를 나무 줄기에 고정한 후 트랙터 동력원으로 나무에 진동을 가하여 수확하고, 올리브 대추 등과 같은 소과류와 과피가 두꺼운 오렌지 등에 적용되고, 수확 작업능률이 매우 높으나 과일의 낙하 상처를 피할 수 없는 단점이 있음. 터널형은 규격화(과수 크기 및 형태, 재식거리)된 과수원에 잘 적응하도록 설계 제작되어, 과수 위를 지나가면서 내부에 설치된 진동장치와 컨테이너로 과일을 수확하고, 와인용 포도 수확기가 대표적임. 기계수확이 가능하도록 과수원 조성단계에서부터 재배양식(과수 좌우 및 전후 거리)을 기계의 제원(바퀴 간격, 작업부 간격 등)에 맞추어 재배함. 과일 수확로봇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고 일부에서 실증시험단계에 있음. 결론: 구체적인 추진방향을 제시하면, 단기적으로는 과일 수확작업자의 작업편이성과 노동강도를 줄일 수 있도록 소형 저가 범용성이 우수한 보조기구/기계의 보급을 확대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수확기계/수확로봇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비 투자를 늘리는 동시에, 기계/로봇이 과수원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수형 재식거리 등 재배양식의 표준화가 추진되어야 함.

  • PDF

Pseudocercospora dendrobii에 의한 덴드로비움 검은잎마름병 (Sooty Leaf Blight of Dendrobium sp. Caused by Pseudocercospora dendrobii)

  • 권진혁;박창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73-175
    • /
    • 2002
  • 2001년 경상남도 창녕군 남지읍 덴드로비움 재배포장에서 잎에 검은 잎마름 증상이 심하게 발생하였다. 병징은 아래 잎에 원형 또는 부정형의 점무늬가 생기며 표면은 옅은 갈색의 작은 함몰된 병반이 차차 증가하여 검게 변하면서 썩고 나중에 회색을 띤 검은색으로 말라죽으면서 낙엽이 된다. 조사한 포장에서 발생율은 64.8%이었다. 균사의 색깔은 짙은 올리브색이고, 분생자병은 옅은 회갈색을 띠며 $5{\sim}10$개의 격벽을 가지고 분지하며 끝 부분이 가늘고 둔하다. 크기는 $63{\sim}164{\times}3.2{\sim}4.9{\mu}m$이었다. 분생포자는 옅은 올리브색이며 가늘고 긴 곤봉모양이며 곧거나 약간 굽으며 $1{\sim}5$개 격벽을 가지며, 크기는 $46{\sim}98{\times}3.2{\sim}3.9{\mu}m$이었다. 균사 생육적온은 $20^{\circ}C$이었다. 이 병원균의 병징 및 균학적 특징,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P. dendrobii에 의한 덴드로비움 검은잎마름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

올리브유를 첨가한 파운드케이크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 with Olive Oil)

