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오염 분포

Search Result 1,627,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Sea Prince호에 의한 유류오염이 발생한 남해안 소리도 주변 해역의 저서동물 분포

  • 임현식;최진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393-394
    • /
    • 2000
  • 여수반도 남단에 위치한 소리도 주변해역에서는 1995년 7월 23일에 유조선 Sea Prince호에 의한 유류 유출사고로 인하여 약5,000톤의 연료유와 원유가 유출되어 극심한 유류 오염이 발생하였다. 또한 1995년 11월 17일에는 인근 광양만 입구에서 호남 싸파이어호의 부두충돌 사고로 인하여 약 1,402 kl의 아라비아산 원유가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그 결과 남해안의 여수, 여천 일대의 해역에서 수산업에 막대한 피해가 생겼고, 또한 유류오염으로 인한 생태계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필요성이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광양만 입구에서 소리도 주변 해역에 이르는 해역에서 저서동물 군집 구조와 주요 우점종의 분포패턴을 밝힘으로서 유류오염 이후 저서생태계 변동을 파악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주 목적을 두고자 하였다. (중략)

  • PDF

The Allocation Analysis of Air Pollution Monitoring Stations Using GIS (GIS를 이용한 대기오염측정망의 적정성 분석)

  • Choi, Byoung-Gil;Kim, Joong-Sik;Ra, Young-Woo;Lee, Cheol-Joon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10a
    • /
    • pp.113-119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GIS를 이용하여 대기오염측정망의 적정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측정소 이력, 분포의 적정성, 주위의 토지이용상태의 분포현황 분석을 통하여 인접지역이거나 주변 토지이용상태가 유사할 경우 측정값의 변화추이가 유사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대부분의 측정소가 주거지역에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기오염측정소 배치방법에 의한 측정소의 개수를 산정한 결과가 현재 설치되어 있는 측정소의 이전과 추가적인 설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토지이용상태와의 상관분석을 통해 오염원에 대한 정확한 파악과 오염물질의 이동경로에 대한 추적을 통하여 도시계획사업수립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Simulation for Wire-Plate Type Plasma Reactor Manufacture (선 대 평판형 플라즈마 반응기 제작을 위한 시뮬레이션)

  • Lee, Hyun-Soo;Lee, Dong-Hoon;Park, Jae-Yoon;Han, Byung-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3.05b
    • /
    • pp.103-108
    • /
    • 2003
  • 산업화에 기인하여 공장 및 수송수단 증가로 대기배출가스량이 증가 그 결과 대기오염이 심화되어 가고 있다. 그러므로 실내오염가스의 정화가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므로 이러한 오염된 공기를 제거 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환경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선 대 평판형 플라즈마 반응기 제작에 필요한 최적조건을 도출하기 위하여 반응기 내부의 전위 및 전계분포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하였고 여기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플라즈마 반응기를 제작하고자 한다.

  • PDF

Three Dimensional Simulation of the Deposition of Multi-dispersed Particles during Cross-flow Microfiltration (정밀여과에서 불균일 입자에 의한 막오염에 관한 3차원 모사 연구)

  • ;;;Fane, Antony G.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7.04b
    • /
    • pp.48-49
    • /
    • 1997
  • 막분리에 있어 막오염 현상은 공정의 경제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에따라 막오염에 따른 플럭스 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동력학적 해석식들은 여과초기에만 적용되는 단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콜로이드 입자에 의한 막오염 과정을 그대로 모사하여 여과개시 후 상당한 시간 후의 플럭스를 예측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연구된 모델들은 2차원입자를 사용하거나 혹은 단일입자분포를 갖는 3차원입자를 사용한 것들이었다. 2차원 모사인 경우 세공막힘현상을 설명할 수 없으며 3차원 단일분포 입자시스템은 현실과는 거리가 먼 단점이 있었다. 이에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중분포(multi-disperse)를 갖는 입자의 정밀여과 (microfiltration)를 모사하여 시간에 따른 플럭스의 변화를 예측해 보고자 하였다.

  • PDF

Background Concentrations of Atmospheric Pollutants measured at Kosan during ACE-Asia Intensive Observation Period (IOP) (ACE-Asia 집중관측기간에 제주고산에서 측정한 대기오염물질의 배경농도 분포특성)

  • ;;;;Jianzhen Yu;Keith Bower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173-174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Asian Pacific Regional Aerosol Characterization Experiment(ACE-Asia) 집중관측 기간에 우리 나라의 배경대기 지역의 하나인 제주도 고산에서 측정한 가스상 오염물질과 입자상 오염물질의 농도 관측 결과를 바탕으로 대기질 분석을 시행하였다. 제주 고산은 지리적인 요인과 정책적 요인에 의해서 인위적인 오염물의 배출원이 거의 없는 청정 지역으로 배경 대기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한반도와 중국 대륙, 일본으로부터의 오염물 장거리 이동을 관찰할 수 있는 적합한 장소이다(김용표 등, 1995). (중략)

  • PDF

Analysis of Particulate Distribution Emitted from the Stack of the Casting Furnace near by Seashore (해안에 위치한 주조공장 용해로 스택에서 배출되는 입자상 오염물의 분포에 관한 분석)

  • 안시찬;이병규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209-210
    • /
    • 2001
  • 공장 굴뚝이나 차량과 같은 오염원에서 배출된 오염물질은 대기 중에서 확산과정을 거쳐 수용체(Receptor)에 도달하여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확산을 결정하는 주요인자로는 오염물 배출조건 및 농도, 대기 기상조건, 주변지형조건, 오염물의 반응성 및 침착성 등이 있다. 대기환경 영향평가 및 대기질 관리성책수립 등을 위해서 복잡한 대기확산 과정을 거쳐서 수용체에 도달하는 오염물질의 농도에 대한 정량적인 값의 추정이 필요하다. (중략)

