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온라인 학술지

Search Result 162,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인터넷 및 통신 판매 업소의 축산물 원산지 표시 실태 및 표시 규정 모니터링

  • Nam, Bo-Ra;Nam, Jeong-Ok;Park, Jeong-Min;Kim, Jin-M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6.05a
    • /
    • pp.312-315
    • /
    • 2006
  • 축산물을 판매하고 있는 인터넷 및 통신판매업소에서 전자상거래 시 표지하여야 할 항목과 안전하고 위생적인 축산물의 확보를 위하여 표지하여야 할 항목으로 나누어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자상거래시 온라인(인터넷) 판매영업소가 표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항목 중에서 '상호명'과 '전화번호'를 제외한 나머지 정보는 일부 제품에서 누락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배송비용 정보'(21% 미표시)와 '사이트 이용 약관'(23% 미표시)과 같은 정보는 상대적으로 높은 부적합률을 나타냈고, '이메일 주소'(22% 미표시)와 '팩스번호'(26% 미표시)의 부적합률은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또한, 온라인 판매업소가 축산물을 판매할 때 표시하도록 규정되어 있는 항목 중에서 '제품명'과 '식육의 종류' 표시를 제외한 나머지 정보는 일부 제품에서 누락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육의 부위'(19% 미표시)와 '제품의 구성'(27% 미표시)과 같은 정보는 상대적으로 높은 부적합률을 나타내었고, '보관방법'(57% 미표시), '품질보증 및 인증내용'(80% 미표시), '식육의 등급'(82% 미표시)과 같은 정보는 많은 제품에서 누락되어 있었으며, 특히 '제조일자'(95% 미표시)는 대부분의 제품에서 표기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터넷이나 통신판매업소를 통한 온라인 상거래에서는 육안으로 상품을 직접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축산물의 위생 상태나 안전성을 파악하기 어려워 보다 확실하고 투명한 방법으로 축산물의 안전성과 위생 상태를 확인하는 수단으로 표시 규정을 100% 준수하여 품질의 고급화와 브랜드화를 이룩해 나가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타내었다.로 나타났다. 특히 골반골 현수는 출하 월령이 증가됨에 따라 관능 특성의 개선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 있다.분별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p<0.05), 맛, 연도, 다즙성 및 전체적인 기호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자체를 악하다고 볼 수 없고 더구나 구원을 이 세상에서의 이탈로 볼 수 없다. 진정한 구원이란 원래 하나님이 보시기에 아름다웠던 그 세상으로의 회복을 포함한다. 이런 면에서 하나님 주권 신앙 하에서 구원이란 전 인격적인 구원, 전 우주적인 구원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성도는 세상의 삶과 학문, 예술, 정치, 경제, 사회를 포함한 모든 분야를 하나님의 뜻 가운데서 그 원래의 목적에 부합할 수 있도록 회복시키는 일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자체가 이를 주도하기는 사실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대형유통점이 영업행위를 영업시간제한에서부터 출점제한에 이르기까지 규제하는 건은 심사숙고하여야 한다. 대형유통점이 국가경제 및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부정적인가 긍정적인가에 대해 국내외 학계와 업계에서 여전히 많은 논란이 있기 때문이다. 정부와 지자체에 의한 시장개입은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 한해 합당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대형유통점에 대한 규제는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다면적으로 평가한 결과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대부분의 지자체는 체계적인 평가시스템과 객관적인 통계 자료를 갖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향후 가장 시급한 과제는 시장개방 이후 지난 10년간 대형유통점이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에 관한 광범위한 통계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정책방향을 올바르게 설정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i와 K. pne

  • PDF

Perceptions of Academic Journals and Scholarly Event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 Online Survey (문헌정보학 분야 학술지 및 학술행사 인식 연구 - 설문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

  • Jongwook Lee;Soojung Kim;Sanghee Oh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7 no.1
    • /
    • pp.365-386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academic journals and scholarly events published and operated by the four major academic societie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Korea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An online survey was carried out to know the members' perceptions of journals' quality, number, review process, publication/distribution, readership, practicality, interdisciplinarity, internationalization, and differentiation. In addition, the reasons for participation and non-participation in scholarly events, the degree of achievement of the purpose, differentiation between scholarly events, and ways to revitalize joint academic conferences were examined. A total of 197 members of the four societies completed the survey.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overall quality of the four journals was good, but they still needed to be improved in the review process,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readership, practicality, and internationalization. Strategies to specialize each journal needed to be considered as well. To revitalize scholarly events, large-scale joint academic conferences can be organized to encourage the participation of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considering both academic and social aspects of research and practice. This study mainly reported the results of the online survey. Also, it shed light on the suggestions to improve the academic journals and scholarly events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case studies of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s and events as well as the group discussions and feedback from the participants at the joint conferenece held in December 2022.