  • 정남용;최순남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22-228
    • /
    • 2006
  • 제빵에 주요 원료인 마가린 대신 최근 기능성 식품으로 널리 알려지고 있는 올리브유를 대체 원료로 사용하여 건강에 좋은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그 첨가 비율을 33%, 66%, 100%로 달리하여 제조한 파운드케이크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파운드케이크의 중량은 대조군 400 g, 첨가군은 각각 403.4 g, 406.2 g, 403.4 g으로 증가하다가 감소하였고, 부피는 대조군 752.8 mL, 첨가군에서는 각각 841.2 mL, 898.6 mL, 1083.2 mL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2. 부피지수는 대조군이 2.88, 올리브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3.19에서 3.70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굽기손실률은 대조군 12.18%, 첨가군은 각각 10.40%, 11.21%, 10.53%로서 올리브유의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낮았다. 3. 경도는 1시간 방냉 시료의 경우 대조군이 0.417 kg, 첨가군이 각각 $0.266{\sim}0.244kg$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진입력은 대조군이 0.097 kg, 첨가군이 $0.080{\sim}0.069kg$으로 감소하였다. 4. L값은 대조군은 59.96, 첨가군은 각각 60.99, 61.63, 66.45로 올리브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a 값은 대조군은 3.21, 첨가군은 3.45, 1.96, 1.24로 올리브 66%, 100%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b값은 대조군은 29.49이었고, 올리브 첨가군은 각각 30.64, 30.60, 28.34이었다. 5. 수분함량은 대조군 41.36%, 첨가군은 각각 44.07%, 52.78%, 57.32%로 올리브유 함량이 증가할수록 수분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아졌다. 6. 색상은 대조군이 3.2, 첨가군에서는 $2.5{\sim}3.5$이었고, 냄새는 대조군이 3.5, 첨가군이 각각 2.9, 3.2, 2.9로 증가하다가 감소하였고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맛은 66% 첨가군에서 4.0으로 가장 높았고, 33%, 100% 첨가군은 각각 2.9와 3.5로 나타났다. 촉촉함과 씹힘성은 66%, 100% 첨가군에서 다른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전체적인 기호도는 66% 첨가군에서 3.8로 높았고 그 다음은 100% 첨가군 순이었다. 이상의 실험을 통해 기능성 식품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올리브유를 마가린의 대체 원료로 사용하였을 때 품질평가에서 좋은 결과를 보였다. 최근 들어 웰빙이 새로운 문화코드로 제시되고 있는데 이는 건강에 대한 높은 관심을 반영한 것으로 올리브유를 첨가한 제품은 건강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이 선호하는 제품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팜유 가격 예측을 위한 딥러닝 기반 단기 시계열 예측 모델링 (Deep Learning-Based Short-Term Time Series Forecasting Modeling for Palm Oil Price Prediction)

  • 배성호;김명선;정우혁;우지환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6권2호
    • /
    • pp.45-57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딥러닝 기반의 팜유(Crude Palm Oil: CPO) 가격 예측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팜유는 그 생산 수율과 경제적 효율성으로 인해 다양한 산업에서 중요한 자원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팜유 가격 변동성에 대한 산업계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팜유 가격 예측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많은 연구가 시계열 예측 기반으로 정확도에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방법론의 주요 한계인 정상성 부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가격 대비 미래 가격의 비율을 종속변수로 사용하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한다. 이 접근법은 주식 가격 예측에서의 수익(return) 모델링에 착안하여 개발되었으며, 단순 가격 예측보다 더 높은 성능을 나타낸다. 또한, 다변량 시계열 예측에서 중요한 요소인 독립변수의 지연 값(lag)을 고려하여, 불필요한 잡음을 제거하고 예측 모델의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론을 채택했다. 이 연구는 팜유 가격 예측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기여를 하며, 시계열 데이터가 중요한 다른 경제적 예측 문제에도 적용 가능한 접근법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산업계에 큰 의미가 있다.

오미자 씨 오일의 화장품 소재로서 유효성 평가 (The Evaluation on the Effectiveness as a Cosmetic Material of Oil Extracted from Schizandra Chinensis Seed)

  • 양재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31-237
    • /
    • 2012
  • 오미자 씨 오일의 화장품 소재로서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GC와 GC/MSD를 사용하여 안정성 평가 및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주요성분은 팔미틱산과 올레익산으로 나타났다. 오미자 씨 오일은 열에 의한 성분변화가 없고, 소재 자체의 안정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라디칼 소거능 실험을 통하여 항산화 효능을 측정한 결과 오미자 씨 오일이 마카다미아 오일과 올리브 오일에 비하여 높은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었다. 콜라겐 합성능 또한 뛰어난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오미자 씨 오일은 화장품 소재용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나성에 거주하는 한국 중.고등학생들의 영양실태조사 (A Nutrition Survey of Korean Adolescents Living in Los Angeles, California)