  • PDF

Eulerian Models (오일러리안 모델)

  • 심상규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v.11 no.1
    • /
    • pp.29-36
    • /
    • 1995
  • 대기오염 물질의 대기중 거동을 이해하고 예측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대기질 모델이 사용되고 있다. 대기질 모델은 물리적인 모델과 수학적인 모델로 나눌 수 있다(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 1986). 물리적인 모델은 풍동, 수조 등을 이용하여 실제 대기오염 시스템을 축소한 모형을 만들어서 대기오염 물질의 농도 분포를 측정하는 모델이다. 물리적 모델은 대기오염을 가시화 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으나 대기의 난류현상을 재현하는데 제약이 있고 대기오염 물질의 중, 장거리 이동을 예측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 PDF

A Study on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Air Pollutants by Yellow Sand Phenomenon (황사현상에 의한 먼지의 입경별 분포와 중금속 오염특성)

  • 이용기;최양희;임홍빈;최승석;김종찬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380-381
    • /
    • 2002
  • 한반도를 위시한 동북아 지역은 급속한 산업 및 경제적 활동 증가로 세계의 주요 오염지역으로 대두되고 있다. 대기오염물질의 이동확산은 어느 특정지역에서 광범위하게 확산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오염과 피해 사이에 시간과 공간적인 차이가 존재하고 있으며 인과관계도 불명확한 상황이다. 매년 봄 한반도를 위시한 동북아지역에 중국, 만주 등지를 기원으로 하는 황사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고 황사와 함께 이동되는 대기오염물질들 역시 강한 서풍기류에 의해 북태평양까지 이동할 만큼 장거리 이동현상도 발생되고 있다. (중략)

  • PDF

남해 특별관리해역의 환경오염 관리모델 연구 - 광양만 중심 연구에서의 현황과 전망

  • 장만;신경순;최진우;최동림;이택견;현상민;오재룡;심원준;권개경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Conference
    • /
    • 2002.11a
    • /
    • pp.9-14
    • /
    • 2002
  • 우리나라의 남해안과 서해안과 같이 해안선의 굴곡이 많고 강의 하류 부분에 위치한 연안 해양은 육지로부터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다. 강 하류에 위치한 항만은 이 지역을 중심으로 발달한 도시와 각종 산업시설과 대규모 부두 시설에 의해 직접 오염물질이 유입되고, 반 폐쇄적인 지리적인 조건으로 오염 물질의 외부 확산이 적게 일어남으로써 각종 유해 오염물질의 최종 종착지이자 오염물질의 보유고 역할을 하고 있다. 본 과제의 주요 목표는 오염지역의 오염물 이동 및 생태계 구조 변화에 관한 종합적 분석을 통해 오염우심해역 관리를 위한 오염과 생태환경에 대한 종합적인 지침서 (오염물 분포, 이동, 순환 등) 제시하고, 오염물질의 순환과정에서 수생-저서생태계의 연계성 규명하며, 더 나아가서 국가실천계획 (NPA) 이행을 위한 기반 확립이다. 본 연구과제의 결과는 항상 오염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은 연안역관리를 위한 지표자료를 제공하며, 앞으로 국제적으로 규제될 각종 유기오염물질관리를 위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PDF

The spore densities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related to the Soils collected from Polluted and Unpolluted areas (오염지역과 비오염지역의 토양에 관한 Arbuscular mycorrhizal fungi의 포자밀도)

  • Shim, Jae-Ouk;Lee, Sang-Sun;Chang, Young-Soo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 /
    • v.24 no.1 s.76
    • /
    • pp.56-66
    • /
    • 1996
  • Ecological variations of Arbuscular mycorrhizal (AM) fungi were determined from the soils collected from different sites of the polluted and unpolluted areas related to the soil pollutions. Average 24.5 spores $(per\;20g)^{-1}$ soil of AM fungal spore were counted from the 32 sites of soils collected from On-san (polluted), whereas average 4.1 spores $(per\;20g)^{-1}$ soil from the 18 sites of those from Mt. Kwanak (polluted); Average 23.6 spores $(per\;20g)^{-1}$ soil of AM fungal spore were also counted from the 30 sites of soils collected from Chung-mu (unpolluted), whereas average 15.8 spores $(per\;20g)^{-1}$ soil from the 14 sites of those from Mt. Chungwang (unpolluted).The spores of AM fungi were the species of Glomus, Gigaspora, Acaulospora and Scutellospora. Among the above four genera, the species of Glomus were observed to be more abundant than the other genera in the soils collected from On-san, Chung-mu and Mt. Chungwang whereas the species of Gigaspora in those from Mt. Kwan-ak. The parameters of soils measured showed some variations between the polluted and unpolluted areas; 12.9 to 16.4% in the soil moisture, 5.6 to 8.3% in the organic matter and 4.3 to 5.7 at soil pH (polluted to unpolluted areas, respectively). The soils collected, thereby, appeared to be more strongly acidic and also lower in the contents of soil moisture or organic matter at the polluted area than unpolluted area. Based on the ecological criteria, the species richness or species diversity had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between polluted and unpolluted area. The spore density of genus Glomus or Gigaspora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among the soils of three different plant vegetations (conifer plants, broad leaf plants, and grass plants).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in the species evenness or species diversity among the soils referring to three different plant vegetations. There was a direct relationship $(r^2=0.38)$ between soil moisture and organic matter measured from 94 soil samples. Since there was a direct relationship $(r^2=0.22)$ between organic matter and total spores, it seems to be likely to presume that mycorrhizal spores can be increased in proportion to enhanced organic matters in soils. The species richness or species diversity was inclined to increase in proportion to enhanced soil pH and total spores in soils.

  • PDF