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온실 환경 시스템

Search Result 447,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morphopallus Paeoniifolius in Greenhouse Environment: Leaf Cycle (인공환경 생육조건에서의 Amorphopallus paeoniifolius: Leaf Cycle)

  • Ahn, TaiHyeon;Goh, YeoBin;Bae, JunKyu;Lee, JeongHo;Lee, KiCheol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48-48
    • /
    • 2019
  • Amorphophallus paeoniifolius (Dennst.) Nicolson는 영명으로 Elephant yam 또는 Whitespot giant arum 으로 불리는 천남성과(Araceae) 식물로 동아시아, 뉴기니, 오세아니아, 마다가스카르 등지에서 자생하고 있으며 숲의 가장자리 또는 2차림에서 발견 된다. 다년생 식물로 덩이줄기는 어두운 갈색의 둥근모양으로 직경 20~25 cm로 자라고 수염뿌리가 사방으로 달린다. IUCN 적색목록(Red List)에 관심대상 종(LC: Least Concern)에 속하는 식물이다. 현지인들은 마(Dioscorea Polystachya Turcz.)처럼 채소로 먹기도 하며 약용으로 쓰이기도 하는데 복부장애, 소화불량, 천식, 기관지염, 빈혈 등에 약효가 있다. Amorphophallus paeoniifolius은 $25^{\circ}C{\sim}35^{\circ}C$, 연강수량 1,000~1,500 mm에서 잘 자란다. 가운데 눈이 올라오면서 생장을 시작하고 며칠이 지나서야 잎 또는 꽃으로 자라는지 알 수 있다. 잎의 생육주기는 잎눈이 생장을 시작하면 잎자루 끝에 소엽과 소잎자루가 접힌 채로 올라온다. 소엽들이 펴지면서 완전한 모습을 갖추는데 30일 이상의 생장기간을 갖는다. 잎의 형태는 우상복엽(pinnate compound leaf)으로 우산처럼 보이는 잎 하나로 광합성을 한다. 잎은 최대 높이 2.5~3 m, 너비 3 m까지 자라며, 잎자루의 색은 녹색과 청색으로 얼룩덜룩한 무늬가 있다. 인공환경 조건에서 Amorphophallus paeoniifolius 생활사 중 잎의 주기를 연구하기 위해서 광, 온도 등의 지상부 환경은 열대 및 아열대 식물의 자생지와 유사하게 조성하였고, 지하부 환경은 인공 배합토를 사용하여 조성하였다. 평균온도는 $25{\sim}28^{\circ}C$, 겨울철 최저 $16^{\circ}C$, 여름철 최고 $33^{\circ}C$를 유지 관리 하였다. 자동 환경제어시스템으로 온도 및 환기를 유지 관리하고 필요에 따라 수동제어 관리를 병행하여 조절하였다. Amorphophallus paeoniifolius는 잎을 먼저 생성하고 광합성으로 생산된 영양물질을 덩이뿌리에 저장을 하고 그 영양물질을 이용하여 꽃을 피우는 생육 특성을 지닌다. 실험에 사용된 공시 식물은 2018년 12월 미얀마에서 생체(덩이줄기) 형태로 도입되었다. 화분에 식재 후 약 5개월이 지난 시점에서 잎의 생장이 시작되었다. 2019년 7월 29일 기준으로 높이 80 cm, 너비 60 cm의 크기로 성장하였으며, 생육환경에 따라 3~5개월 뒤 잎이 지고 나면 다시 덩이줄기로 되돌아갈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지금까지 이 식물에 알려진 정보는 인공환경에서의 연구가 아닌 자연환경에서의 연구결과이기 때문에 인공적인 온실 환경에서 자란 Amorphophallus paeoniifolius는 잎의 주기는 더 오래 갈 수도 있으며 꽃의 주기 또한 느리거나 빠를 수 있다. 잎의 생장주기(Leaf Cycle)시 잎자루가 낮과 밤의 방향을 달리 하여 자라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는 광합성을 위해서 잎자루의 방향을 햇빛 방향으로 돌리는 것으로 판단된다. Amorphophallus paeoniifolius를 실내 조경 식물 또는 식 약용의 소재식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꽃의 생장주기 등 추가적인 모니터링과 연구가 필요하다.

