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온라인 활동

Search Result 873,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Multiplicity of Synchronous Online Class Discussion Activity: A Conceptual Exploration (실시간 온라인 수업 토론 활동의 중층성에 대한 개념적 탐색)

  • Park, Yangjoo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3
    • /
    • pp.149-155
    • /
    • 2019
  • In this study, the multiplicity of synchronous online class discussion activity is explored at conceptual level. From the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CHAT), each utterance may be considered as a product of the activity system. Alderfer's ERG theory is employed as another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study. Based on the subject's existence, relationship, growth needs, their class discussion activities constitute four different dimensions: physical/biological, cultural/institutional, social/relational, and cooperative knowledge construction. It is inherent in individual activities and has a different arrangement according to their interests and situations, and at the same time acts as a factor of cooperation and competition among the participants. Through this, collective discussion activities represent complex and dynamic development patterns.

A Classification of Online Fundraising (온라인 모금의 유형 분석 -국내 온라인 모금사이트를 중심으로-)

  • Lee, Sang-Hyuk;Kim, In-Gyu;Park, Cheol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1a
    • /
    • pp.279-284
    • /
    • 2009
  • 본 연구는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기부활동이 온라인상에서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국내 온라인 모금 사이트를 조사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온라인을 이용한 다양한 방법의 모금활동들을 분류하고 정의함 으로, 온라인 모금의 유형 분류와 각 유형의 장단점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온라인 모금의 유형을 기존홈페이지를 활용한 회원 모집 채널을 확장한 '모금기관홈페이지', 온라인 모금을 위한 전용 컨텐츠를 제작한 '모금전용사이트', 개인 홈페이지, 블로그 등에 달 수 있는 아이콘 배너 소스를 제공하여 이를 통한 홍보 및 회원을 개발하는 '아이콘 배너 공유', 기부 인프라를 갖춘 기부 포탈과의 제휴, 쇼핑몰, 은행, 카드사 등의 마일리지 제휴, 핸드폰을 이용한 모바일 제휴 등으로 분류하였다. 그 밖의 후원 상품으로 등록된 제품 판매 시 일정 수익을 연계기관으로 후원하는 '후원쇼핑', 기업과 모금기관이 공동으로 실행하는 '공동 캠페인', 메일을 통한 모금 요청하는 '메일링'등의 온라인 모금 유형들이 있었다. 이를 통해 기존의 비영리 기관들과 향후 온라인 모금을 진행 할 비영리 기관들에게 온라인 모금 활동에 시사점을 제시하였고, 향후 진행 발전될 온라인모금 활동의 가능성과 보완 사항 등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Lifestyels, community experiences, and immersion in online game world (온라인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공동체 활동과 게임 몰입에 대한 탐색)

  • Whang, Leo Sang-Min;Kim, Jee-Yeo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770-779
    • /
    • 2006
  • 한국 사회에서 사이버 공간, 특히 온라인 게임 세계가 사용자들에게 단순한 게임이나 가상 공간이 아닌 다양한 활동을 통해 현실과는 다른 방식의 또 다른 인생을 살아가는 새로운 생활공간으로 기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게임 공간에서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확인하고, 리니지 2 와 메이플스 토리라는 두 가지 MMORPG 게임에서 이 유형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확인하였다. 온라인 게임 '리니지'에서 구분된 온라인 라이프스타일은 '싱글 플레이어', '공동체지향 게이머', '탈사회적 게이머'였다.'리니지 2'를 대상으로 연구 결과, 온라인 게임 공간에서의 공동체 활동은 크게 공동목표, 집단유대감, 집단존중감, 집단영향력의 요인들로 구성되어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온라인게임 사용자들은 온라인 게임에서 현실감, 조작용이성, 성취감, 친밀감, 소속감, 일탈적 행위를 통한 카타르시스를 통해 재미를 느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이런 성향은 메이플스토리라는 저 연령층의 게임에서는 비교적 다르게 나타났다. 혈맹 또는 길드의 가입 비율은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활동방식은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게임세계에서의 라이프스타일은 연령이나 게임 사용기간에서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동체 활동과 온라인 게임에서 얻는 재미의 하위 요인들에서는 분명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공동체 활동과 재미를 느끼는 측면에서의 차이로 인해 결국 온라인 게임에 몰입하는 정도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이버 공간에서의 사람들의 심리적, 행동적 특성, 특히 온라인 게임에서의 사람들의 공동체 활동과 재미의 요소들을 탐색하였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사람들이 온라인 게임 세계에 몰입하도록 만드는 요인들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는 측면에서 향후 사이버 공간을 기획하는 사람들에게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시할 것이다.

  • PDF

Classification of Online Simulation Content for Effective Engineering E-Learning Courses (효과적 이러닝 실습전략을 위한 온라인 시뮬레이션 구현방법 및 학습활동 분류)

  • Hwang, Suk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for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2 no.1
    • /
    • pp.77-83
    • /
    • 2010
  • Effectiveness of the e-learning hands-on practice in the engineering education depends on the quality of the contents of which simulation is a part and the teaching strategy of the instructor. Instructors who develop and use the simulation-included e-learning content should employ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which would make online simulation practice effective. Thus, the strategy for the effective e-learning simulated practice in engineering courses should be known and used effectivel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lassify the development methods of the simulations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of the development types classified. The comparison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leads to suggestion on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for effective use of the online simulation in engineering education.

