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온라인 영어 학습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2초

온라인 학습관리 시스템을 활용한 대학 영어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Online LMS in EFL Education)

  • 정경옥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35-236
    • /
    • 2018
  • 본 연구는 대학 영어 교육에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활용함과 더불어, 온라인 학습관리시스템을 영어교육에 접목시킴으로써 상호 작용과 학습공동체 활동을 강조하는 다양한 기능들이 대학생들의 영어 학습태도와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다양한 멀티미디어의 활용과 온라인 학습관리 시스템의 기능과 활동들을 통한 대학 영어수업이 학생들에게 영어수업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높이고 보다 효과적으로 영어를 학습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해주었다고 할 수 있다.

  • PDF

초등학교 온라인 영어 학습 콘텐츠 유형별 효과성 (The Effectiveness of online English Learning Program Conten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유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427-437
    • /
    • 2018
  •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이 학습하는 온라인 영어 학습 프로그램 콘텐츠의 효과성을 탐색하였다. 온라인 영어 학습 콘텐츠 연구를 위해 경기도교육청에 의해 학교로 사용권장된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K 시 소재 P 초등학교 107명의 학생들로 약 1년간의 학습 후에 온라인 학습 콘텐츠 효과성에 관한 설문에 응답하였다. 학생들의 응답은 Spearman 상관분석방법으로 재학학년, 온라인 학습시간 및 진단평가 성적과 온라인 영어 학습 프로그램 콘텐츠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학년이 높고 영어 학업수준이 높은 학생일수록 문제해결형, 과제수행형과 WBI(웹기반)형의 콘텐츠는 효과적이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에, 온라인 학습시간이 긴 저학년학생일수록 개인 지도형, 스토리활용형과 애니메이션유형의 온라인 학습 콘텐츠가 효과적이라고 답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온라인 영어 학습 콘텐츠의 개발에 있어서, 학생의 학년과 학습시간, 학업수준 등과 같은 학생의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는 바이다.

대학 교양영어 블렌디드 학습에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끼치는 변인 연구 (A Study on the Variables Influencing Student Achievement in a Blended Learning of College English)

  • 최미양;한태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0호
    • /
    • pp.719-730
    • /
    • 2013
  • S 대학교 교양필수 과목인 영어회화는 영어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블렌디드 학습으로 설계되었다. 이 블렌디드 학습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학업성취도의 변인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결과로 성별, 전공, 군복무, 해외거주 경험, 면대면 출석, 퀴즈, 온라인 출석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고 온라인 학습방식(학습장소, 학습시간, 학습빈도)은 학업성취도와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학습만족도는 강사 만족도, 학습내용 만족도, 시스템 만족도로 나누어 조사했는데, 그 결과 단지 시스템 만족도만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간-비실시간 온라인플랫폼을 통한 역량강화중심 대학영어 교수-학습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college English teaching and learning model in online synchronous/asynchronous platforms to enhance Competencies)

  • 이명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35-4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실시간-비실시간 온라인플랫폼을 통한 역량강화중심 대학영어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의 대학영어 교수-학습 모형은 의사소통, 자기주도성, 협동성 등의 역량증진을 위한 딕토글로스 활동을 다양한 온라인플랫폼 기능 활용을 고도화하여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딕토글로스는 의사소통의 네가지 기능(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을 통합하여 사용하는 언어 교수-학습 활동이다. 본 연구에서의 대학영어 수업은 의사소통 중심 통합적 영어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의 교수-학습 모형은 구성주의 이론에 입각한 온라인기반 영어통합 교수-학습 방법으로서, 각 단계별로 학습자와 교수자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어린이 영어 교육용 사이트에서 플래시 애니메이션의 활용에 관한 연구 (Critique of the Flash Animation Contents in the Children's Educational Website)

  • 김영애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751-754
    • /
    • 2002
  • 학습자 중심이라는 큰 장점을 가지고 급속도로 발전해 가는 온라인 교육의 세계적인 흐름에서 어린이 영어 교육사이트에 있어 어린이들에게 흥미를 높여주고 동기를 유발시키며, 추상적인 언어를 살아있게 해 주며, 적은 용량으로 애니메이션을 표현할 수 있는 플래시 애니메이션 활용의 필요성을 알아보았고, 기존 영어교육사이트의 플래시 애니메이션을 분석해 본 결과.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동영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상황의 이해, 학습동기 유발, 집중력 향상 등의 학습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사용자에 대한 많은 연구와 플래시 애니메이션의 적극적인 활용과 개선을 통해 어린이를 위한 온라인 영어 교육이 충분히 제 역할을 다 할 수 있는 계기가 되리라 기대한다.

  • PDF

온·오프 강의에서 온라인 영어읽기 수업의 학습행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Learning Behavior in Online English Reading Class of an On-off Course)

  • 최미양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2권9호
    • /
    • pp.142-151
    • /
    • 2023
  • 본 연구는 온·오프 강의에서 온라인으로 영어읽기 학습활동을 하는 학생들의 학습행태를 파악하는 사례 연구이다. 본 연구는 학기말에 실시한 설문조사와 학생들과의 전화 인터뷰를 토대로 하고 있다. 연구대상은 영어 듣기와 읽기 교과목을 수강하는 학생 77명이며 이중 5명과 전화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온라인 학습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학습의 규칙성과 학습 순서는 개선할 필요성이 나타났으며 이를 위하여 교수자의 학생관리 방안이 제시되었다. 교수강의 시청의 경우 학생들은 일시정지와 반복시청과 같은 녹화강의의 장점을 잘 활용하고 있었으나 모든 학생들이 온라인 교수강의를 잘 이해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녹화강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해 보였다. 대면 수업에서 실시하는 교수강의 복습퀴즈는 학생들이 교수강의를 더 적극적으로 시청하도록 자극을 주기 위한 것인데 연구결과 온라인 학습기간 설정과 퀴즈 문제 개수와 같은 요소들을 수정할 필요성이 나타났다.