  • PDF

Effect of Cultural System and Sonic Strength of Nutrient Solution on the Growth of Dendrobium (Dendrobium phalaenopsis ) Seedlings (양액재배 시스템 및 양액농도가 덴파레(Dendrobium phalaenopsis) 유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 정순주;이범선;안규빈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6 no.4
    • /
    • pp.284-291
    • /
    • 199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optimum hydroponic system and nutrient solution for shortening the early growth period and quality improvement of dendrobium ( Dendrobium Phalaenopsis) seedlings. Dendrobium seedlings with 3 to 4 leaves were transplanted in the deep flow technique(DFT) system, aeroponic system, and ebb and flow system with different concentration of balanced nutrient solutions recommended by the Japanese Horticultural Experiment Station. Growth characteristics of shoot and root were recorded and evaulated among treatments. For autumn cultivation, plant height was the longest at the DFT system with quarter concentration of nutrient solution, where aeroponic system with half concentration of nutrient solution. Aeroponic system stimulated the root growth but fresh weight was observed in the plots of DFT system. For spring cultivation, pH values increased up 7.5 at the DFT and aeroponic system, where EC values did not fluctuate regardless of cultural system. Ebb and flow system showed the best result in the growth of plant followed by BFT system and aeroponic system. Higher concentration of nutrient solution within this range of treatment was recommended for the growth promotion of leaf length and width in DFT system. In conclusion, growth responses differed depending on the cultural system, concentrations of nutrient solutions and duration of cltivation.

  • PDF

Influences of Mixing Frequency on the Composting Performance of the Broiler and Dairy Manure Mixtures (퇴비재료의 교반빈도가 육계분과 유우분 혼합물 퇴비화 성능에 미치는 영향)

  • Park K.J.;Bae Y.H.;Hong J.H.;Wi T.W.
    • Journal of Animal Environmental Science
    • /
    • v.12 no.1
    • /
    • pp.41-44
    • /
    • 2006
  • Broiler manure has much nutrient that can be used as the organic fertilizer to enhance the fertility of soil. However, if it is used directly without biodegradation of organic materials and destruction of weed seed and harmful bacteria, it can produce the generation of weed and disease of plant. Composting of manure is a biodegradation of organic materials into inorganic materials and humus. To proceed biodegradation of manure effectively and enhance the composting performance, optimum environmental condition for microbial growing should be maintained. Environmental variables which can influence the growing activity of microbes are moisture content, pH, porosity, C/N of the composting materials and oxygen supply quantity. Oxygen and porosity are usually supplied by aeration or mixing of materials.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ixing frequency on the composting performance. Mixing of composting materials was performed by turning the bioreactor up and down by hand without any mechanical energy. The broiler manure was captured from the greenhouse type broiler ham as the compounds of broiler manure and rice-hulls, which were used as the base materials. To compost the compounds of broiler manure and rice-hulls, dairy manure was mixed to get appropriate characteristics of composting material. Composting temperature over $55^{\circ}C$ for killing pathogen and weed seed was maintained for longer period with increase of mixing frequency.