  • PDF

A Study on Gamification for Learning Effectiveness of Flipped Classroom (거꾸로 교실의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한 게임화 적용 비교 연구)

  • Jun, Hee-Yeon;Lim, Heuiseok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8.01a
    • /
    • pp.57-60
    • /
    • 2018
  • 거꾸로 교실의 성패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온라인 예습 활동은 학습의 성패를 좌우하지만 이 예습활동은 학습자에게 부담의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온라인 예습활동에 참여도와 흥미도를 높여 줄 수 있는 방안으로 온라인 강의 시스템에 게임화 요소를 추가하여 그 효과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유튜브 링크를 이용한 전통적인 온라인 학습과 게임화 요소가 적용된 온라인 강의 시스템을 이용한 예습활동의 참여도와 학업성취도가 차이를 보이는지, 또 온라인 강의 시스템의 단어게임결과와 학업성취도의 결과가 연관성이 있는지, 온라인 강의 시스템의 단어게임의 랭킹 시스템은 학습자들의 흥미와 재미를 높여 주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PDF

An Analysis on Barriers and Solutions of the Older Adults'Online Information Activities (고령층의 온라인 정보활동 장애요인 및 해결방안 분석)

  • Kim, Heesop;Moon, Jinhyun;Lee, Misook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7 no.4
    • /
    • pp.79-88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barriers and the solutions of the older adults' online information activities. The barriers were categorized into 8 and the solutions into 9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It revealed that the lack of information devices use skill was the most serious barrier in their online information activities, and the result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cademic careers, and residential area.; the improvement of information device environment was the most important solution to resolve the barrier, and different according to academic careers, economic status, and residential area contrary to the barrier. To get rid of the digital devide according to socioeconomic variables, a customized education of information literacy and an elderly-oriented information devices are necessary to resolve the barriers.

  • PDF

Design of Online Learning Community for Conceptual Learning in Engineering Education and the Evaluation of the Inquiry Activity Supporting Tools (공학교육에서의 개념학습을 위한 온라인 학습 커뮤니티의 설계와 탐구활동 지원도구의 평가)

  • Shin, Sunhee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16 no.1
    • /
    • pp.3-14
    • /
    • 2013
  • The previously developed practical inquiry activity supporting tools, deduced from the design principles and implementation principles based on the study of precedent researches and theories, applicable to conceptual learning in engineering education were implemented to an on-line learning community, a web-based Windows application, to find out its effectiveness in actual classroom situation through experimental research. The On-line learning community includes the inquiry activity menu to implement learning procedure of inquiry based conceptual learning, the functions supporting the communication among participants, the information sharing function, the scheduling function of class and inquiry activity, the mentoring function, and the evaluation of on-line activities of learners. Experimental study were also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inquiry activity supporting tools on inquiry based conceptual learning in engineering education.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Online Learning Community for Teenagers (10대 학생들을 위한 온라인 학습 커뮤니티 설계 및 개발)

  • Jo, Mi-He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1 no.1
    • /
    • pp.79-89
    • /
    • 2007
  • Considering the continuous increase of teenagers' Internet use and the high rate of their participation in online communities, educators need to devote efforts to minimize the negative function of teenagers' Internet use and to guide them to experience positive aspects of Internet. Through activities in online communities, teenagers can experience various socialities and explore their self-consciousness. However, on the other hand many communities do not provide teenagers with considerate care. This may cause conflict in their sense of value and mislead them. Through this study, online learning community is designed and developed, which can reflect teenagers' various needs and connect their needs with learning experiences. The community consists of the following categories: 'about e-Tivity'(community vision, general information, list of activities, Q&A), 'activity space for teens'(event hall, data park, e-Tivity center), 'administrative space for teachers and managers'(research room, management room), and 'teen's private space'(my room, my avatar).

  • PDF

A Method for Detecting Learning Activities in Online Classes Based on LSTM (LSTM 기반의 온라인 수업 속 학습활동 검출 방법)

  • Park, Ji-Young;Park, Se-Hee;Park, Seung-B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97-98
    • /
    • 2021
  • 학습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는 학업에서 중요한 행동이며 높은 학업 참여는 성공적인 학업성취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학업 참여는 학자들의 관점에 따라 행동적 참여, 정서적 참여, 인지적 참여로 구분된다. 행동적 참여는 학생들이 실제 학습활동과 과제 수행에 어떻게 참여하는가로 정의한다. 그러나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는 학생들의 학습활동을 평가하는 데 어려움이 존재하여 관련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 분석을 이용한 양방향 Convolutional LSTM 모델을 기반으로 온라인 수업 상에서 학습활동 중 하나인 손들기 행동을 인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으로 학습활동 중 하나인 손들기 행동의 인식 정확도는 88%이다.

  • PDF

Development of the Online Activity Index of K-pop Fans

  • Kwak, Young-Sik;Hong, Jae-Won;Nam, Yoon-Jung;Han, Kang-Il;Kim, Mi-Hee;Na, Byeong-Min;Wang, Xue;Song, He-Fe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6 no.9
    • /
    • pp.201-212
    • /
    • 2021
  •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measure K-pop fans' content and the extent of online activiti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ers identify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ine activities that determine the intensity of fan attachment toward K-pop artists. Further, the research confirms the relative importance of various meaningful online activities. Consequently, we can develop the K-pop Online Activity Index (KOAI) model and apply it to this index model empirically for each respondent. We found that the model consists of five online activities of K-pop fans: whether joining the fan club or not, whether paying per view V live+ or not, whether watching VODs associated with artists or not, the degree of fan club writing, the degree of watching a lot on YouTube to improve the value of my artists. This study has practical significance in that it allows K-pop marketers to improve their marketing performance by providing content that will enable them to more efficiently and effectively allocate marketing resources to various online activities to get fan responses. It allows accumulating academic knowledge to understand the behavior in the field of online behavior for K-pop f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