사이버대학생의 영어 학습 동기와 탈동기화 연구 (A Study on English Learning Motivation and Demotivation of Cyber University Students)

  • 김남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129-140
    • /
    • 2019
  • 본 연구는 온라인으로 학습하는 사이버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어 학습 동기와 탈동기 요인과 학생들의 특성에 따른 동기와 탈동기 차이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H 사이버대학교 재학생 중 교양영어 수업을 수강하는 총 49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기술통계, t-검정, ANOVA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상자들의 영어 학습 동기 하위요인 별 평균은 이상적 제2 언어 자아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도구성(장려)의 순이었다. 영어 학습 탈동기 하위요인 별 평균은 불안감, 부정적인 학습투자 가치의 순서였다. 대상자들의 특성에 따른 영어 학습 동기와 탈동기 차이 분석으로는 영어 학습 동기에서는 성별의 경우 필연적 제2 언어 자아 요인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직업 유무는 도구성(장려) 요인에서 학생인 대상자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나이에서는 경쟁적 동기 요인과 도구성(장려) 요인에서 대상자의 나이가 젊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영어 학습 탈동기 차이에서는 불안감, 수동적 학습 태도, 부정적인 학습투자 가치 요인에서 모두 여성이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직업 유무는 부정적인 학습 투자 가치 요인에서만 직업을 가지고 있는 대상자의 탈동기 요인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양한 목표를 가진 사이버대학교 성인 영어 학습자를 위한 온라인 영어교과 개발에 참고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의 가정 내 비효과적인 영어 학습 (Ineffective English Learning in the Family Fiel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김정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312-326
    • /
    • 2021
  • 본 다중 사례 연구는 언어 학습 및 사용에서 언어 사회화의 프레임워크[10]를 기반으로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가정 내에서 4명의 대학생의 영어 학습과 관련된 가정 내 환경적 요인을 조사합니다. 본 연구는 서술 기법을 활용하여 중국 북서부 농촌 지역에 위치한 가정에서 중국인 대학생 4명의 온라인 영어 학습 양태를 조사하기 위해 시계열 분석을 수행합니다. 데이터는 2020년 3월부터 2020년 7월까지 구두 및 서면 서술, 반구조화 인터뷰, 수업 문서(수업 일정, 시간표)를 통해 수집되었습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각 학생은 가정 내에서 영어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서로 다른 가정 내 행위관습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결국 4명의 학생 모두 자신의 행위관습이 온라인 영어 학습을 비효율적으로 만든다고 느꼈고 가정 내에서 계속 학습하고 싶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 북서부 농촌 지역 부모들이 대학생들의 학습 환경을 구축하고 학생들이 가정 내에서 효과적인 학습 습관을 기를 수 있도록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합니다.

줌(Zoom)을 활용한 온라인 비대면 영어 수업의 방향 탐색 (Exploiting Directions in On-line Non-face-to-face English Class Using Zoom)

  • 김혜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284-290
    • /
    • 2021
  • 본 연구는 온라인 비대면 영어 수업의 효율성을 파악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지속 가능한 온라인 비대면 수업의 확장 가능성과 온라인 비대면 영어 수업이 한 단계 더 발전해서 나가야 할 방향에 대해 교육학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줌을 활용한 온라인 비대면 영어 독해 수업 사례를 소개하고 이것이 학습자들의 독해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이에 대한 학습자들의 만족도와 그 이유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온라인 비대면 영어 수업은 학습자들의 독해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들은 온라인 비대면 독해 수업에 대체로 만족한다는 반응을 보여 주었고 만족하는 이유로는 체계적인 수업 진행 및 수업의 질, 학습의 효율성 등을 제시하였다. 교수자들은 온라인 비대면 독해 수업의 확장 가능성을 인지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효율적인 온라인 수업 방안을 미리 대비하고 철저히 준비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수자들은 효율적인 온라인 수업 활동을 제시하고 세세한 내용 설명과 빠르면서도 적절한 피드백을 통해 체계적으로 수업을 구성해야 할 것이다.

온라인 영어쓰기학습에서 Padlet 활용이 쓰기 불안과 전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dlet use on writing anxiety and strategy use in online English writing learning)

  • 임희주;이영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69-7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온라인 영어쓰기수업에서 온라인 플랫폼, Padlet이 학생들의 영어쓰기 불안과 영어쓰기 전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총 64명의 대학생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영어 불안감, 영어쓰기 전략, 그리고 배경질문을 포함한 설문 작성을 완료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서, 1학기동안 쓰기 과제를 위해 Padlet을 사용한 실험 그룹과 대학 이러닝 플랫폼을 사용한 통제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Padlet을 사용한 학생들은 대학 e-learning 플랫폼을 사용한 학생보다 영어쓰기 전략을 더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Padlet 활용은 영어 쓰기 불안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영어 쓰기 불안은 영어수준별의 차이를 보였지만 수준과 상관없이 학기말에는 쓰기 불안이 감소했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 Padlet은 학생들의 영어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데 유용한 온라인 학습도구이며 특히 영어쓰기수준이 낮은 학생들에게도 도움을 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