  • PDF

Study on the Separation of CO2 from Flue Gas Using Polysulfone Hollow Fiber Membrane (폴리설폰 중공사막을 이용한 연소 배기가스 중 이산화탄소 분리에 관한 연구)

  • Kim, Seongcheon;Chun, Jeonghyeon;Chun, Youngnam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6 no.2
    • /
    • pp.147-152
    • /
    • 2014
  • In this research, polysulfone hollow fiber membrane was used to recover $CO_2$ which is one of greenhouse gases from flue gas stream being emitted after the combustion of fossil fuels. The prerequisite requirement is to design the membrane process producing high-purity $CO_2$ from flue gas. For separation of $CO_2$, a membrane module and flue gas containing 10% carbon dioxide was used. The effects of operating conditions such as pressure, temperature, feed gas composition and multi-stage membrane on separation performance were examined at various stage cuts. Higher operating pressure and temperature increase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recovery ratio in permeate. Recovery ratio and separation efficiency increased if a higher content of $CO_2$ injection gas composition. Three-stage membrane system was producing a 95% $CO_2$ with 90% recovery from flue gas. The separation efficiency of three-stage membrane system was higher than one-stage system.

Influence on the Thermal Environment by Change of Indoor-air Volume of Plastic Greenhouse with Hot Air Heating Systems (온풍난방을 채용한 3연동 플라스틱 하우스의 실내공기용적 변화가 하우스 온열환경에 미치는 영향)

  • Jeon, Sam-Chae;Li, Chang-Su;Na, Su-Yeun;Huh, Jong-Chul;Choi, Dong-Ho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 /
    • v.22 no.3
    • /
    • pp.1-10
    • /
    • 2002
  • Relatively being economical in installation and easy in operation, hot-air heating system has been generally used in greenhouse for heating system regardless of high cost in maintenance and uneven distribution of air temperature. Therefore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in maintenance and in distribution of air temperature and to improve efficiency of heating system, this experimental study is performed. This experimental study aims to improve the character of uneven temperature distribution in vertical direction and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for heating in a greenhouse. The experiment had been performed to investigate change of thermal environment and effects on reducing energy consumption for heating in greenhouse by additional surface insulation and reduction of indoor-air volume that come by installing transparent vinyl membranes with different height in each house.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wide difference in oil-energy consumption between houses according to condition of surface insulation and change of indoor-air volume. Furthermore, the results show that the efficiency of dual surface is higher than that of change of indoor-air volume in terms of energy saving.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Risk Analysis for Watershed (도시하천 유역의 취약성 평가 및 위험도 분석)

  • Lee, Hoo Sang;Lee, Jea Joon;Heo, Jun He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69-469
    • /
    • 2015
  • 산업혁명 이후 인간사회의 산업화 및 도시화의 가속으로 지구온난화는 기후변화를 야기해 왔으며, 이로 인한 각종 부정적인 영향과 심각성은 날로 커져가고 있는 현실이다. IPCC(Intergoverment Panel on Climate Change)는 기후변화의 주범인 온실가스를 감축할 지라도 기후의 탄성 때문에 앞으로 수세기 이상 계속 진행될 것으로 전망하였으며, 기후변화 영향의 근원적 방지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결국 수자원 관리 측면에서도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각종 적응전략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IPCC, 2007). 또한, 극한강수의 발현비율이 도시 및 비도시 지역의 구분 없이 과거 30년에 비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수공구조물의 치수안전도 저하에 큰 영향을 준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하천, 유역 홍수저감 시설물과 댐 등 대형 수공구조물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주기적으로 수행해 왔으나 단순히 모니터링을 통하여 현재의 안전기준의 부합 여부만을 판단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장래 증가하는 홍수피해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극한강우 및 극한홍수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시설물 설계기준별 홍수 위험도와 취약성을 평가하고, 극한홍수 방어기준을 재설정하여 현재 설계기준을 제고할 필요가 있으며, 시설물별 안전도 평가와 위험도 저감계획 및 경제성 평가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실행프레임워크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림천 유역에 대하여 최적화된 도시유출모형을 통하여 기후변화가 도시유역에 미치는 유출영향을 분석하였으며, MCS(Monte Carlo Simulation)을 통한 극치수문사상의 적용 및 유출분석을 통한 하천제방의 취약성 평가와 위험도 분석을 실시하여 도시하천의 기후변화 영향을 정량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하천의 수문특성 변화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발생할 수 있는 극치 수문사상의 값을 반영한 설계기준 강화 수방시설 계획 등의 연구에 활용하며, 여러 가지 수문학적 불확실성에 의하여 가변 가능한 도시하천 유역의 취약성 평가 및 위험도 분석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수공구조물 설계 및 수방전략 수립에 활용하고자 한다.