  • 김성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5권1호
    • /
    • pp.54-61
    • /
    • 1982
  • 나성의 한국 이주민의 자녀로서 사춘기에 문화권을 바꾸는 경험을 갖은 57인의 중고등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된 본 조사는 대상자의 1 ) 일반적 특성의 파악 2 ) 식습관 및 기호조사, 식품 섭취 빈도 조사 3 ) 영양지식 및 그들 어머니의 영양지식 조사 4 ) 영양실태 조사를 통하여 식생활의 변화 및 문제점을 찾아보았다. 영양실태 조사는 24-hour diet recall 방식에 의하여 기본 4군, meal pattern 및 영양소를 추산하여 한국과 미국의 RDA와 비교하였다. 위의 실태조사 결과를 요약해 보면 ; 1) 한국전통음식인 밥과 김치는 저녁식사시 모두 섭취하고 있으나 아침, 점심은 미국식단의 사용율이 높았다. 기호도 조사에 의하면 전반적으로 미국음식보다 한국음식을 더 좋아한다고 하였다. 2) 여학생은 아침식사, 남학생은 저녁식사가 불규칙하였다. 3) 여학생은 풍부한 과일의 섭취가, 남학생은 우유의 섭취가 한국에서의 식습관에 비해 그들의 건강을 위해 좋다고 하였다. 4) 영양지식의 근원은 어머니로부터가 가장 높았다. 여학생들은 철분의 근원식품에 관한 지식이 남학생보다 부족했으며, 균형된 식단의 선택 접수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높았다. 5) 기호조사 결과에 의하면 가장 싫어하는 식품은 간, 칠면조, 돼지고기, 고형 요구르트, 아보카도, 올리브 등이었고, 한번도 먹어보지 않은 식품은 부로콜리, 우설, 양고기, 망고, 탈지분유 등이었다. 이들 어머니의 기호조사 결과는 자녀들과 흡사하였으나 어머니들은 미국식품 중 한번도 시도해 보지 않은 식품의 수가 그들 자녀보다 많았다. 6) 24시간 diet recall 방법의 분석에 의하면 결핍된 영양소는 열량, 철분, 비타민 A였다. 단백질 섭취량의 증가는 현저하였으나, 낮은 열량의 섭취는 이주민의 자녀의 불규칙한 식습관의 일면과 동시에 우리나라 남학생들의 조리방법의 미숙한 면을 보여주었다.

  • PDF

마늘과 향신료 첨가가 난황과 감람유 유화의 관능적 특성 (Effective of Extract Garlic, Spices of Emulsified with Egg-Yolk & Olive Oil)

  • 장혁래
    • 한국관광식음료학회지:관광식음료경영연구
    • /
    • 제13권2호
    • /
    • pp.119-127
    • /
    • 2002
  • 본 연구는 Liquid egg yolk sabayon을 만들 때 버터 대신에 올리브오일과 마늘 첨가량을 달리하여 관능적 평가를 실시하여 조리표준화의 예시를 제시하고자 한다. 1, 맛에서는 마늘 10g 첨가에서 5.61로 대조군의 5.13보다 좋았다. 2. 색에서는 마늘 20g 첨가가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고, 마늘 30g가 나쁘게 나타났다. 3. 향에서는 마늘 10g 첨가가 대조군 보다 좋았고 마늘 첨가군 모두가 대조군 보다 좋았다. 4. 종합적인 면에서도 마늘 10g첨가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Liquid egg yolk sabayon을 만들 때 적당량의 마늘을 첨가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 PDF

올리브 오일을 첨가한 어육 소시지의 최적화 연구 (Optimization of the Fish Sausage Added with Olive Oil)

  • 이희정;주나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706-715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al mixing ratio of Alaska Pollack (Theragra chalcogramma) and olive oil in the preparation of sausage. The experiment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central composite design for estimating the response surface, which demonstrated 10 experimental points including 2 replicates for Alaska Pollack and olive oil. The physical, mechan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test materials were measured. A canonical form and perturbation plot showed the influence of each ingredient on the final product mixture. Measurement results of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or decrease in the following properties: dough sweetness (p<0.05); sausage L (p<0.05), a (p<0.001), and b (p<0.01); hardness (p<0.01), chewiness (p<0.05), and gumminess (p<0.01). Also, the sensory measurement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color (p<0.05), flavor (p<0.01), taste (p<0.001), tenderness (p<0.05), chewiness (p<0.01), mositness (p<0.05), and overall quality (p<0.01). As a result, the optimum formulation by numerical and graphical methods was calculated as Alaska Pollack 35.74 g and olive oil 7 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