인터넷 온라인학습 컨텐츠의 효율적인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 조은상;강승주;남경두
    • Proceedings of the Korea Database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370-387
    • /
    • 2001
  •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과 보급은 우리 생활의 모습을 바꾸어 놓고 있다. 새로운 문화 현상으로 신세대, X세대를 지나 N세대의 탄생에 이르게 되었다. N세대라 함은 연령에 따른 구분보다는 인터넷 시대의 기술과 문화에 익숙한 사람을 말한다. 이러한 N세대들이 새로운 문화를 만들고, 또한 기업에게 새로운 사업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Multimedia University Library System Based on the Information Super Highway (초고속 정보통신망에 기반한 멀티미디어 대학도서관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 김현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12 no.2
    • /
    • pp.151-169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of multimedia university library system theoretical models and to design partial functions of this model using multimedia toolbook 3.0. The theoretical model is constructed based on several operating systems such as JANUS Virtual Library and The Book House. Knowledge base of the designed system is constructed by interviewing reference librarians. The designed system consists of six modules : Reference Expert system. Journal Browsing, Multimedia Database, OPAC, External Database and User' s Guide. Finally, four problems are discussed as several major problems in building up multimedia university library network

  • PDF

A Study on the Information Use Behavior of Social Science Researchers (사회과학 연구자의 정보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 Choi Eun-J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0 no.4
    • /
    • pp.13-38
    • /
    • 1996
  • This study focuses on investigating and analyzing overall information use behavior of the social science researchers. questionnaires were sent to 150 researchers in three major libraries or research institutes in the area of the social sciences, Five hypotheses were tested on the basis of the assumption that there would exist unique characteristics in the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f social science research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s that social science researchers prefer monographs and journals: they tend to use current material: the first information source for their research activities is the cited references in the book or journal article : they are likely to delegate literature searching to the librarian, but they tend to conduct direct searching in online setting: in general, they react positively for the rapid change in information environment caused by recent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is emphasized that to design an efficient information system and provide an effective information service in the social science related library or information center, it is essential to consider the major characteristics and attributes of social science researchers in terms of their information use behavior.

  • PDF

Exploring the Factors of Serendipity in Online Video Environment (온라인 동영상 환경에서의 세렌디피티 요인에 관한 탐색)

  • Baek, Sodam;Lee, Wonyoung;Chae, Anbyeong;Hwang, Eunyoung;Kim, Sungwoo
    • Journal of the HCI Society of Korea
    • /
    • v.12 no.3
    • /
    • pp.25-33
    • /
    • 2017
  • Current video service market doesn't satisfy the users' needs who want to find new and interesting contents despite the vast amount of contents. Now it is continuously necessary to Study on technology and using experience is continuously required in online video service area to stimulate the watching motivation efficiently with such as recommendation or promotion. One of efficient ways of increasing the using motivation is to give the users pleasure when they use the services. This study focused on 'unexpected funny finding' as a strategy of providing pleasure of using. It was believed that it could increase the pleasure of using the service, if serendipity, which means unexpected pleasure, accidental finding such as finding a beautiful $caf{\acute{e}}$ or meeting a friend at a certain place unexpectedly, is applied. This study defines the serendipity as 'contents that give unexpected pleasure' at the online video environment. First it theoretically extracted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serendipity through reading many books. Next it verified the other concept of serendipity through the diary of users' survey to additionally extract the characteristics of serendipity at video environment that are hard to find in books. It formed estimation item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tracted serendipity and tested them in youtube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of serendipity being found in video service and observe potential factors that make it. As a result if verified and confirmed four factors that cause serendipity at video environment.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serendipity. It has an academic meaning in the point that it could be a useful reference for the future study that analyzes the role or effect of serendipity at IT area including online video service.

Evaluating Factors of Electronic Journal or Magazine (전자잡지의 평가 요소)

  • 배금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00.08a
    • /
    • pp.95-100
    • /
    • 2000
  • 최근 인터넷을 중심으로 한 전자정보 통신의 발달은 종래의 연속간행물 출판과 배포에 새로운 국면을 제공하고 있는데 바로 전자형태의 저널 및 잡지의 출현이다. 특히 디지털도서관의 출현으로 대부분의 학술잡지들을 인쇄본과 함께 전자형태로 출판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각 출판사, 대학, 연구소 및 전운정보센터에서는 학술지를 중심으로 대부분의 자료들을 디지털화하여 온라인으로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주요 도서관들이 이러한 새로운 정보매체, 즉 전자형태의 저널 및 잡지를 수용하는데 있어서 한정된 예산으로 해당 도서관들이 필요로 한 전자저널과 전자잡지를 선별·수집할 때 적용할 수 있는 평가요소를 연구하였다.

  • PDF

Domestic Research Trends on MOOCs: From 2010 to 2018 (MOOC 국내연구 동향분석: 2010년~2018년을 중심으로)

  • Lee, Jeongmin;Oh, Bora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7
    • /
    • pp.82-90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rends of domestic research on MOOCs(Massive Open Online Courses) for the last 10 years and provides implications for research on education and learning using MOOC. A total of 70 research papers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As a result, the research papers on MOOC in Korea have been increasing from 2012 to 2018. Of the 70 research papers, 31 were clearly indicated research subjects, and most of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r university students. Regarding the research type, survey research(27.1%) were the most common. The predictors used in the study of MOOCs ar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for independent variables, satisfaction,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for the mediators, usage intention and persistence for dependent variables were frequently used. Further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or the study.

Development of Lifestyl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대사증후군 환자를 위한 생활습관정보 관리 시스템의 개발)

  • Kim, Ji-Eon;No, Si-Hyeong;Jeong, Chang-Won;Kim, Tae-Hoon;Jun, Hong-Yong;Yu, Tae-Yang;Yoon, Kwon-Ha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7.04a
    • /
    • pp.609-610
    • /
    • 2017
  • 국내 외에서 잘못된 생활습관으로 대사증후군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최근 대사증후군 환자들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생활습관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피드백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생활습관 정보를 수집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온라인/오프라인 설문지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수집하는 형태로 구분된다. 그러나 기존 설문지 방법은 연속적인 데이터를 얻기 어렵고,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방법은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수집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대사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생활습관 정보 수집을 위한 병원의 설문지를 앱을 기반으로 개발하여 수집하고 스마트 폰과 밴드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실시간 활동정보를 수집하여 환자 생활 습관에 따른 맞춤 별 예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