  • PDF

Stability Analysis of Levee by Infiltration Analysis for Watershed (도시하천 유역의 침투해석을 통한 제방의 안정성 평가)

  • Lee, Hoo Sang;Lee, Jea Joon;Heo, Jun He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31-231
    • /
    • 2016
  • 산업혁명 이후 인간사회의 산업화 및 도시화의 가속으로 지구온난화는 기후변화를 야기해 왔으며, 이로 인한 각종 부정적인 영향과 심각성은 날로 커져가고 있는 현실이다. IPCC(Intergoverment Panel on Climate Change)는 기후변화의 주범인 온실가스를 감축할 지라도 기후의 탄성 때문에 앞으로 수세기 이상 계속 진행될 것으로 전망하였으며, 기후변화 영향의 근원적 방지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결국 수자원 관리 측면에서도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각종 적응전략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IPCC, 2007). 또한, 극한강수의 발현비율이 도시 및 비도시 지역의 구분 없이 과거 30년에 비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수공구조물의 치수안전도 저하에 큰 영향을 준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하천, 유역 홍수저감 시설물과 댐 등 대형 수공구조물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주기적으로 수행해 왔으나 단순히 모니터링을 통하여 현재의 안전기준의 부합 여부만을 판단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장래 증가하는 홍수피해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극한강우 및 극한홍수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시설물 설계기준별 홍수 위험도와 취약성을 평가하고, 극한홍수 방어기준을 재설정하여 현재 설계기준을 제고할 필요가 있으며, 시설물별 안전도 평가와 위험도 저감계획 및 경제성 평가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실행프레임워크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EEP/W 모형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하천 제방을 바탕으로 침투해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이용하여 안정성 평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또한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하천의 수문특성 변화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발생할 수 있는 극치 수문사상의 값을 반영한 설계기준 강화 수방시설 계획 등의 연구에 활용하며, 여러 가지 수문학적 불확실성에 의하여 가변 가능한 도시하천 유역의 취약성 평가 및 위험도 분석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수공구조물 설계 및 수방전략 수립에 활용하고자 한다.

  • PDF

Stability Analysis of Levee for Watershed according to Water Level Change (수위변화에 따른 하천 유역 제방의 안정성 평가)

  • Lee, Hoo Sang;Lee, Jea Joon;Heo, Jun He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42-242
    • /
    • 2017
  • 산업혁명 이후 인간사회의 산업화 및 도시화의 가속으로 지구온난화는 기후변화를 야기해 왔으며, 이로 인한 각종 부정적인 영향과 심각성은 날로 커져가고 있는 현실이다. IPCC(Intergoverment Panel on Climate Change)는 기후변화의 주범인 온실가스를 감축할 지라도 기후의 탄성 때문에 앞으로 수세기 이상 계속 진행될 것으로 전망하였으며, 기후변화 영향의 근원적 방지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결국 수자원 관리 측면에서도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각종 적응전략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IPCC, 2007). 최근 제방의 안정성에 대한 문제로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위 또는 담수 등의 조건으로 제외지의 고수위를 유지하게 되어 제체 내 침투가 일어날 수 있고, 수위급강하로 제방사면의 활동등이 일어날 수도 있으며 기초지반의 지지력이 부족하여 침하가 과다하게 발생하므로 제방의 소요높이를 유지할 수 없게 되어 월류로 인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제방의 간극수압자료와 2차원 지하수침투 모형인 SEEP/W를 이용하여 안양천과 오산천의 침투거동을 분석하여 침투안정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또한, 4대강 살리기 마스터 플랜(국토해양부, 2009)에 수록된 제방보강의 방법 중 누수에 대하여 제방고, 제방폭 및 제내지반고의 변화를 통한 지하수 침투거동을 모의, 분석하여 침투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하천의 수문특성 변화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발생할 수 있는 극치 수문사상의 값을 반영한 설계기준 강화 수방시설 계획 등의 연구에 활용하며, 여러 가지 수문학적 불확실성에 의하여 가변 가능한 도시하천 유역의 취약성 평가 및 위험도 분석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수공구조물 설계 및 수방전략 수립에 활용하고자 한다.

  • PDF

Gridded Expansion of Forest Flux Observations and Mapping of Daily CO2 Absorption by the Forests in Korea Using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Data and Satellite Images (국지예보모델과 위성영상을 이용한 극상림 플럭스 관측의 공간연속면 확장 및 우리나라 산림의 일일 탄소흡수능 격자자료 산출)

  • Kim, Gunah;Cho, Jaeil;Kang, Minseok;Lee, Bora;Kim, Eun-Sook;Choi, Chuluong;Lee, Hanlim;Lee, Taeyun;Lee, Yangwo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6 no.6_1
    • /
    • pp.1449-1463
    • /
    • 2020
  • As recent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s become more serious, the importance of CO2 absorption by forests is increasing to cope with the greenhouse gas issues. According to the UN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it is required to calculate national CO2 absorptions at the local level in a more scientific and rigorous manner. This paper presents the gridded expansion of forest flux observations and mapping of daily CO2 absorption by the forests in Korea using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data and satellite images. To consider the sensitive daily changes of plant photosynthesis, we built a machine learning model to retrieve the daily RACA (reference amount of CO2 absorption) by referring to the climax forest in Gwangneung and adopted the NIFoS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lookup table for the CO2 absorption by forest type and age to produce the daily AACA (actual amount of CO2 absorption) raster data with the spatial variation of the forests in Korea. In the experiment for the 1,095 days between Jan 1, 2013 and Dec 31, 2015, our RACA retrieval model showed high accuracy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0.948. To achieve the tier 3 daily statistics for AACA, long-term and detailed forest surveying should be combined with the model in the future.

Detection of Wildfire Smoke Plumes Using GEMS Images and Machine Learning (GEMS 영상과 기계학습을 이용한 산불 연기 탐지)

  • Jeong, Yemin;Kim, Seoyeon;Kim, Seung-Yeon;Yu, Jeong-Ah;Lee, Dong-Won;Lee, Yangwo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8 no.5_3
    • /
    • pp.967-977
    • /
    • 2022
  • The occurrence and intensity of wildfires are increasing with climate change. Emissions from forest fire smoke are recognized as one of the major causes affecting air quality and the greenhouse effect. The use of satellite product and machine learning is essential for detection of forest fire smoke. Until now, research on forest fire smoke detection has had difficulties due to difficulties in cloud identification and vague standards of bounda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ct forest fire smoke using Level 1 and Level 2 data of Geostationary Environment Monitoring Spectrometer (GEMS), a Korean environmental satellite sensor, and machine learning. In March 2022, the forest fire in Gangwon-do was selected as a case. Smoke pixel classification modeling was performed by producing wildfire smoke label images and inputting GEMS Level 1 and Level 2 data to the random forest model. In the trained model, the importance of input variables is Aerosol Optical Depth (AOD), 380 nm and 340 nm radiance difference, Ultra-Violet Aerosol Index (UVAI), Visible Aerosol Index (VisAI), Single Scattering Albedo (SSA), formaldehyde (HCHO), nitrogen dioxide (NO2), 380 nm radiance, and 340 nm radiance were shown in that order. In addition, in the estimation of the forest fire smoke probability (0 ≤ p ≤ 1) for 2,704 pixels, Mean Bias Error (MBE) is -0.002, Mean Absolute Error (MAE) is 0.026, Root Mean Square Error (RMSE) is 0.087, and Correlation Coefficient (CC) showed an accuracy of 0.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